兵書/六韜

육도삼략

柳川 2008. 9. 6. 11:14
1.  육도(六韜)

 

 

 

중국의  병법서로  유명한  육도는  전설상으로  주(周)나라의  태공망이  지는  것으로  전해오는데,  책  이름이  육도라고  된것은  그  책의  구성이   문도(文韜),  무도(武韜),  용도(龍韜),  호도(虎韜),  표도(豹韜),  견도(犬韜)의  6편으로  되어있기  때문이다.

 

 

 

도(韜)라는  것은  원래  활,  검따위의  무기를  싸는  주머니를  뜻하는  것인데,  전(轉)하여  깊이  감추어  드러내지  않는다는  뜻을  이루고,  다시  또  전하여  비결이라는  뜻을  이룬다.  다시  말하면  육도란  곧  여섯가지의  비결이라는  뜻이  된다.

 

 

 

이  책에  대하여  문헌에  나타난  것을  보면,  양(梁)나라  유중용(庾仲容)의  자초에  태공의  육도  6권이라  되어있고,  수서(隋書)의  경적지(經籍志)에는  태공의  육도  5권으로  되어  있으며,  다시  당서(唐書)의  예문지(藝文志)에  육도  6권으로  기록되어  있다.

 

따라서  현재의  육도는  그  내용으로  보아  태공망의  저술로는  볼  수  없거니와  문헌에  나타난  것으로  미루어  한대(漢代)이전부터  전해오던  육도와  제가의  학설을  모아  후한이나  그  후  위진시대에  이루어진  것으로  본다.

 

 

 

북송  때인  원풍  년간(1078 ~ 85)에  육도,  삼략,  손자,  오자,  사마법,  울료자,  이위공문대로써  <무경칠서(武經七書)>로  결정했는데   그  중  다른  병서에는  거의  모두가  천지,  음양,  전법,  병기,  지형등  군사부문에만  한하여  있는데  반하여  이  육도는  치세의  대도로부터  인간학,  조직학을  논급하고  정전(政戰)및  인륜을  논한  것이  특색이다.

 

 

 

모두  60장으로  되어  있으며,  문도와  무도  17장은  나라를  다스리는  문무의  대법을  논하였고,  용도이하의  43장은  병법전술을  논하였는데  이  병법은  많은  칭찬을  받아왔다.

 

특히  문무의  2도에  있어서는  민중본위의  노장사상다운  철학이  깃들여  현대  감각에  조금도  손색이  없다  할  것이다.

 

 

 

2.  삼략(三略)

 

 

 

삼략(三略)은  진(秦)나라  시대의  황석공이라는  은군자(隱君子)가  이교라  하는  곳에서  장량에게  전해준  태공망의  병서라  하는데  때문에  <황석공  삼략>이라  하기도  한다.

 

 

 

춘추경(春秋經)이  만들어진  것은  선각자가  중국에  춘추시대의 대혼란이  일어날  것을  미리  내다보고  이를  걱정하고  난신적자들이  일어나서  정치를  어지럽힐  것을  염려하였기  때문이라  하며,  삼략도  세상이  말세가  될  것을  미리  짐작한  성인이  그  것을  우려하여  지어낸  책이라  한다.

 

과연  진나라  말세가  되자  도덕은  무너지고  인심은  흉흉하여  간악한  무리들이  고개를  쳐들고  일어나서는  이제까지  면면히  전해내려오던  제왕의  정도를  좀먹어  들어가는  것이었다.   그러던  참에  이  삼략이  나타나자  고금의  성쇠나  바른  것과  그른  것을  기준으로  하여  분별할  수  있게  되었고  천하의  정도가  무엇인가를  명백히  깨달을  수  있었다  한다.

 

 

 

이  책을  삼략이라  한  것은  상략,  중략,  하략의  3편으로  나뉘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이름을  얻게  된  것이다.

 

략(略)은  책략,  모략의  뜻이다.

 

 

 

이  삼략에  대하여는  후세사람이   황석공의  이름을  빌어  지어낸  것이라는  설이  유력하다.   그렇지만   이  책  속에는  만세에  변치  않을  격언이  적지  않아  장구한  세월을  두고  존중되어  왔던  것이다.  그렇다면  책의  저자가  과연  누구인지  굳이  문제가  될  것은  없다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