第16章
子曰, 「群居終日言不及義, 好行小慧, 難矣哉。」
공자가 말씀하셨다.
“사람들이 모여 하루 종일 의에 대한 말은 한마디도 않고 잔꾀나 부리기를 좋아한다면 곤란하다.”
[해설]
무리들이 모여 종일토록 말하는 가운데에 의리에 대한 말은 없고, 술수나 잔꾀, 돈 벌 일만을 궁리하기를 좋아하면, 덕을 닦고 도를 하기에는 어렵다.
○小慧 私智也. 言不及義 則放辟邪侈之心 滋, 好行小慧 則行險僥倖之機熟. 難矣哉者 言其無以入德 而將有患害也.
○소혜는 사사로운 지혜라. 말이 의리에 미치지 못하면 방탕하고 편벽하고 간사하고 사치하는 마음이 불어나고, 사사로운 지혜를 행함을 좋아하면 험함을 행하면서 요행의 기틀이 익숙하니라. 어렵다라는 것은 써 덕에 들어감이 없고 장차 근심과 해로움만 있음을 말함이라.
第17章
子曰, 「君子義以爲質, 禮以行之, 孫以出之, 信以成之, 君子哉。」
공자가 말씀하셨다.
“군자는 의를 바탕으로 삼고, 예로 그것을 행하며 겸손으로 표현하고 신(信)으로 완성하니, 이런 사람이 바로 군자다.”
○義者 制事之本. 故 以爲質幹, 而行之必有節文, 出之必以退遜, 成之必在誠實, 乃君子之道也.
○程子曰, 義以爲質 如質幹然, 禮行此, 孫出此, 信成此, 此四句 只是一事, 以義爲本. 又曰敬以直內則義以方外, 義以爲質 則禮以行之 孫以出之 信以成之.
○의라는 것은 일을 짓는 근본이라. 그러므로 써 근간이 되고, 행함에 반드시 절차와 무늬를 두며, 냄에 반드시 써 물러가고 겸손하며, 이룸에 반드시 성실이 있으니 이에 군자의 도라.
○정자 가라사대 의로써 본질을 삼음은 근간을 이루는 것 같이 하여 예도 이에서 행하며 겸손함도 이에서 내며 믿음도 이에서 이루니 이 네 글귀는 다만 이 한 가지 일이나 의로써 근본을 삼느니라. 또 공경으로써 안을 곧게 하면 의로써 밖을 방정하게 하고(『주역』 坤卦 문언절) 의로써 본질을 삼으면 예로써 행하니 겸손함으로써 나가며 믿음으로써 이루니라.
第18章
子曰, 「君子病無能焉, 不病人之不己知也。」
공자가 말씀하셨다.
“군자는 자신의 무능을 걱정하지, 남이 자신을 알아주지 않는 것은 걱정하지 않는다.”
第19章
子曰, 「君子疾沒世而名不稱焉。」
공자가 말씀하셨다.
“군자는 죽을 때까지 이름이 일컬어지지 않는 것을 싫어한다.”
○范氏曰, 君子學以爲己, 不求人知. 然 沒世而名不稱焉, 則無爲善之實 可知矣.
○범씨 가로대 군자는 몸을 위함으로써 배우고 남이 알아줌을 구하지 않느니라. 그러나 세상이 몰하도록 이름이 일컬어지지 못하면 선한 것을 한 실지가 없음을 가히 아니라.
第20章
子曰, 「君子求諸己, 小人求諸人。」
공자가 말씀하셨다.
“군자는 모든 일의 원인을 자신에게서 찾고, 소인은 남에게서 찾는다.”
○謝氏曰, 君子無不反求諸己, 小人 反是, 此 君子小人所以分也.
○楊氏曰, 君子雖不病人之不己知, 然 亦疾沒世而名不稱也, 雖疾沒世而名不稱, 然 所以君子亦反諸己而已. 小人 求諸人. 故 違道干譽 無所不至. 三者 文不相蒙 而意實相足 亦記言者之意.
○사씨 가로대 군자는 돌아가 저 몸에서 구함이 없고 소인은 이에 반하니, 이는 군자와 소인이 써 나뉘는 바라.
○양씨 가로대 군자가 비록 남이 나를 알아주지 않음을 병되이 하지 아니하나 그러나 또한 세상이 몰하도록 이름이 일컬어지지 못함을 병되이 여기고, 비록 세상이 몰하도록 이름이 일컬어지지 못함을 병되이 여기나 그러나 써한 바 군자는 또한 저 몸을 돌이킬 뿐이니라. 소인은 저 남에게서 구하니라. 그러므로 도를 어기면서 명예를 구하여 이르지 않는 바가 없음이라. 세 가지(①君子病無能焉 不病人之不己知也. ②君子 疾沒世而名不稱焉. ③君子求諸己, 小人 求諸人.)는 글이 서로 힘입지는(이어지지는) 아니했으나 뜻은 실제로 서로 족하니(맞으니), 또한 말을 기록한 자의 뜻이니라
'四書 > 論語' 카테고리의 다른 글
衛靈公。第26章. 巧言亂德, ~ 第30章. 吾嘗終日不食, (0) | 2020.01.14 |
---|---|
衛靈公。第21章. 君子矜而不爭, ~ 第25章. 吾猶及史之闕文也, (0) | 2020.01.14 |
衛靈公。第11章. 人無遠慮, ~ 第15章. 不曰如之何, (0) | 2020.01.14 |
衛靈公。第 6章. 直哉史魚, ~ 第10章. 顔淵問爲邦 (0) | 2020.01.14 |
衛靈公。第 1章. 衛靈公問陳於孔子, ~ 第 5章. 言忠信行篤敬, (0) | 2020.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