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漢詩/其他

凉州詞 - 王翰

柳川 2016. 8. 29. 07:15

                                                  凉州詞

 

 

                                                                                                                 王  翰 (687∼726)

 

 

一。

葡萄美酒夜光杯、                         맛좋은 포도주에 야광배,

欲飮琵琶馬上催。                         마시려 하는데 말 위 비파소리 울려 출전을 재촉하네.

醉臥沙場君莫笑、                         술 취해 모래밭에 눕는다고 비웃지 마소,

古來征戰幾人回。                         예로부터 전쟁에 나가 살아 돌아온 자 몇이나 되던가.

 

二。

秦中花鳥已應闌、                         진중(秦中)에 이미 꽃과 새가 사라지고,

塞外風沙猶自寒。                         국경 밖에서 불어오는 모래바람 아직 차갑다.       

夜聽胡笳折楊柳、                         밤에 오랑캐의 피리소리에 절양류(折楊柳)가 실려와,

敎人意氣憶長安。                         사람들이 장안을 생각하게 하네. 

 

秦中 : 秦中:섬서중부 평원지구(陕西中部平原地區)。    笳 : 갈잎피리 가. 

折楊柳 : 이별할 때 부르는 악곡 이름. 송별에 즈음하여 버들가지 꺾어 상대방의 평안을 비는 풍습이 있었던 데서 유래. 이별의 노래.

 

折楊柳 - 張九齡 (唐 673-740.  중국 당 현종 때의 대신,시인)

 

纖纖折楊柳、 持此寄情人。        가녀린 버들가지 꺾어 님에게 보내노라.

一枝何足貴 憐是故園春。        가지 하나가 어찌 소중하리오만, 이것으로 고향의 봄을 기억하게 함이네.

遲景那能久 芳菲不及新。        늦은 봄 풍경은 오래가지 못하고, 꽃향기도 새로워지지 못한다네.

更愁征戍客 容鬢老邊塵。        징용나가 수자리 서는 님은 늙어 변방의 먼지가 되려나. 

 

 

☞王翰

 

唐代邊塞詩人。字子羽,幷州晉陽(今山西太原市)人,著名詩人。王翰這樣一個有才氣的詩人,其集不傳。其詩載於《全唐詩》的,僅有14首。​聞一多先生《唐詩大系》定王翰生卒年爲公元687至726年,並未提出確切的材料依據。

 

 

왕한(王翰, 687 ~ 726)

 

중국 당(唐)의 시인이다. 병주(并州) 진양(晋陽) 출신으로 자(字)는 자우(子羽)이다.

왕한의 집안은 부유하였고 왕한 자신도 호방한 성격으로 술을 즐겨, 자신의 집에 명마와 미인 기녀들을 모아 사냥과 연회로 날을 보냈다고 한다. 예종(睿宗) 경운(景雲) 원년(710년)에 진사(進士)로 급제하였다. 병주장사(并州長史) 장혜정(張惠貞)이 그의 재능을 기이하게 여겨 그를 천거하여 창락위(昌樂尉)로 삼았으며, 개원(開元) 9년(721년)에 장열(張説)이 조정에 들어와 재상이 되자 그의 인정을 받아 비서정자(秘書正字), 권가부원외랑(權駕部員外郎)에 임명된다.

"마굿간에는 많은 명마요, 집에는 기녀와 가락이 있다"며 스스로를 왕후장상에 비겼다고 하나, 이러한 그의 태도는 오히려 사람들의 질시를 샀다. 장열이 실각하면서 여주자사(汝州刺使)로 좌천되어 수도를 떠나야 했고, 이어 선주별가(仙州別駕)로 다시 한 번 좌천당했다. 행실을 곧게 하지 못했다는 탄핵을 받고 도주사마(道州司馬)로 유배되어 그곳에서 죽었다.

작품으로 《양주사》(涼州詞)가 유명하다.  [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