漢文基礎/小學

敬身第三 1.明心術之要

柳川 2016. 9. 30. 01:34

<敬身第三>

孔子曰, 君子無不敬也, 敬身爲大. 身也者, 親之枝也. 敢不敬與. 不能敬其身, 是傷其親. 傷其親, 

是傷其本. 傷其本, 枝從而亡. 仰聖模, 景賢範, 述此篇, 以訓蒙士.


丹書曰, 敬勝怠者, 吉. 怠勝敬者, 滅. 義勝欲者, 從. 欲勝義者, 凶.

曲禮曰, 毋不敬, 儼若思, 安定辭, 安民哉. 敖不可長, 欲不可從, 志不可滿, 樂不可極. 賢者, 狎而敬之, 

畏而愛之, 愛而知其惡, 憎而知其善, 積而能散, 安安而能遷. 臨財毋苟得, 臨難毋苟免, 狠毋求勝, 

分毋求多. 疑事毋質, 直而勿有.

孔子曰, 非禮勿視. 非禮勿聽. 非禮勿言. 非禮勿動.

出門如見大賓, 使民如承大祭. 己所不欲, 勿施於人.

居處恭, 執事敬, 與人忠雖之夷狄, 不可棄也.

言忠信, 行篤敬, 雖蠻貊之邦行矣. 言不忠信, 行不篤敬, 雖州里行乎哉.

君子有九思. 視思明, 聽思聰, 色思溫. 貌思恭, 言思忠, 事思敬, 疑思問, 忿思雖, 見得思義.

曾子曰, 君子所貴乎道者三. 動容貌斯遠暴慢矣, 正顔色斯近信矣, 出辭氣斯遠鄙倍矣.

曲禮曰, 禮不踰節, 不侵侮, 不好狎. 修身踐言, 謂之善行.

樂記曰, 君子姦聲亂色, 不留聰明, 淫樂慝禮, 不接心術, 惰慢邪辟之氣, 不設於身體, 使耳目鼻口, 

心知百體, 皆由順正, 以行其義.

孔子曰, 君子, 食無求飽, 居無求安, 敏於事而愼於言, 就有道而正焉. 可謂好學也已.

管敬仲曰, 畏威如疾, 民之上也. 從懷如流, 民之下也. 見懷思威, 民之中也. 

右, 明心術之要.


儼 : 엄연할 엄. 엄연하다. 의젓하다. 근엄하다. 공손하다. 삼가다. 바로잡다. 아리땁다. 마치 ~와 같다. 정제한 모양.

狎 : 익숙할 압/익숙할 합. 익숙하다. 의롱하다. 업신여기다. 친압하다. 익다. 수결하다. 편안하다. 번갈아.

慝 : 사특할 특/숨길닉(익). 사특하다. 간사하다. 악하다. 못되다. 더럽다, 더럽혀지다. 어긋나다. 변경되다. 재앙, 재해, 결점. 

    악한사람, 음한 기운, 재안의 기운. 사투리. [닉]숨기다. 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