冠義曰, 凡人之所以爲人者, 禮義也. 禮義之始, 在於正容體, 齊顔色, 順辭令. 容體正, 顔色齊,
辭令順, 而後禮義備. 以正君臣, 親父子, 和長幼. 君臣正, 父子親, 長幼和, 而後禮義立.
曲禮曰, 毋側聽, 毋噭應, 毋淫視, 毋怠荒, 遊毋倨, 立毋跛, 坐毋箕, 寢毋伏, 斂髮毋髢, 冠毋免,
勞毋袒, 暑毋褰裳.登城不指, 城上不呼. 將適舍, 求毋固. 將上堂, 聲必揚. 戶外有二屨, 言聞則入,
言不聞則不入. 將入戶, 視必下, 入戶奉扃, 視瞻毋回, 戶開亦開. 戶闔亦闔, 有後入者, 闔而勿遂.
毋踐屨, 毋踖席, 摳衣趨隅, 必愼唯諾.
噭 : 부르짖을 교/주둥이 파. 부르짖다. 울다. 외치다. 격하다. [파]주둥이
箕 : 키 기/대로기울 체. 키, 삼태기, 쓰레받기, 별이름, 바람귀신. 다리뻗고 앉다. 대로 깁다(떨어지거나 헤어진곳을 꿰메다.)
髢 : 다리 체. 다리(여자들의 머리숱이 많아보이라고 덧넣었던 머리) 가발, 다리를 덧드리어 땋다.
免 : 면할 면/해산할 문. 면하다. 벗어나다. 허가하다. 벗다. 해직하다. 내치다. 힘쓰다. 노력하다. [문]해산하다. 아이를 낳다.
관을 벗고 머리를 묶다. 상복(윗옷)
褰 : 걷어올릴 건. (옷을)걷어올리다. 펼치다. 열다. 접다. 주름을 잡다. 단절시키다. 바지, 허물.
踖 : 밟을 적. 밟다. 삼가는 모양. 공손한 모양, 부끄러워하는 모양, 민첩한 모양.
隅 : 모퉁이 우. 모퉁이, 구석, 귀, 절개, 정조.
禮記曰, 君子之容, 舒遲. 見所尊者, 齊遫. 足容重, 手容恭, 目容端, 口容止, 聲容靜, 頭容直,
氣容肅, 立容德, 色容莊.
曲禮曰, 坐如尸, 立如齊.
少儀曰, 不窺密, 不旁狎, 不道舊故, 不戱色, 毋拔來, 毋報往, 毋瀆神, 毋循枉, 毋測未至. 毋訾衣
服成器, 毋身質言語.
論語曰, 車中不內顧, 不疾言, 不親指.
曲禮曰, 凡視上於面則敖, 下於帶則憂, 傾則姦.
論語曰, 孔子於鄕黨恂恂如也. 似不能言者. 其在宗廟朝廷, 便便言. 唯謹爾. 朝與下大夫言, 侃侃
如也. 與上大夫言, 誾誾如也. 孔子食不語. 寢不言.
士相見禮曰, 與君言, 言使臣. 與大人言, 言事君. 與老者言, 言使弟子. 與幼者言, 言孝悌于父兄.
與衆言, 言忠信慈祥. 與居官者言, 言忠信.
論語曰, 席不正, 不坐. 子見, 齊衰者, 雖狎必變. 見冕者與瞽者, 雖褻必以貌. 凶服者式之. 式負版者.
禮記曰, 若有疾風迅雷甚雨, 則必變, 雖夜必興, 衣服冠而坐.
舒 : 펼 서. 펴다, 신장시키다. 퍼지다. 흩다. 흩어지다. 느리다. 게으르다. 천천하다. 편안하다. 나타내다. 드러내다. 평평하다.
광활하다. 상쾌하다. 소리지르다. 실마리, 천천히
遫 : 펼 칙/ 빠를 속. 펴다.[속]빠르다. 신속하다. 변하다. 오그라들다. 줄다. 변화.
旁 : 곁 방/달릴 팽. 곁, 옆, 두루, 도움, 보좌, 방, 튼튼하고 힘이 센모양, 기대다. 의지하다. 왕래하다. 뒤섞아다. 혼합하다. 치우다.
[팽]달리다. 튼튼하고 힘이 센 모양.
侃 : 굳셀 간. 굳세다. 강직하다. 화락하다. 화평하게 즐기다. 조용하다. 안온하다. 안락한 모양.
誾 : 온화할 은. 온화하다. 화기애애하다. 이야기하다. 향기가 짙다. 평온하게토론하는 모양. 성의 하나.
押褻 : 너무가까워서 예의가 없음. 음란함, 방종함.
式 : 법 식. 법, 제도, 의식, 정도, 절도, 형상, 점치는기구, 수레의 손잡이나무. 본뜨다. 본받다. 삼가다. 쓰다. 사용하다. 절하다.
경의를 표하다. 드러내다. 표창하다. 닦다. 걸레질하다. 약하다. 나쁘다. ~ 로써
論語曰, 寢不尸. 居不容. 子之燕居, 申申如也, 夭夭如也.
曲禮曰, 並坐不橫肱, 授立不跪, 授坐不立. 入國不馳, 入里必式.
少儀曰, 執虛, 如執盈. 入虛, 如有人.
禮記曰, 古之君子, 必佩玉. 右徵角, 左宮羽. 趨以采齊, 行以肆夏. 周還中規, 折還中矩. 進則揖之,
退則揚之. 然後玉鏘鳴也. 故君子在車, 則聞鸞和之聲, 行, 則鳴佩玉. 是以非辟之心, 無自入也.
射義曰, 射者, 進退周還, 必中禮. 內志正, 外體直, 然後持弓矢審固, 持弓矢審固, 然後可以言中.
此可以觀德行矣. 右, 明威儀之則.
容 : 담다. 용납하다. 받아들이다. 용서하다. 치장하다. 꾸미다. 맵시를 내다. 조용하다. 느긋하다. 권하다. 쉽다. 어렵지않다.
申申 : 느긋하다. 夭夭 : 온화하다.
采齊: 옛 악장의 이름. 趨走의 절도를 맞춘 음악이라 함. 肆夏 : 옛 악장의 이름. 行步의 절도를 맞추었던 음악.
規 : 법 규. 법, 법도, 법칙, 꾀, 동그라미, 문체이름,
矩 : 모날 구/법도 구. 모나다. 새기다. 새겨표시하다. 곱자(ㄱ모양의 자)네모, 사각형. 모서리, 대지, 땅, 법도, 상규, 규칙, 직각, 가을.
鸞 : 난새 란(난) 난새(상상속의 새) 방울, 和 : 악기의 한가지, 화령.
'漢文基礎 > 小學' 카테고리의 다른 글
敬身第三 4. 明飮食之節 (0) | 2016.10.02 |
---|---|
敬身第三 3. 明衣服之制 (0) | 2016.10.02 |
敬身第三 1.明心術之要 (0) | 2016.09.30 |
明倫第二 6. 通論 (0) | 2016.09.17 |
明倫第二 5.明朋友之交 (0) | 2016.09.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