五柳先生傳
五柳先生傳
陶 淵 明
先生不知何許人。亦不詳其姓字。宅邊有五柳樹, 因以爲號焉。閑靖少言, 不慕榮利。好讀書, 不求甚解。每有意會,
便欣然忘食。性嗜酒, 家貧不能常得, 親舊知其如此, 或置酒而招之, 造飮輒盡, 期在必醉。旣醉而退, 曾不吝情去留。
環堵蕭然, 不蔽風日。短褐穿結, 簞瓢屢空, 晏如也。常著文章自娛, 頗示己志, 忘懷得失, 以此自終。
贊曰, 「黔婁有言, 『不戚戚於貧賤, 不汲汲於富貴。』 極其言, 玆若人之乎。 酣觴賦詩, 以樂其志, 無懷氏之民歟,
葛天氏之民歟 !」
오류선생은 어떤 사람인지 모른다. 또 그의 이름도 자세히 알지 못한다. 그의 집 주변에 버드나무 다섯 그루가 서 있는데 그로 인해 그렇게 불리워진 것이다. 조용하고 말이 적었으며 영리를 탐하지 않았다. 책 읽기를 좋아했으나 깊이 이해하려 하지 않았다. 매번 뜻에 맞는 글이 있으면 곧 기뻐하며 밥먹는 것도 잊었다.
천성이 술을 좋아하였으나 집이 가난하여 항상 마실 수가 없었는데 친구들이 그의 이러한 사정을 알고는 간혹 술자리를 마련하여 그를 불렀는데 그 자리에 가면 빈번히 술을 다 마셔서 반드시 취했다. 취해 물러날 때엔 가고 머무는데 미련을 두지 않았다. 담장은 허름하여 쓸쓸하고 바람과 햇빛을 가리지 못했다. 짧은 베옷도 구멍이 나 기워입었으며 밥그릇도
자주 비었지만 편안해 보였다. 항상 글을 짓고 스스로 즐기며 자신의 뜻을 많이 드러냈으나 득실을 생각하지 않고 이로써 세상을 마쳤다.
찬하여 말하였다. "검루가 말하기를 '빈천을 슬퍼하지 않으며 부귀에 급급하지 않는다.'고 하였는데 그 말은 궁극적으로 이와같은 사람을 말하는 것이다. 술이 얼근히 취하면 시를 지어 그 뜻을 즐겼으니 무회씨의 백성인가, 갈천씨의 백성인가."
黔婁 : 중국 춘추시대의 초(楚)나라 사람으로 노(魯)와 제(齊)나라에서 경상(卿相) 자리를 제안했지만 사양하고 안빈낙도(安貧樂道)로 아내와
깨끗한 절조를 지켰다.
無懷 : 중국 상고의 제왕 이름. 그 백성이 잘 먹고 안락한 삶을 즐겼으며, 닭 울음과 개 짖는 소리가 번갈아 들리고 백성이 노사(老死)에 이르러
서도 서로 왕래하지 않았다 함.
葛天 : 중국 상고의 제왕 이름. 무위(無爲)로 다스렸다함.
☞ 托傳
탁전에는 크게 2가지 종류가 있는데, 어떤 사상의 인물에 작자 자신을 은유한 자전적인 것을 자탁전(自托傳)이라 하고, 가상 또는 실제 인물의 특성에 작자의 사상·처세관·주장 등을 우의(愚意)한 것을 의탁전(意托傳)이라 한다.
보통 자탁전의 경우 객체인 가상의 인물명(人物名)은 작자 자신의 자호(自號)로 나타내고, 작자 자신의 행적보다는 자신을 객관화하여 그 심회를 조명하는 것을 위주로 한다. 이에 비해 의탁전의 경우 그 인물명은 작자와 관계없고, 다만 그의 사상이나 주장 등 정신적 작용을 반영하고, 주로 어떤 단편적인 우의·계세(戒世)·풍자를 목적으로 씌어졌다.
자탁전은 중국의 도잠(陶潛)이 지은 〈오류선생전 五柳先生傳〉이 그 시초이자 대표작품이다. 우리나라 작품으로는 이규보의 〈백운거사전 白雲居士傳〉, 최해의 〈예산은자전 猊山隱者傳〉, 성간의 〈용부전 慵夫傳〉, 성현의 〈부휴자전 浮休子傳〉 등이 있다.
의탁전은 중국에서는 유종원의 〈종수곽탁타전 種樹郭橐駝傳〉·〈梓人傳〉 등이 있고, 우리나라 작품으로는 권필의 〈주사장인전 酒肆丈人傳〉, 조찬한의 〈해상조오객전 海上釣熬客傳〉 등이 있다. <다음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