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國歷史와文學/史記

史期 卷 一. 五帝本紀 第一 (3. 帝堯)

柳川 2016. 8. 8. 16:53

 <帝堯>

 

 

帝堯者,1) 放勳.2) 其仁如天,3) 其知如神.4) 就之如日,5) 望之如雲.6) 富而不驕, 貴而不舒.7) 黃收純衣,8) 彤車乘

白馬. 能明馴德,9) 以親九族. 九族旣睦, 便章百姓.10) 百姓昭明, 合和萬國.

 

收 : 冠의 이름.   純 : 검은 비단 치. 검은 비단(緇)

 

제요는 방훈이다. 하늘같이 인자하고 신처럼 지혜로웠다. 해를 향해 가듯 구름을 올려다 보듯 다가갔다. 넉넉했으나 교만하

지 않고, 귀했으나 게으르지 않았다. 누런 관을 쓰고 검은 옷을 입었다. 하얀 말이 끄는 붉은 마차를 탔다. 덕을 밝히니 구족

이 친했다. 구족이 화목하니 곧 백성의 모범이 되었고, 백성이 밝으니 만국이 화합했다

 

 

 

乃命羲、和,11) 敬順昊天,12) 數法13)日月星辰,14) 敬授民時.15) 分命羲仲, 居郁夷, 曰暘谷.16) 敬道日出, 便程

東作.17) 日中, 星鳥, 以殷中春.18) 其民析, 鳥獸字微.19) 

 

暘 : 해돋이 양. 해돋이. 해가 뜸. 말리다. 건조시킴. 밝다. 하늘이 맑음.  東作 : 농사. 봄철에 할 농사 혹은 봄철에 심는 농작물을 가리킴.

日中 : 3가지 의미가 있음. 1. 정오. 2. 밤낮의 길이가 같은 춘분, 추분을 가리킴. 3. 해가 떠서 정오까지의 반나절. 

星鳥 : 鳥星. 28수(宿) 중에서 남방 주작(朱雀) 7수의 별자리이고 성성(星星)이다. 춘분 저녁에 조성이 나타나면 이것을 보고 중봄(仲春) 

       즉 춘분의 절기를 바르게 정한다.

字 : 새끼를 배다. 새끼를 낳다. 양육하다. 암컷.   微 : 교접. 尙書. (), 交接也.

 

희씨(羲氏)와 화씨(和氏)에게 명해 하늘을 공경스럽게 따르고 일월성신의 운행법칙을 헤아려서 인민에게 삼가 때를 맞추도

록 했다. 희중(羲仲)에게는 양곡(暘谷)이라고 불리는 욱이(郁夷)에서 머물게 해 떠오르는 해를 공손히 맞이하고 때맞추어 농

사를 짓게 하라고 명령했다. 낮밤의 길이가 같은 날 조성(鳥星)이란 별이 하늘에 나타나는 시각을 잡아서 춘분을 정하게 했

다. 이때가 되면 인민은 들로 나가 농사를 지었고, 새나 짐승은 교미해 새끼를 낳았다.

 

 

申命羲叔, 居南交.20) 便程南爲, 敬致.21) 日永, 星火, 以正中夏.22) 其民因, 鳥獸希革.23) 申命和仲,24) 居西土,

25) 曰昧谷.26) 敬道日入, 便程西成.27) 夜中, 星虛,28) 以正中秋.29) 其民夷易, 鳥獸毛毨.30) 

 

南爲 : 索隱爲依字讀. 春言東作, 夏言南爲, 皆是耕作營爲勸農之事. 

日永 : 集解孔安國曰:「, 長也, 謂夏至之日. , 蒼龍之中星, 擧中則七星見可知也, 以正中夏之[].

希革 : 夏時鳥獸毛羽希少改易也. , 改也. 

西成 : 集解孔安國曰:「, 西方, 萬物成也.

毨 : 털갈 선.

    

 

희숙(羲叔)에게는 남교(南交)에서 살면서 때맞추어 여름 농사를 받들게 하라고 명령했다. 낮이 가장 긴 날 화성(火星)이 정

남쪽 하늘에 나타나는 시각을 잡아서 하지를 정하게 했다. 이때가 되면 인민들은 여전히 농사에 바빴고, 새나 짐승들은 털갈

이를 하느라 털이 성글었다. 화중(和仲)에게는 매곡(昧谷)이라는 서토(西土)에 살면서 지는 해를 공손히 보내고 가을 농사를 

때맞추어 잘 하게 하라고 명령했다. 밤과 낮의 길이가 같은 날, 허성(虛星)이 정남쪽 하늘에 나타나는 시각을 잡아서 추분을 

정하게 했다. 이 때가 되면 인민들은 편하고 느긋했고, 새나 짐승들은 새 털이 났다.

 

 

申命和叔;居北方, 曰幽都.31) 便在伏物.32) 日短, 星昴, 以正中冬.33) 其民燠, 鳥獸氄毛.34) 歲三百六十六日, 

以閏月正四時.35) 信飭36)百官, 衆功皆興.

 

伏物 : 索隱使和叔察北方藏伏之物, 謂人畜積聚等冬皆藏伏. 尸子亦曰「北方者, 伏方也」

氄 : 솜털 용/가벼운털 모. 솜털. 짐승의 부드러운 털. 털이 많다. 털이 성하다.  

 

화숙(和叔)에게는 유도(幽都)라는 북방(北方)에 살면서 겨울 곡식을 잘 저장하게 하라고 명령했다. 낮의 길이가 가장 짧은 

날 묘성(昴星)이 정남쪽 하늘에 나타나는 시각을 잡아서 동지를 정하게 했다. 이때가 되면 인민은 따뜻하게 지냈고 짐승들

에게도 따스한 털이 났다. 1년을 366일로 정하고, 3년에 한 번씩 윤달을 두어 사계절을 바로 잡았다. 백관들의 성과를 심사

하나 모두의 업적이 올라갔다.

 

 

 

堯曰:「誰可順此事?」37)放齊曰:「嗣子丹朱開明.38)」堯曰:「吁! 頑凶, 不用.」39)堯又曰:「誰可者?」

讙兜曰:「共工旁聚布功, 可用.」40)堯曰:「共工善言, 其用僻, 似恭漫天, 不可.」41)

 

順 : 잇다. 이어받음. 正義言將登用之嗣位也.  頑 : 완고할 완. 완고하다. 무디다. 재주가 없다. 탐하다. 욕심이 많음. 

讙 : 시끄러울 환/부르짖을 훤. 正義左傳云:「口不道忠信之言爲嚚, 心不則德義之經爲頑., 訟也. 言丹朱心旣頑嚚, 又好爭訟, 

    不可用之.

漫天 : 正義漫音莫干反. 共工善爲言語, 用意邪僻也. 似於恭敬, 罪惡漫天, 不可用也.

 

요가 “누가 이 일을 계승할 수 있을까”라고 묻자, 방제(放齊)가 “아드님 단주(丹朱)가 사리에 밝고 명석하십니다”라고 대답

했다. 그러자 요는 “오! 그 아이는 덕이 없고 싸움을 좋아하니 쓸 수가 없네”라 했다. 

요가 또 “누가 좋을까”라고 물었다. 이에 환두(讙兜)가 “공공(共工)이 사람들을 널리 모아서 많은 업적을 세우고 있으니 그

가 쓸만 합니다”라고 대답했다. 그러자 요는 “공공은 말은 잘하지만 등용했다간 한 쪽으로 치우치고, 겉으로는 공손한 것 

같지만 하늘마저 업신여기기 때문에 기용할 수 없소”라 했다.

 

 

堯又曰:「嗟, 四嶽,42) 湯湯洪水滔天, 浩浩懷山襄陵,43) 下民其憂, 有能使治者?」皆曰鯀可.44) 堯曰:「鯀負

命毁族, 不可.」45)嶽曰:「异哉, 試不可用而已.」46)堯於是聽嶽用鯀. 九歲, 功用不成.47)

 

 

요가 또 “아, 사악(四嶽)이여! 도도한 홍수가 하늘에까지 넘쳐서 물줄기가 산을 감싸고 언덕까지 덮치니 인민들의 걱정이 태

산인데, 이 홍수를 다스릴 수 있는 사람이 없겠소”라고 물었다. 모두들 “곤(鯀)이 할 수 있습니다”라 했다. 요는 “곤은 명령

을 어기고 동족간의 친목을 해쳤으니 안 되오”라 했다. 사악은 “그는 남과 다릅니다. 시험 삼아 써보시고, 잘못하면 쓰지 않

으면 될 것입니다”라 했다. 요는 사악의 말을 듣고 곤을 등용했으나 9년이 지나도록 공을 세우지 못했다.

 

 

 

堯曰:「嗟! 四嶽:朕在位七十載, 汝能庸命, 踐朕位?」48)嶽應曰:「鄙德忝帝位.」49)堯曰:「悉擧貴戚及疏

遠隱匿者.」衆皆言於堯曰:「有矜在民閒, 曰虞舜.」50)堯曰:「然, 朕聞之. 其何如?」嶽曰:「盲者子. 父頑, 

母嚚, 弟傲, 能和以孝, 烝烝治, 不至姦.」51)堯曰:「吾其試哉.」52)

 

矜 : 홀아비 환(관)/불쌍히 여길 긍/자랑할 긍/창자루 근. 

 

요가 “오! 사악이여. 짐이 재위한 지 70년, 그대들도 명령을 집행할 수 있을 터인데, 짐의 자리를 맡아주시오”라 했다. 사악

은 “신들은 덕행이 미천해 제왕의 지위를 욕되게 할 것입니다”라고 대답했다. 이에 요가 사악에게 “신분 높은 친족이나 관

계가 멀지만 숨어 있는 사람들 가운데서 쓸 만한 사람이 있으면 천거하시오”라고 하자, 모두 입을 모아서 요에게 “민간에 

홀아비가 한 사람 있는데, 이름을 우순(虞舜)이라고 합니다”라고 말했다. 요는 “그렇소, 나도 그에 대해서 들었소. 그는 어

떤 사람이오”하고 물었다. 사악이 “그는 장님의 아들입니다. 아비는 도덕이란 전혀 모르는 자이고, 어미는 남을 잘 헐뜯는 

자이며, 동생은 교만합니다. 하지만 그는 효성을 다함으로써 그들과 화목하게 지내고, 그들을 점점 착해지게 해 나쁜 일을 

하지 않도록 만들었습니다”라 대답했다. 요는 “내가 그를 한번 시험해보리다”라고 말했다.

 

 

於是堯妻之二女,53) 觀其德於二女.54) 舜飭下二女於嬀汭,55) 如婦禮. 堯善之, 乃使舜愼和五典,56) 五典能從. 

遍入百官, 百官時序. 賓於四門, 四門穆穆, 諸侯遠方賓客皆敬.57) 堯使舜入山林58)川澤, 暴風雷雨, 舜行不迷. 

以爲聖, 召舜曰:「女謀事至而言可績, 三年矣.59) 女登帝位.」 舜讓於德不懌.60) 正月上日,61) 舜受終於文祖. 

文祖者, 堯大祖也.62)

 

如: 따르다. 좇음.

五典 : 1. 소호,전욱,고신,요,순의 서적을 가리킨다. 2. 오상(五常) 즉 아버지는 의롭게의 부의(父義), 어머니는 자애롭게의 모자(母

        慈), 형님은 우애있게의 형우(兄友), 동생은 공손하게의 제공(弟恭), 자식은 효성스럽게의 자효(子孝)의 도리를 가리킨다.

 

 

이리하여 요는 자신의 두 딸을 그에게 시집보내어 딸들에게 대하는 그의 덕행을 관찰했다. 순은 요의 두 딸을 타일러 자기가 

살고 있는 규예(嬀汭) 근처로 맞이했고, 부인의 예절을 지키게 했다. 요는 순의 이러한 행동이 마음에 들어서, 순으로 하여금 

오전(五典)을 신중하게 이끌도록 했더니, 오전이 널리 퍼졌다. 요는 다시 순에게 백관의 일을 총괄하게 했고, 그러자 모든 백

관의 일들이 질서 있게 행해졌다. 또한 순에게 사문(四門)에서 손님을 접대하는 일을 맡겼더니 사문에서 일을 보는 사람들이 

빈객에게 정중하고 화목하게 대해, 제후들이나 먼 곳에서 온 손님들이 모두 순을 공경했다.

 

 

요는 또 순에게 깊은 산림과 하천, 연못에 관한 일을 맡겨보았지만 폭풍과 뇌우 속에서도 순은 한 번도 일을 그르치지 않았

다. 요는 순을 성인으로 보고 그를 불러서 말했다. “그대는 일을 도모함에 주도면밀하고, 말을 하면 그 말대로 행한 지 벌써 

3년이나 되었다. 그러니 그대가 제위에 오르도록 하라.” 순은 덕이 부족하다며 사양하고 기뻐하지 않았다. 정월 초하루 순

은 문조(文祖)에서 끝내 자리를 이어받았다. 문조는 요의 시조이다.

 

 

於是帝堯老, 命舜攝行天子之政, 以觀天命. 舜乃在璿璣玉衡, 以齊七政.63) 遂類于上帝,64) 禋于六宗,65) 望于山

川,66) 辯于群神.67) 揖五瑞, 擇吉月日, 見四嶽諸牧, 班瑞.68) 

 

璿 : 선옥 선(구슬 선)      在 : 찾다. 방문함. 살피다. 제멋대로 하다. 그대로 둠. 

七政 : 集解鄭玄曰:「璿璣, 玉衡, 渾天儀也. 七政, 日月五星也.

類 : 集解鄭玄曰:「禮祭上帝于圜丘.正義五經異義云:「非時祭天謂之類, 言以事類告也. 時舜告攝, 非常祭也.王制云

    「天子將出, 類于上帝.

禋 : 제사지낼 인/천제지낼 연. 

精意以享曰. 孫炎云:「, 絜敬之祭也.

六宗 : 集解鄭玄曰:「六宗, 司中司命風師雨師也.

望 : 集解徐廣曰:「名山大川.正義望者, 遙望而祭山川也. 山川, 五嶽四瀆也.

辯 : 集解徐廣曰:「辯音班.駰案鄭玄曰群神若丘陵墳衍. 正義辯音遍. 謂祭群神也.

五瑞 : 천자가 공, 후, 백, 자, 남의 제후를 봉할 때에 그 등급에 따라 내려 주던 다섯 가지 규와 벽. 集解馬融曰:「, 斂也. 五瑞, 

       侯伯子男所執, 以爲瑞信也. 堯將禪舜, 使群牧斂之, 使舜親往班之.

 

이때 요는 이미 늙었으므로 순에게 천자의 정치를 대신하게 하고 이렇게 하는 것이 하늘의 뜻에 부합하는지를 관찰하게 했

다. 순은 이에 선기(璇璣), 옥형(玉衡)으로 열심히 측정해 칠정(七政)을 가지런히 바로잡았다. 마침내 상제께 유(類) 제사를, 

육종(六宗)에는 인(禋) 제사를, 산천에는 망(望) 제사를 드렸으며, 여러 신들에게도 두루 제사를 올렸다. 오서(五瑞)를 거두

었다가 길일과 길월을 택해서 사악과 제후들을 접견한 후에, 다시 그것을 등급에 맞추어 나누어 주었다.

 

 

歲二月, 東巡狩, 至於岱宗, 祡,69) 望秩於山川.70) 遂見東方君長, 合時月正日,71) 同律度量衡,72) 脩五禮73)五

玉74)三帛75)二生76)一死77)爲摯,78) 如五器, 卒乃復.79) 五月, 南巡狩;八月, 西巡狩;十一月, 北巡狩:皆如

初. 歸, 至于祖禰廟,80) 用特牛禮. 

 

岱宗 : 太山의 別稱.

祡 : 시제사 시. 섶나무를 태우며 하늘에 지내던 제사. 

五禮 集解馬融曰:「嘉也.

禰廟 : 正義禰音乃禮反. 何休云:「生曰父, 死曰考, 廟曰禰.」  特 : 수컷.

 

그해 2월에는 동쪽을 시찰했는데, 태산에 이르러서도 장작을 태워서 하늘에 제사 지내고, 다른 산천에도 순서를 정해서 두

루 망 제사를 올렸다. 이때 동방의 군장들을 접견했고, 계절과 한 달의 날짜를 바로잡았고 하루의 시각을 바르게 정했고, 

음률과 도량형을 통일했으며 오례(五禮)를 제정했다. 또한 황제를 알현하는 진상품은 제후(諸侯)는 다섯 가지 옥과 세 가지 

빛깔이 나는 수직품인 삼백(三帛)으로, 경대부(卿大夫)는 살아 있는 양 또는 기러기로, 그리고 사(士)는 죽은 꿩 한 마리로 

정했는데, 다섯 가지 옥은 조회가 끝나면 다시 돌려주었다. 또한 5월에는 남쪽을 시찰했고, 8월에는 서쪽을, 11월에는 북쪽

을 순수(巡狩)했는데, 모두 처음에 했던 것과 같았다. 돌아와서는 요의 조묘와 부친의 묘당에 황소를 제물로 삼아 제사 드리

며 아뢰었다.

 

 

五歲一巡狩, 群后四朝.81) 遍告以言,82) 明試以功, 車服以庸.83) 肇十有二州, 決川.84) 象以典刑,85) 流宥五刑,

86) 鞭作官刑,87) 扑作敎刑,88) 金作贖刑.89) 眚災過, 赦;90)怙終91)賊, 刑.92) 欽哉, 欽哉, 惟刑之靜哉!93)

 

扑 : 칠 복. 치다. 가볍게 치다. 넘어뜨리다. 넘어짐. 

眚 : 눈에 백태낄 생/흐릴 생. 눈에 백태가 끼다. 잘못. 허물. 재앙. 괴이하다. 앓다. 병. 여위다. 덜다. 줄임. 용서하다.

怙終 : 이전의 죄를 뉘우치지 않고 다시 범죄를 저지름.  

 

 

순은 5년에 한 번씩 순수했고, 4년간은 여러 제후들이 와서 조회를 하게 했다. 그는 모든 제후들에게 나라를 다스리는 방법

을 말해주었으며, 제후들의 정치실적을 분명히 살펴서 그 공로에 따라서 수레와 의복을 상으로 주었다. 또한 12주를 처음으

로 설치했고, 물길을 잘 통하게 했다. 형법을 기물 위에 새겼고, 오형에 해당하는 죄를 지은 사람은 유배형으로 죄를 낮추어 

관대하게 처리했다. 관가에서는 채찍질로 형을 집행했고, 학교에서는 회초리로 체벌을 했으며, 고의로 죄를 지은 자가 아니

면 돈으로 속죄하게 했다. 재난이나 과실에 의한 죄는 용서하고, 고의적인 범죄와 중범에는 형벌을 가하게 했다. 

“신중하라, 신중하라! 오로지 형벌은 바르게 해야 한다.”

 

 

 

讙兜進言共工,94) 堯曰不可而試之工師,95) 共工果淫辟.96) 四嶽擧鯀治鴻水, 堯以爲不可, 嶽彊請試之, 試之而無

功, 故百姓不便. 三苗97)在江淮、荊州98)數爲亂. 於是舜歸而言於帝, 請流共工於幽陵,99) 以變北狄;100)放驩

於崇山,101) 以變南蠻;遷三苗於三危,102) 以變西戎;殛鯀於羽山,103) 以變東夷:四罪而天下咸服.

 

 

환두가 공공을 추천했을 때 요는 안 된다고 했지만, 그를 공사(工師)로 기용했다. 공공은 역시나 교만방자하고 사악했다. 사

악이 곤을 추천해 홍수를 다스리도록 했을 때, 요는 또 안 된다고 했으나 사악이 한사코 그를 시험해보자고 청해 시험해보았

지만 아무런 공을 세우지 못했다. 그래서 백성들은 불편했다. 삼묘(三苗)가 강회(江淮), 형주(荊州)에서 여러 차례 난을 일으

켰다. 이때 순은 순수를 마치고 돌아와서는 요에게 말하길 공공을 유릉(幽陵)으로 유배시키어 북적(北狄)을 교화시키고, 환

두를 숭산(崇山)으로 내쳐서 남만(南蠻)을 교화시키며, 삼묘를 삼위산(三危山)으로 쫓아내어 서융(西戎)을 교화시키고, 곤을 

멀리 우산(羽山)으로 추방해 동이(東夷)를 교화시키자고 했다. 네 죄인을 다스리니 천하가 모두 복종했다.

 

 

堯立七十年得舜, 二十年而老, 令舜攝行天子之政, 薦之於天. 堯辟位凡二十八年而崩.104) 百姓悲哀, 如喪父母. 三

年, 四方莫擧樂,105) 以思堯. 堯知子丹朱之不肖,106) 不足授天下, 於是乃權授舜.107) 授舜, 則天下得其利而丹朱

病;授丹朱, 則天下病而丹朱得其利. 堯曰「終不以天下之病而利一人」, 而卒授舜以天下. 堯崩, 三年之喪畢, 舜讓

辟丹朱於南河之南.108) 諸侯朝覲者不之丹朱而之舜, 獄訟者不之丹朱而之舜, 謳歌者不謳歌丹朱而謳歌舜. 舜曰

「天也」, 夫而後之中國踐天子位焉,109) 是爲帝舜.

 

 

요가 자리에 오른 지 70년 만에 순을 얻었고, 20년이 지나 늙자 순에게 천자의 정치를 대행하라고 하늘에 순을 추천했다. 

요가 자리를 물려준 지 28년 만에 세상을 뜨니, 백성들은 마치 자신들의 부모를 잃은 것처럼 슬퍼했다. 3년상을 치르는 동안 

사방의 모든 사람들이 아무도 음악을 연주하지 않고 요를 추모했다. 요는 아들 단주가 불초해서 천하를 이어받기에는 부족

하다는 것을 알았기 때문에 권력을 순에게 넘겨주기로 했다. 순에게 제위를 넘겨주면 천하의 모든 사람들이 이익을 얻고 단

주만 손해를 보지만, 단주에게 제위를 넘겨주면 천하의 모든 사람들이 손해를 보고 단주만 이익을 얻는다는 것을 알았던 것

이다. 요는 “한 사람의 이익을 위해 천하가 손해 볼 수는 없다, 결코”라 하고는 끝내 천하를 순에게 넘겨주었다.

 

 

요가 세상을 뜨고 3년상을 마치자, 순은 단주에게 천하를 양보하고 자신은 남하(南河)의 남쪽으로 피했으나, 제후들이 단주

에게 조회를 드리러 가지 않고 순에게 왔으며, 소송을 거는 사람들도 단주가 아니라 순에게로 해결해달라고 왔으며, 덕을 노

래하는 자들은 단주가 아닌 순의 덕을 노래했다. 순은 “하늘의 뜻이구나”라고 하며 도성으로 가서 천자의 자리에 오르니 이

가 제순이다.

 

 

 

각주

 

1. 集解謚法曰:「翼善傳聖曰堯.索隱堯, 謚也. 放勳, . 帝嚳之子, 姓伊祁氏. 皇甫謐云堯初生時, 其母在三阿之南, 

   於伊長孺之家, 故從母所居爲姓也. 正義徐廣云:「號陶唐.帝王紀云:「堯都平陽, 於詩爲唐國.徐才宗國都城記云

  「唐國, 帝堯之裔子所封. 其北, 帝夏禹都, 漢曰太原郡, 在古冀州太行恆山之西. 其南有晉水.括地志云:「今晉州所理平陽

   故城是也. 平陽河水一名晉水也.

 

2. 集解徐廣曰:「號陶唐.皇甫謐曰:「堯以甲申歲生, 甲辰卽帝位, 甲午徵舜, 甲寅舜代行天子事,辛巳, 年百一十八, 在位

   九十八年.

 

3. 索隱如天之函養也.

4. 索隱如神之微妙也.

5. 索隱如日之照臨, 人咸依就之, 若葵藿傾心以向日也.

 

6. 索隱如雲之覆渥, 言德化廣大而浸潤生人, 人咸仰望之, 故曰如百谷之仰膏雨也.

7. 索隱舒猶慢也. 大戴禮作不豫.

 

8. 集解徐廣曰:「, 一作『■』.駰案太古冠冕圖云夏名冕曰收. 禮記曰野夫黃冠. 鄭玄曰 「純衣, 士之祭服. 

   索隱收, 冕名. 其色黃, 故曰黃收, 象古質素也. , 讀曰緇.

 

9. 集解徐廣曰:「, 古訓字.索隱史記字徐廣皆讀曰訓. , 順也. 言聖德能順人也. 尙書作俊德, 孔安國云

  「能明用俊德之士, 與此文意別也.

 

10. 集解徐廣曰:「下云便程東作, 然則訓平爲便也.駰案尙書並作. 孔安國曰百姓,. 鄭玄曰百姓, 

    群臣之父子兄弟. 索隱古文尙書作, 此文蓋讀爲浦耕反. 平旣訓便, 因作便章. 其今文作辯章. 

   「字亦作, 音婢緣反. 便則訓辯, 遂爲辯章. 鄒誕生本亦同也.

11. 集解孔安國曰:「重黎之後, 羲氏和氏世掌天地之官.正義呂刑傳云:「重卽羲, 黎卽和, 雖別爲氏, 而出自重黎也.

    案聖人不獨治, 必須賢輔, 乃命相天地之官, 若周禮天官卿地官卿也.

 

12. 正義敬猶恭勤也. 元氣昊然廣大, 故云昊天. 釋天云:「春爲蒼天, 夏爲昊天, 秋爲旻天, 冬爲上天.而獨言昊天者, 以堯能敬

    天, , 故以昊大言之.

13. 索隱尙書作曆象日月, 則此言數法, 是訓曆象二字, 謂命羲和以曆數之法觀察日月星辰之早晩, 以敬授人時也.

14. 正義曆數之法, 日之甲乙, 月之大小, 昏明遞中之星, 日月所會之辰, 定其天數, 以爲一歲之曆.

 

15. 正義尙書考靈耀云主春者, 張昏中, 可以種稷. 主夏者, 火昏中, 可以種黍菽. 主秋者, 虛昏中, 可以種. 主冬者, 昴昏中, 

    以收斂也.天子視四星之中, 知民緩急, 故云敬授民時也.

 

16. 集解尙書作嵎夷. 孔安國曰:「東表之地稱嵎夷. 日出於暘谷. 羲仲, 治東方之官.索隱舊本湯谷, 今並依尙書字. 

    案淮南子曰日出湯谷, 浴於咸池, 則湯谷亦有他證明矣. 又下曰昧谷, 徐廣云一作』」, 柳亦日入處地名. 

    太史公博採經記而爲此史, 廣記異聞, 不必皆依尙書. 蓋郁夷亦地之別名也. 正義郁音隅. 陽或作. 禹貢靑州云:「

    夷旣略.嵎夷, 靑州也. 堯命羲仲理東方靑州嵎夷之地, 日所出處, 名曰陽明之谷. 羲仲主東方之官, 若周禮春官卿.

17. 集解孔安國曰:「敬道出日, 平均次序東作之事, 以務農也.索隱劉伯莊傳皆依古史作平秩音. 然尙書大傳曰辯秩東作, 

    則是訓秩爲程, 言便課其作程者也. 正義道音導. , , 並如字, 後同. ,訓也. 三春主東, 故言日出. 耕作在春, 故言東作. 

    羲仲恭勤道訓萬民東作之事, 使有程期.

18. 集解孔安國曰:「日中謂春分之日也. , 南方朱鳥七宿也. , 正也. 春分之昏, 鳥星畢見, 以正仲春之氣節. 轉以推孟, 

    則可知也.正義下音仲, 冬並同.

 

19. 集解孔安國曰:「春事旣起, 丁壯就功, 言其民老壯分析也.乳化曰字. 尙書. (), 交接也.

20. 集解孔安國曰:「夏與春交, 此治南方之官也.索隱孔注未是. 然則冬與秋交, 何故下無其文 且東嵎夷, 西昧谷, 北幽都, 

    三方皆言地, 而夏獨不言地, 乃云與春交, 斯不例之甚也. 然南方地有名交阯者, 或古文略擧一字名地, 南交則是交阯不疑也. 

    正義羲叔主南方官, 若周禮夏官卿也.

 

21. 集解孔安國曰:「, 化也. 平序分南方化育之事, 敬行其敎, 以致其功也.索隱爲依字讀. 春言東作, 夏言南爲, 皆是耕作營

    爲勸農之事. 孔安國强讀爲, 雖則訓化, 解釋亦甚紆回也. 正義爲音于僞反. 命羲叔宜恭勤民事. 致其種殖, 使有程期

   也.

22. 集解孔安國曰:「, 長也, 謂夏至之日. , 蒼龍之中星, 擧中則七星見可知也, 以正中夏之[].馬融王肅謂日長晝漏

    六十刻, 鄭玄曰五十五刻.

23. 集解孔安國曰:「, 謂老弱因就在田之丁壯以助農也. 夏時鳥獸毛羽希少改易也. , 改也.

 

24. 正義和仲主西方之官, 若周禮秋官卿也.

25. 集解徐廣曰:「一無. 以爲西者, 今天水之西縣也.駰案鄭玄曰西者, 隴西之西, 今人謂之兌山.

26. 集解徐廣曰:「一作柳谷.駰案孔安國曰日入于谷而天下冥, 故曰昧谷. 此居治西方之官,秋天之政也.

27. 集解孔安國曰:「, 西方, 萬物成也.

28. 索隱虛, 舊依字讀, 而鄒誕生音墟. 虛星主墳墓, 鄒氏或得其理.

29. 集解孔安國曰:「春言日, 秋言夜, 互相備也. , 玄武之中星. 亦言七星皆以秋分日見, 以正三秋也.

 

30. 集解孔安國曰:「, 平也. 老壯者在田, 與夏平也. , 理也. 毛更生()整理.

31. 集解孔安國曰:「北稱幽都, 謂所聚也.索隱山海經曰北海之內有山名幽都, 蓋是也. 正義案北方幽州, 陰聚之地, 

    和叔居理之. 北方之官, 若周禮冬官卿.

32. 索隱使和叔察北方藏伏之物, 謂人畜積聚等冬皆藏伏. 尸子亦曰「北方者, 伏方也」. 尙書作「平在朔易」. 今案:大傳云「便在伏物」, 

    太史公據之而書.

33. 集解孔安國曰:「日短, 冬至之日也. , 白虎之中星. 亦以七星並見, 以正冬節也.馬融王肅謂日 短晝漏四十刻. 鄭玄曰

    四十五刻, 失之.

34. 集解徐廣曰:「氄音茸.駰案孔安國曰民入室處, 鳥獸皆生氄毳細毛以自溫也.

 

35 索隱夫周天三百六十五度四分度之一, 是天度數也. 而日行遲, 一歲一周天月行疾, 一月一周天.日一日 行一度, 月一日行十

   三度十九分度之七. 至二十九日半强, 月行天一匝, 又逐及日而與會. 一年十二會, 是爲十二月. 每月二十九日過半. 年分出小

   月六, 是每歲餘六日. 又大歲三百六十六日, 小歲三百五十五, 擧全數云六十六日. 其實一歲唯餘十一日弱. 未滿三歲, 已成

   一月, 則置閏. 若三年不置閏, 則正月爲二月. 九年差三月, 則以春爲夏. 十七年差六月, 則四時皆反. 以此四時不正, 歲不成矣. 

   故傳曰歸餘於, 事則不悖是也.

36. 集解徐廣曰:「.

37. 正義言將登用之嗣位也.

 

38. 集解孔安國曰:「放齊, 臣名.正義放音方往反. 鄭玄云:「帝堯胤嗣之子, 名曰丹朱, 開明也., 解而達也. 帝王紀

    云:「堯娶散宜氏女, 曰女皇, 生丹朱.汲冢紀年云:「后稷放帝子丹朱.范汪荊州記云:「丹水縣在丹川, 堯子朱之所封

    也.括地志云:「丹水故城在鄧州內鄕縣西南百三十里. 丹水故爲縣.

39. 集解孔安國曰:「, 疑怪之辭.正義左傳云:「口不道忠信之言爲嚚, 心不則德義之經爲頑., 訟也. 言丹朱心旣頑嚚, 

    又好爭訟, 不可用之.

 

40. 集解孔安國曰:「讙兜, 臣名.鄭玄曰:「共工, 水官名.正義兜音斗侯反.

41. 正義漫音莫干反. 共工善爲言語, 用意邪僻也. 似於恭敬, 罪惡漫天, 不可用也.

42. 集解鄭玄曰:「四嶽, 四時官, 主方嶽之事.正義嗟嘆鴻水, 問四嶽誰能理也. 孔安國云:「四嶽,卽上羲和四子也. 分掌四嶽

    之諸侯, 故稱焉.

43. 集解孔安國曰:「, , 上也.正義湯音商, 今讀如字. 蕩蕩, 廣平之貌. 言水奔突有所滌,地上之物爲水漂流蕩蕩然. 

    案, , 包裹之義, 故懷爲包. 釋言以襄爲駕, 駕乘牛馬皆在上也. 言水襄上乘陵, 浩浩盛大, 勢若漫天.

44. 集解馬融曰:「, 臣名, 禹父.

 

45. 正義負音佩, 依字通. , 違也. , 類也. 鯀性很戾, 違負敎命, 毁敗善類, 不可用也. 詩云貪人敗類.

46. 正義音異. 孔安國云:「■, , 退也. 言餘人盡已, 唯鯀可試, 無成乃退.

47. 正義爾雅釋天云:「, 歲也. 夏曰祀, 周曰年, 虞曰載.李巡云:「各自紀事, 示不相襲也.孫炎云:「, 取歲星行

    一次也. , 取四時祭祀一訖也. , 取禾谷一熟也. , 取萬物終更始也. 載者,年之別名, 故以載爲年也.功用不成, 

    害不息, 故放退也. 至明年得舜, 乃殛之羽山, 而用其子禹也.

48. 集解鄭玄曰:「言汝諸侯之中有能順事用天命者, 入處我位, 統治天子之事者乎?」正義孔安國云堯年十六, 以唐侯升

    爲天子, 在位七十載, 時八十六, 老將求代也.

 

49. 正義四嶽皆云, 鄙俚無德, 若便行天子事, 是辱帝位. 言己等不堪也.

50. 集解孔安國曰:「無妻曰矜.正義矜, 古頑反.

51. 集解孔安國曰:「不至於姦惡.正義烝, 之升反, 進也. 言父頑, 母嚚, 弟傲, 舜皆和以孝, 進之於善,不至於姦惡也.

52. 正義欲以二女試舜, 觀其理家之道也.

 

53. 正義妻音七計反. 二女, 娥皇女英也. 娥皇無子, 女英生商均. 舜升天子, 娥皇爲后, 女英爲妃.

54. 正義視其爲德行於二女, 以理家而觀國也.

55. 集解孔安國曰:「舜所居嬀水之汭.索隱列女傳云二女長曰娥皇, 次曰女英. 系本作女瑩. 大戴禮女匽. 皇甫謐

    云:「嬀水在河東虞鄕縣歷山西. , 水涯也, 猶洛汭渭汭然也.正義飭音敕. 下音胡亞反. 汭音芮. 舜能整齊二女以義理, 

    下二女之心於嬀汭, 使行婦道於虞氏也. 括地志云:「汭水源出蒲州河東南山. 許愼云:『水涯曰汭.地記云河東

    郡靑山東山中有二泉, 下南流者嬀水, 北流者汭水. 二水異源, 合流出谷, 西注河. 嬀水北曰汭也. 又云河東縣二里故蒲阪

    城, 舜所都. 城中有舜廟, 城外有舜宅及二妃壇.

 

56. 集解鄭玄曰:「五典, 五敎也. 蓋試以司徒之職.

57. 集解馬融曰:「四門, 四方之門. 諸侯群臣朝者, 舜賓迎之, 皆有美德也.

58. 索隱尙書云納于大麓, 谷梁傳云林屬於山曰麓, 是山足曰麓, 故此以爲入山林不迷. 孔氏以麓訓錄, 言令舜大錄萬幾

    之政, 與此不同.

59. 集解鄭玄曰:「三年者, 賓四門之後三年也.

60. 集解徐廣曰:「音亦. 今文尙書作不怡. , 懌也.索隱古文作不嗣, 今文作不怡, 怡卽懌也. 謂辭讓於德不堪, 

    所以心意不悅懌也. 俗本作, 誤爾, 亦當爲.

61. 集解馬融曰:「上日, 朔日也.正義鄭玄云:「帝王易代, 莫不改正. 堯正建丑, 舜正建子, 此時未改, 故依堯正月上日也.

 

62. 集解鄭玄曰:「文祖者, 五府之大名, 猶周之明堂.索隱尙書帝命驗曰:「五府, 五帝之廟. 蒼曰靈府, 赤曰文祖, 黃曰神斗, 

    白曰顯紀, 黑曰玄矩. 唐虞謂之五府, 夏謂世室, 殷謂重屋, 周謂明堂, 皆祀五帝之所也.正義舜受堯終帝之事於文祖也. 尙書

    帝命驗云:「帝者承天立五府, 以尊天重象也. 五府者, 黃曰神斗.注云:「唐虞謂之天府, 夏謂之世室, 殷謂之重屋, 周謂

    之明堂, 皆祀五帝之所也. 文祖, 赤帝熛怒之府, 名曰文祖. 火精光明, 文章之祖, 故謂之文祖. 周曰明堂. 神斗者, 黃帝含樞

    紐之府, 名曰神斗. , 主也. 土精澄靜, 四行之主, 故謂之神斗. 周曰太室. 顯紀者, 白帝招拒之府, 名顯紀. ,. 金精斷割

    萬物, 故謂之顯紀. 周曰總章. 玄矩者, 黑帝汁光紀之府, 名曰玄矩. , 法也. 水精玄味, 能權輕重, 故謂之玄矩. 周曰玄堂. 

    府者, 蒼帝靈威仰之府, 名曰靈府. 周曰靑陽.

 

63. 集解鄭玄曰:「璿璣, 玉衡, 渾天儀也. 七政, 日月五星也.正義說文云:「, 赤玉也.舜雖受堯命, 猶不自安, 更以

    璿璣玉衡以正天文. 璣爲運轉, 衡爲橫簫, 運璣使動於下, 以衡望之, 是王者正天文器也, 觀其齊與不齊. 今七政齊, 則己受禪

    爲是. 蔡邕云:「玉衡長八尺, 孔徑一寸, 下端望之, 以視星宿, 並縣璣以象天, 而以衡望之, 轉璣窺衡, 以知星宿. 璣徑八尺, 

    圓周二丈五尺而强也.鄭玄云運轉者爲璣, 持正者爲衡.尙書大傳云:「政者, 齊中也. 謂春秋冬夏天文地理人道, 

    以爲政也, 道正而萬事順成, 故天道政之大也.

 

64. 集解鄭玄曰:「禮祭上帝于圜丘.正義五經異義云:「非時祭天謂之類, 言以事類告也. 時舜告攝, 非常祭也.王制云

   「天子將出, 類于上帝.鄭玄云:「昊天上帝謂天皇大帝, 北辰之星.

 

65. 集解鄭玄曰:「六宗, 司中司命風師雨師也.駰案六宗義衆矣. 愚謂鄭說爲長.義周語云精意以享曰

    禋. 孫炎云:「, 絜敬之祭也., 五緯星也. , 日月所會十二次. 司中司命, 文昌第五第四星也. 風師, 

    箕星也. 雨師, 畢星也. 孔安國云:「四時寒暑也, 日月星也, 水旱也.禮祭法云:「埋少牢於大昭, 祭時也. 禳祈於坎壇, 

    寒暑也. 王宮, 祭日也. 夜明, 月也.幽禜, 祭星. 雩禜, 祭水旱也.司馬彪續漢書云:「安帝立六宗, 祀於洛陽城西北亥地, 

    禮比大社. 魏因之. 至晉初, 荀顗言新祀, 以六宗之神諸家說不同, 乃廢之也.

 

66. 集解徐廣曰:「名山大川.正義望者, 遙望而祭山川也. 山川, 五嶽四瀆也. 爾雅云:「梁山, 晉望.

67. 集解徐廣曰:「辯音班.駰案鄭玄曰群神若丘陵墳衍. 正義辯音遍. 謂祭群神也.

 

68. 集解馬融曰:「, 斂也. 五瑞, 公侯伯子男所執, 以爲瑞信也. 堯將禪舜, 使群牧斂之, 使舜親往班之.正義揖音集. 周禮典

    瑞云:「王執鎭圭, 尺二寸. 公執桓圭, 九寸. 侯執信圭, 七寸. 伯執躬圭, 五寸. 子執谷璧, 男執蒲璧, 皆五寸. 言五瑞者, 王不

    在中也.孔文祥云:「宋末, 會稽修禹廟, 於廟庭山土中得五等圭璧百餘枚, 形與周禮同, 皆短小. 此卽禹會諸侯於會稽, 

    以禮山神而埋之. 其璧今猶有在也.

69. 集解馬融曰:「舜受終後五年之二月.鄭玄曰:「建卯之月也. 祡祭東嶽者, 考績. , 燎也.

    正義案旣班瑞群后卽東巡者, 守土之諸侯會岱宗之嶽, 焚柴告至也. 王者巡狩, 以諸侯自專一國, 福任己, 恐其壅遏上命, 

    澤不下流, 故巡行問人疾苦也. 風俗通云:「, 山之尊者, 一曰岱宗, 始也, 長也,萬物之始, 陰陽交代, 故爲五嶽之長也.

    二月, 仲月也. , 中也, 言得其中也.

 

70. 正義乃以秩望祭東方諸侯境內之名山大川也. 言秩者, 五嶽視三公, 四瀆視諸侯.

71. 集解鄭玄曰:「協正四時之月數及日名, 備有失誤.正義旣見東方君長, 乃合同四時氣節, 月之大, 日之甲乙, 使齊一也. 

    周禮:「太史掌正歲年以序事, 頒正朔於邦國.則節氣晦朔皆天子頒之. 猶恐諸侯國異, 或不齊同, 因巡狩合正之.

 

72. 集解鄭玄曰:「, 音律, 丈尺, 斗斛, 斤兩也.正義律之十二律, 度之丈尺, 量之斗, 衡之斤兩, 皆使天下相

    同, 無制度長短輕重異也. 漢律曆志云:「虞書云同律度量衡, 所以齊遠近, 立民信也. 律有十二, 陽六爲律, 陰六爲呂. 

    律以統氣類物, 一曰黃鍾, 二曰太蔟, 曰姑洗四曰蕤賓, 五曰夷則, 六曰無射. 呂以旅陽宣氣, 一曰林鍾, 二曰南呂, 三曰應鍾, 

    四曰大呂, 五曰夾鍾, 六曰中呂. 度者, 引也, 所以度長短也. 本起黃鍾之管長, 以子谷秬黍中者 一黍爲一分, 

    十分爲一寸, 十寸爲尺, 十尺爲丈, 十丈爲引, 而五度審矣. 量者, 斛也, 所以量多少也. 本起黃鍾之龠, 以子

    谷秬黍中者千有二百實爲一龠, 合龠爲合, 十合爲升, 十升爲斗, 十斗爲斛, 而五量嘉矣. 衡權者, 石也, 

    以稱物輕重也. 本起於黃鍾之重, 一龠容千二百黍, 重十二銖, 二十四銖爲兩, 十六兩爲斤, 三十斤爲鈞, 四鈞爲石, 而五權謹

    矣. , 平也. , 重也.

 

73. 集解馬融曰:「嘉也.正義周禮以吉禮事邦國之鬼神祇, 以凶禮哀邦國之憂, 以賓禮親邦國, 以軍禮同

    邦國, 以嘉禮親萬民. 尙書堯典云類于上帝, 吉禮也;「如喪考妣,  凶禮也;「群后四朝, 賓禮也大禹謨云

   「汝徂征, 軍禮也堯典云女于時, 嘉禮也. 女音女慮反.

74. 集解鄭玄曰:「卽五瑞也. 執之曰瑞, 陳列曰玉.

75. 集解馬融曰:「三孤所執也.鄭玄曰:「, 所以薦玉也. 必三者, 高陽氏後用赤繒, 高辛氏後用黑, 其餘諸侯皆用白繒.

    正義孔安國云:「諸侯世子執纁, 公之孤執玄, 附庸之君執黃也.三統紀推伏羲爲天統, 色尙赤. 神農爲地統, 色尙黑. 

    黃帝爲人統, 色尙白. 少昊, 黃帝子, 亦尙白. 故高陽氏又天統, 亦尙亦. 堯爲人統, 故用白.

 

76. 正義羔鴈也. 鄭玄注周禮大宗伯云:「, 小羊也, 取其群不失其類也. , 取其候時而行也. 卿執羔, 大夫執鴈.

    鴈性馴, 可生爲贄.

77. 正義雉也. 馬融云:「一死雉, 士所執也.不可生爲贄, 故死. , 取其守介死不失節也.

78. 集解馬融曰:「二生, , 卿大夫所執一死, , 士所執.正義摯音至. , 執也. 鄭玄云贄之言至, 所以自致

    也.韋昭云:「, 六贄孤執皮帛, 卿執羔, 大夫執鴈, 士執雉, 庶人執鶩,工商執雞也.

79. 集解馬融曰:「五器, 上五玉. 五玉禮終則還之, 三帛已下不還也.正義卒音子律反. 復音伏.

 

80. 正義禰音乃禮反. 何休云:「生曰父, 死曰考, 廟曰禰.

81. 集解鄭玄曰:「巡狩之年, 諸侯見於方嶽之下. 其閒四年, 四方諸侯分來朝於京師也.

82. 正義遍音遍. 言遍告天子治理之言也.

83. 正義孔安國云:「功成則錫車服, 以表顯其能用也.

 

84. 集解馬融曰:「禹平水土, 置九州. 舜以冀州之北廣大, 分置幷州. 齊遼遠, 分燕置幽州, 分齊爲營. 於是爲十二州也.

    鄭玄曰:「更爲之定界, 濬水害也.

85. 集解馬融曰:「言咎繇制五常之刑, 無犯之者, 但有其象, 無其人也.正義孔安國云:「, 法也.法用常刑, 用不越法也.

86. 集解馬融曰:「, , 寬也. 一曰幼少, 二曰老耄, 三曰蠢愚. 五刑, 大辟.義孔安國云:「以流放

    之法寬五刑也.鄭玄云:「三宥, 一曰弗識, 二曰過失, 三曰遺忘也.

 

87. 集解馬融曰:「爲辨治官事者爲刑.

88. 集解鄭玄曰:「, 檟楚也. 扑爲敎官爲刑者.

89. 集解馬融曰:「, 黃金也. 意善功惡, 使出金贖罪, 坐不戒愼者.

90. 集解鄭玄曰:「, 爲人作患害者也. 過失, 雖有害則赦之.

91. 集解徐廣曰:「一作.

92. 集解鄭玄曰:「怙其姦邪, 終身以爲殘賊, 則用刑之.

 

93. 集解徐廣曰:「今文云惟刑之謐哉. 爾雅曰, 靜也.索隱注惟形之謐哉, 古文作恤哉, 且今文是伏生

    口誦, 卹謐聲近, 遂作.

94. 正義讙兜, 渾沌也. 共工, 窮奇也. , 檮杌也. 三苗, 饕餮也. 左傳云舜臣堯, 流四凶, 投諸四裔, 以禦魑魅.

95. 正義工師, 若今大匠卿也.

96. 正義匹亦反.

 

97. 集解馬融曰:「國名也. 正義左傳云自古諸侯不用王命,  虞有三苗, 夏有觀扈. 孔安國云:「縉雲氏之後爲諸侯, 號饕餮

    也. 吳起云:「三苗之國, 左洞庭而右彭蠡. 洞庭, 湖名, 在岳州巴陵西南一里, 南與靑草湖連. 彭蠡, 湖名, 在江州

    潯陽縣東南五十二里. 以天子在北, 故洞庭在西爲左, 彭蠡在東爲右. 今江州鄂州岳州, 三苗之地也.

98. 正義淮, 讀曰匯, 音胡罪反, 今彭蠡湖也. 本屬荊州. 尙書云南入于江, 東匯澤爲彭蠡是也.

 

99. 集解馬融曰;「北裔也.正義尙書及大戴禮皆作幽州. 括地志云:「故龔城在檀州燕樂縣界老傳云舜流共工幽州, 

    居此城.神異經云:「西北荒有人焉, 人面, 朱彿, 蛇身, 人手足, 而食五穀禽獸, 頑愚, 名曰共工.

100. 集解徐廣曰:「, 一作.索隱變謂變其形及衣服, 同於夷狄也. 徐廣云作. , 和也. 正義言四凶流四裔, 

    於四夷放共工等爲中國之風俗也.

101. 集解馬融曰:「南裔也.正義神異經云:「南方荒中有人焉, 人面鳥喙而有翼, 兩手足扶翼而行海中魚, 爲人很惡, 

     畏風雨禽獸, 犯死乃休, 名曰驩兜也.

102. 集解馬融曰:「西裔也.正義括地志云:「三危山有三峰, 故曰三危, 俗亦名卑羽山, 在沙州敦煌縣東南三十里.神異經

     云:「西荒中有人焉, 面目手足皆人形, 而胳下有翼不能飛, 爲人饕餮, 淫逸無理, 名曰苗民.又山海經云大荒北經黑水

     之北, 有人有翼, 名曰苗民.

 

103. 集解馬融曰:「, 誅也. 羽山, 東裔也.正義殛音紀力反. 孔安國云:「, , , , 皆誅也.括地志云:「羽山在沂

     州臨沂縣界.神異經云:「東方有人焉, 人形而身多毛, 自解水土, 知通塞, 爲人自用, 欲爲欲息, ()云是鯀也.

104. 集解徐廣曰:「堯在位凡九十八年.駰案皇覽曰堯冢在濟陰城陽. 劉向曰堯葬濟陰, 丘壟皆. 呂氏春秋曰堯葬

     谷林.皇甫謐曰谷林卽城陽. 堯都平陽, 於詩爲唐國. 正義皇甫謐云堯卽位九十八年, 通舜攝二十八年也, 凡年百

     一十七歲.孔安國云:「堯壽百一十六歲.括地志云堯陵在濮州雷澤縣西三里. 郭緣生述征記云城陽縣東有堯冢, 

     亦曰堯陵, 有碑是也.括地志云雷澤縣本漢城陽縣也.

 

105. 正義尙書三載, 四海遏密八音是也.

106. 索隱鄭玄云:「, 似也. 不似, 言不如父也.皇甫謐云:「堯娶散宜氏之女, 曰女皇, 生丹朱. 又有庶子九人, 皆不肖也.

107. 索隱父子繼立, 常道也. 求賢而禪, 權道也. 權者, 反常而合道. 正義五帝官天下, 老則禪賢, 故權試舜也.

 

108. 集解劉熙曰:「南河, 九河之最在南者.正義括地志云:「故堯城在濮州鄄城縣東北十五里. 竹書云昔堯德衰, 爲舜所囚也. 

     又有偃朱故城, 在縣西北十五里. 竹書云舜囚堯, 復偃塞丹朱, 使不與父相見.案濮州北臨漯, 大川也. 河在堯都之南, 故曰

     南河, 禹貢至于南河是也. 其偃朱城所居, 舜讓避丹朱於南河之南處也.

109. 集解劉熙曰:「天子之位不可曠年, 於是遂反, 格于文祖而當帝位. 帝王所都爲中, 故曰中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