生也一片浮雲起 - 涵虛得通
生也一片浮雲起
함허득통(涵虛得通1376-1433)
生也一片浮雲起 생은 한조각 구름이 일어남이요
死也一片浮雲滅 죽는 것은 한조각 구름이 스러짐이로다
浮雲自體本無實 구름자체가 본래 실체가 없거늘
生死去來亦如然 태어나고 죽고 오고 감이 그러하다.
※ 함허당득통화상어록(涵虛堂得通和尙語錄),
"위원경왕태후선가하어(爲元敬王太后仙駕下語)" 원경왕태후 영가를 위한 법문.
원래 마지막 두귀절이 浮雲自體澈底空 幻身生滅亦如然인데
이 게송은 약간 변형되어서 천도재 의식문에 영가법문(靈駕法門)(착어)으로 사용되며, 다비의식에서는
영가의 머리를 깎아주는 삭발의식문으로 사용된다고 함.
☞涵虛得通
1396년(태조 5) 관악산 의상암(義湘庵)으로 출가하였으며, 1397년에 회암사(檜巖寺)로 가서 무학왕사(無學王師)에게 법요(法要)를 들은 뒤 여러 곳을 다니다가, 1404년(태종 4) 다시 회암사에 가서 수도에 정진하였다.
1406년 공덕산(功德山) 대승사(大乘寺)에서 4년 동안 『반야경』을 설했고, 1410년 개성의 천마산 관음굴(觀音窟)에서 선을 크게 진작하였다. 1411년부터 절을 중수하고 승속(僧俗)들을 지도하였다. 1414년 황해도 평산(平山)의 자모산(慈母山) 연봉사(烟峯寺)의 작은 방을 함허당(涵虛堂)이라 명명하고, 『금강경오가해설의(金剛經五家解說誼)』를 강의하였다.
1420년(세종 2) 오대산에 들어가 오대의 여러 성인들에게 공양하고, 영감암(靈鑑庵)에 있는 나옹(懶翁)의 진영(眞影)에 제사한 뒤 잘 때, 꿈에 어떤 신승(神僧)이 나타나 이름은 기화, 호는 득통으로 지어 주어 이후 그것을 사용하였다.
1421년 세종의 청에 의하여 개성 대자사(大慈寺)에 머물면서 왕의 어머니를 위해 명복을 빌고, 왕과 신하들을 위해 설법하였다. 1424년 길상산(吉祥山)·공덕산(功德山)·운악산(雲岳山) 등을 편력하면서 일승(一乘)의 진리를 설파하였다.
1431년 문경의 희양산(曦陽山) 봉암사(鳳巖寺)를 중수하고 그곳에서 머물다가, 1433년 입적하였다
저서로는 『원각경소(圓覺經疏)』 3권, 『금강경오가해설의』 2권 1책, 『윤관(綸貫)』 1권, 『함허화상어록(涵虛和尙語錄)』 1권이 있다. 그 밖에도 『반야참문(般若懺文)』 1권이 있다고 하나 전하지 않는다.
[다음백과에서 인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