柳川 2016. 7. 7. 14:00

                                                       歸去來辭
                                                                                           

 

 

歸去來辭 幷書                                                                                陶 淵 明(365 ~ 427)


余家貧, 耕植不足以自給。幼稚盈室, 無儲粟. 生生所資, 未見其術。親故多勸余爲長吏, 脫然有懷,  求之靡途。會有四方之事, 諸侯以惠愛爲德, 家叔以余貧苦, 遂見用於小邑。於時風波未淨, 心憚遠役, 彭澤去家百里, 公田之利, 足以爲酒. 故便求之。及少日, 眷然有歸與之情何則? 質性自然, 非矯勵所得, 飢凍雖切, 違己交病。嘗從人事, 皆口腹自役。於是悵然慷慨, 深愧平生之志。猶望一稔, 當斂裳宵逝. 尋程氏妹喪於武昌, 情在駿奔, 自免去職。仲秋至冬, 在官八十餘日。因事順心, 命篇曰, 歸去來兮。乙巳歲十一月也.

 

 

歸與 :  ~ 與 의문, 반어의 조사. ~ 이구나. 감탄.  論語 公冶長 第21章에 歸與! 歸與! 의 표현이 나온다. 

何則 : 왜 그러한가. 주로 자문자답(自問自答)에 쓰임.       稔 : 곡식익을 임. 곡식이 익다. 쌓다. 쌓임. . 벼가   익는 기간. 1년간.

 

 

 

나는 집안이 가난하여 농사를 지어도 자급하지 못하였다.  아이들이 집안에 가득했으나 독에는 비축해둔 양식이 없었고  살아가는데 필요한 재화를 버는 방도도 터득하지 못하였다.  친척과 벗들이 나에게 장리벼슬이라도 해보라고 많이 권했고 그러한 상황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생각도 했으나 방도를 찾지 못했다. 때마침 사방에서 변란이 일어 제후들이 은혜와 사랑으로 덕을 베풀고 집안의 아저씨가 내가 가난으로 고생하는 것을 알고 작은 고을에 임용되도록 추천하였다. 

이때는 풍파가 진정되지 않았고 먼 곳에 가서 일하는 것이 마음에 내키지 않았지만 팽택이 집에서 100리의 거리에 있고 공전의 이로움이 있어 술을 담가 마시기에 족하여 바로 그 직을 수락했다. 며칠이 지나  문득 돌아갈까 하는 마음이 이는 것은 무슨 까닭인가?  본래 바탕과 천성이 자연스럽고 고치고 힘써서 얻은 바가 아닐뿐더러  배고픔과 추위가 비록 절박하다 할지라도 자신의 천성을 거스르면 병이 되기 때문이다. 

일찍이 남의 말을 좇아 일한 것은 모두 배를 채우기 위해 스스로 일한 것이다.  이리하여 슬프고 원통하며 평소 살아오면서 가진 뜻에 심히 부끄러웠다. 이에 1년이 되기를 기다려 행장을 꾸려 밤에 떠나고자 하였는데, 갑자기 정씨집으로 출가한 누이가 무창에서 상을 당하여 급히 가보고자 하는 마음에 스스로 면직을 청하여 그직을 떠났다. 

중추부터 동지까지 관직에 있은지 80여일만이었다.  마음에 따라 행하여 글의 이름을 「귀거래혜」라 지었다. 을사년 11월이었다.

 

 

                                               

歸去來辭

 

歸去來兮!                                 자! 돌아가자.

田園將蕪胡不歸。                     전원이 황폐해지는데 어찌 돌아가지 않으리 

旣自以心爲形役、                     스스로  마음을 육신의 노예로 삼았으니, (공명과 잇속에 얽매임)

奚惆悵而獨悲。                         어찌 낙담하여 홀로 슬퍼할 것인가

悟已往之不諫、                         이미 지난일 탓할 것 없다 

知來者之可追。                         앞으로의 일은 좇을 수 있음을 알았도다. 

實迷塗其未遠、                         실로 길 어긋났으나 멀어진건 아니니 

覺今是而昨非。                         이제 바른 길 깨닳았고 지난 일이 잘못되었음을 알았다.

舟搖搖以輕颺、                         배는 흔들흔들 가볍게 흔들리고 

風飄飄而吹衣。                         바람은 훨훨불어 옷자락을 날린다 

問征夫以前路、                         지나는 사람에게 앞길을 묻는데, 

恨晨光之熹微。                         새벽빛이 희미해 유감이로다.

 

 

形役 : 마음이 육체의 부리는 바가 된다는 뜻으로, 정신이 물질의 지배를 받음을 이름. 즉, 공명과 잇속에 얽매임.

☞ 來者之可追

    楚狂接輿歌而過孔子曰, 「鳳兮! 鳳兮! 何德之衰? 往者不可諫, 來者猶可追, 已而, 已而。今之從政者殆而。」   孔子下欲與之言,

    趨而辟之, 不得與之言。<論語 第18. 微子. 5.>

 

 

乃瞻衡宇、                                 저만치 집이 보이니 

載欣載奔。                                 기뻐 달려간다 

僮僕歡迎、                                 어린 하인 반겨하고 

稚子候門。                                 어린 자식들은 문앞에서 맞는다 

三徑就荒、                                 정원의 통로는 잡초가 우거졌지만 

松菊猶存。                                 소나무와 국화는 그대로다 

携幼入室、                                 어린아이 손잡고 들어가니 

有酒盈樽。                                 술동이엔 술이 가득이구나 

引壺觴以自酌、                         술병을 들어 잔을 채워 혼자 마시며 

眄庭柯以怡顔                         정원의 나뭇가지를 바라보며 웃는다 

倚南牕以寄傲                         남쪽 창에 함부로 기대어  의기양양해도 

審容膝之易安                         겨우 무릎 하나 들일만 해도 편안하구나 

園日涉以成趣                         날마다 정원을 거닐어도 풍취가 있고 

設而常關                         문이 있다 해도 (찾는 이 없어)늘 닫아두고 있다.

策扶老以流憩                         지팡이에 늙은 몸 의지하고 다니다 쉬기도 하고 

時矯首而游觀                         때로는 고개를 들어 먼 곳을 본다(游 -遐) 

雲無心以出岫、                         구름은 무심히 산봉우리에서 모습을 드러낸다. 

鳥倦飛而知還                         날다 지친 새는 둥지로 돌아온다 

景翳翳以將入                         해는 뉘엿뉘엿 넘어가려 하는데 

撫孤松而盤桓                         외로운 소나무 쓰다듬으며  서성거린다

 

岫 : 산굴 수.  산굴. 암혈(岩穴). 산봉우리. 산꼭대기.     盤桓 : 머뭇거리며 그 자리를 멀리 떠나지 못하고 서성이는 일.  배회하다.

 

 

歸去來兮!                                 돌아왔다 !   

請息交以絶游。                         친구를 사귀고 어울리는 것 모두 끊자 

世與我而相遺、                         세상과 나는 서로 어긋나기만 하니(遺-違) 

復駕言兮焉求。                         다시 벼슬에 나간들 무엇을 얻겠는가 

悅親戚之情話、                         친척들과 즐겁게 정담을 나누며 

樂琴書以消憂。                         거문고와 글 즐기니 우환이 사라진다 

農人告余以春及、                     농부가 나에게 봄이 왔음을 알리니 

將有事于西疇。                         서쪽 밭에 나가 할 일이 생겼다. 

或命巾車、                                 때로는 천막친 수레를 몰고 

或棹孤舟。                                 때로는 홀로 노를 젓는다 

旣窈窕以尋壑、                         구비구비 깊은 골도 찾아가고 

亦崎嶇而經丘。                         험한 산길 가파른 언덕길도 간다 

木欣欣以向榮、                         물오른 나무 싱싱하게 자라가고 

泉涓涓而始流。                         샘물은 물을 퐁퐁 쏟아 흘려 보낸다 

善萬物之得時、                         만물은 제철을 맞아 신명이 났건만 

感吾生之行休。                         내삶은 우선 쉬어야겠다.

 

 

已矣乎!                                     그만두어라

寓形宇內復幾時。                      이 세상에서 또 얼마나 살 것인가 

曷不委心任去留、                      가고 머무는 일이 어찌 마음대로 되겠는가 

胡爲乎遑遑欲何之?                    무엇을 위해 어디로 서둘러 갈것인가? 

富貴非吾願、                              부귀영화를 바란 것도 아니고 

帝鄕不可期。                              신선 사는 곳을 기대할 수도 없다. 

懷良辰以孤往、                          좋은 시절 바라며 홀로 나서서 

或植杖而耘耔。                          때로는 지팡이 세워두고 김매어 본다 

登東皐以舒嘯、                          동쪽 언덕에 올라 휘파람 불고

臨淸流而賦詩。                          맑은 시냇가에서 시를 짓는다

聊乘化以歸盡、                          천지의 조화에 따라 명이 다하면 돌아갈 것인데 

樂夫天命復奚疑。                      이미 천명을 즐겼거늘 어찌 또 의심하리.
 

 

 

 

 

 

 

 

 

 

[해설]

이 시는 두말의 소개가 필요 없는 대가 중 대가랄 수밖에 없는 도연명의 부시(賦詩)중 최고의 작품이라 아니 할 수 없다. 

도연명(陶淵明)은 시답잖은 시골 현령자리 박차고 나오면서 한 유명한 “쌀 다섯 말에 소인배에게 허리를 굽힐 수 없다”라는 말을 남기고 평소 그 스스로 꿈꾸던 전원생활로 돌아왔다.  이후의 그의 전원생활은 이 시에서 나타나 듯, 그대로 농사짓는 농사꾼으로 호구지책을 삼으면서 생활 속에서 묻어나는 자연주의 전원시를 시작(詩作) 하면서 62세를 일기로 편안한 생애를 마쳤다. 하지만 그의 생전에 도연명의 시는 별로 크게 인정을 받진 못했다. 도연명이 죽고 100여년 후 양나라 昭明太子의 文選 30권 중에 9편에 달하는 도연명 전집을 엮으면서 도연명의 평담(平談)한 전원자연시가 인정을 받으면서 수와 당을 거치면서 그의 시와 부의  주석서가 쏟아졌다. 특히, 그의 자연주의 전원시는 성, 중당(盛,中唐)시 왕맹위유(왕유, 맹호연, 위응물, 유종원)로 이어지는 전원자연파 시인그룹의 태두로 추앙되며 오늘에 이르러서는 오히려 도 연명의 귀거래사 풍의 부시(賦詩)인 산문시가 근래에 들어서는  더욱 각광을 받는 듯도하다. 

 

도연명(365~427) 

 

자는 연명, 또는 원량(元亮). 이름은 잠(潛). 집 앞에 버드나무 다섯그루 심어두고 스스로 五柳先生이라 칭하다.  동진(東晉) 말기부터 남조(南朝)의 송(宋:劉宋이라고도함) 초기에 걸쳐 생존했다. 중국 江西省 九江縣 柴桑출생. 그의 증조부가 西晉의 명장 도간(陶侃)이며, 외조부가 당시 동진(東晋)의 명사 맹가(孟嘉)였다고 하는데, 그의 부친은 이름 없는 선비에 불과하여 아직까지도 그 이름을 알 길 없을 정도로 그의 어린시절은 그리 풍족치 못한 가정에서 자랐다.29세 때 처음 관직으로 미관말직인 주(州)의 제주(祭酒)가 되었지만 곧 사임하고 그 후 군벌항쟁의 세파에 시달리며 한직에 머물다 41세 때 누이의 죽음을 빌미로 팽택현(彭澤縣) 관직을 끝으로 평소에 늘 그리던 전원생활로 돌아갔다.

 

바로 팽택현 관직 사임사(辭任辭)가 바로 그 유명한 귀거래사(歸去來辭)이다.그 후 향리에서 전원생활로 일생을 스스로 괭이 들고 농사지으며 가난과 병으로 괴로운 나날 중에도 시작(詩作)을 게을리하지 않고 생활 속에서 우러나는 진솔한 시로 역대 중국을 대표하는 자연주의 전원시의 일 대가로 자리매김하면서 그 위상을 더욱 공고히 하였다. 주요작품으로 [귀원전거][오류선생전][도화원기]등이 있다. 

 

[解釋]

, 淵明, 以不欲束帶見督郵而去官. 而其序, 其辭, 略不及之, 無怨天尤人之心. 惟見其有安土樂天之趣, 可謂賢矣. 自以室宰輔陶侃之曾孫恥復屈身後代宋業漸隆不肯復仕歿於宋元嘉四年朱文公綱目特筆書之曰晉處士陶潛.” 可謂又賢矣且節義之耿介者, 多過於矯激; 襟懷之和適者, 易流於頹靡, 淵明, 以和適之襟懷, 而全耿介之節義, 不偏不倚,蓋兩得之此篇, 兩提起歸去來兮 而始之曰: “胡不歸?” 終之曰: “乘化歸盡.” ‘胡不歸之歸, ‘歸歟之歸也; ‘歸盡之歸, ‘子全而歸之歸也惟其有前之歸, 養高全節. 故能生順死安, 歸盡無歉. 使枉己違性, 徇祿忘歸, 則易姓之際, 不能全節. 其歸盡也恨包羞, 澌盡泯滅, 草木俱腐而已. 安能雖死猶生, 千古流芳, 如此哉始末兩歸字, 爲一篇之眼目, 讀者其毋忽略於此云.

 

도연명을 살펴보면 띠를 차고 독우를 보고자 하지 않아 벼슬을 버렸다그러나 序文과 본문의 말엔 대략이라도 이런 내용이 없어 하늘을 원망하고 사람을 탓하는 마음이 없었다오직 선비를 편안히 여기고 하늘을 즐기는 뜻이 있음을 보이니, 어질다고 할 만하다.

스스로 진나라 재상 도간의 증손자로 다시 몸을 굽히는 걸 부끄러워했고 후대에 송나라의 업이 점점 융성해져서 기꺼이 다시는 벼슬하려 하지 않고 송나라 원가 4년에 죽었다그러자 주희가 資治通鑑綱目에 특별히 진나라 처사 도잠께서 돌아가셨다.”라고 썼으니, 또한 어질다 할 만하다또한 절의가 굳센 사람은 대부분 과격한 데서 지나치고 기상이 화평한 사람은 무너지는데 흐리기 쉬운데도연명은 화평한 기상으로 굳센 절의를 온전히 하여 치우치지도 기울지도 않았으니 대체로 두 부분을 얻었던 것이다.

이 글에선 두 번 歸去來兮를 제기했으니처음엔 어찌 돌아가지 않겠는가?”라고 말했고, 마지막엔 조화를 타고 돌아가 마치겠다고 말했다.‘  어찌 돌아가지 않겠는가?’ 자는 돌아갈끄나 자이고 돌아가 마치겠다 자는 자식은 보전하여 죽어야 한다 자다오직 앞에 돌아갈 것이 있어 고상함을 기르고 절개를 온전히 했다그러므로 살아선 순종했고 죽어선 편안했으니 돌아가 마치더라도 부끄럼이 없었던 것이다가령 자기를 굽히고 본성을 어그러뜨리며 봉록을 따라 돌아감을 잊었다면 역성혁명의 즈음엔 절개를 보전할 수 없었으리라.

그래도 돌아가 마칠 때엔 한을 품고 부끄러움을 머금어 다하고 없어져 초목과 함께 썩을 뿐이다어찌 비록 죽더라도 산 것 같아 천고에 향기가 남겨짐이 이와 같았겠는가처음과 끝의 두 가지 자는 이 글의 핵심이 되니, 독자는 여기에서 소홀히 하지 말라.

 

晉書에 묘사된 도연명

晉書』「隱逸列傳 陶潛: “其親朋好事, 或載酒肴而往, 潛亦無所辭焉, 每一醉, 則大適融然. 又不營生業, 悉委之兒僕, 未嘗有喜慍之色. 惟遇酒則飲, 時或無酒, 亦雅詠不輟嘗言夏月虛閑, 高臥北窗之下, 清風颯至, 羲皇上人.’ 性不解音, 而畜素琴一張, 絃徽不具, 每朋酒之會, 則撫而和之, : ‘但識琴中趣 何勞絃上聲’”

 

진서의 은일열전 도잠에서 말했다.

친한 벗이 좋은 일로 간혹 술과 안주를 가지고 오면 도잠은 사양하지 않았고 매번 한 번 취하면 크게 즐거워하며 화평했다또한 생업을 경영하지 않았고 집안일은 다 종에게 맡겨두고 일찍이 기쁘거나 슬픈 빛이 없었다.  오직 술을 만나면 마셨고 때로 술이 없으면 또한 시 읊조리길 그치지 않았다일찍이 말했다. ‘여름 달밤에 공허하고 한가로이 높다란 북창의 아래에 누워 맑은 바람이 불어오면 스스로를 세상을 잊고 숨어사는 사람이로다라고 했다.’  성품은 음악을 알지 못하나흰 비파 하나를 준비해놓고 줄과 기러기발이 없는데(無絃琴)도 매번 벗과 술이 모이면 비파를 어루만지며 화답하면서  다만 비파의 흥취를 아노니어찌 줄 위의 소리를 수고롭게 하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