鄘風 · 墻有茨
鄘風
墻有茨
墻有茨,不可掃也。 담장에 가시나무, 쓸어버릴 수가 없네.
中冓之言,不可道也。 안방 일은 말할수가 없다네.
所可道也,言之醜也。 말한다면 말이 추하다네.
茨 가시나무 자/지붕일 자. 가시나무. 새따위로 지붕을 이다. 새이엉집. 쌓다. 모음. 덮다. 흙을 쌓다. 납가새. 蒺藜.
冓 : 짤 구. 짜다. 쌓다. 방. 수의 단위.
墻有茨,不可襄也。 담장에 가시나무, 없앨수도 없네.
中冓之言,不可詳也。 안방일은 자세히 말할수 없다네.
所可詳也,言之長也。 자세히 말한다면 말이 길어진다네.
墻有茨,不可束也。 담장에 가시나무, 제거할 수 없다네.
中冓之言,不可讀也。 안방일은 입에 담을 수 없다네.
所可讀也,言之辱也。 입에 담으면 말이 욕되다네.
[註]
墻有茨,不可掃也。中冓之言,不可道也。所可道也,言之醜也。
장유자, 불가소야。 중구지언, 불가도야。 소가도야, 언지추야。
담장 안에 납가새가 있으니 가히 쓸지 못하리로다. 집안의 말이여, 가히 말하지 못하리로다. 가히 말할진댄 말이 추하리로다.
○興也. 茨 蒺藜也. 蔓生細葉. 子有三角刺人. 中冓 謂舍之交積材木也. 道 言. 醜 惡也.
○舊說, 以爲宣公卒, 惠公幼, 其庶兄頑, 烝於宣姜. 故 詩人, 作此詩, 以刺之. 言其閨中之事, 皆醜惡而不可言, 理或然也.
○흥이라. 자는 가시나무이니 줄기가 벋어가면서 잎사귀가 가늘고 열매는 삼각으로 사람을 찌름이라. 중구는 집안에 재목을 쌓아놓는
곳(허청)을 이름이라. 도는 말함이고, 추는 악함이라.
○구설에 써 하되 선공이 죽고 혜공이 어려서 그 서형 완이 선강과 붙었느니라(붙어먹었느니라). 그러므로 시인이 이 시를 지어서 써
비난함이라. 그 규중(안방)의 일을 다 추악하여 가히 말하지 못한다 하니 이치가 혹 그럴 만하니라.
墻有茨,不可襄也。中冓之言,不可詳也。所可詳也,言之長也。
장유자, 불가양야。 중구지언, 불가상야。 소가상야, 언지장야。
담장 안에 납가새가 있으니 가히 제거하지 못하리로다. 집안의 말이여, 가히 상세히 말하지 못하리로다. 가히 상세히 말할진댄
말이 길도다.
○興也. 襄 除也. 詳 詳言之也. 言之長者 不欲言而託以語長難竟也.
○흥이라. 양은 제거함이라. 상은 자세히 말함이라. 말이 길다는 것은 (너무 추악하여) 말하고 싶지 않아 말이 길어서 마치기 어렵다는 것
으로써 핑계 삼음이라.
墻有茨,不可束也。中冓之言,不可讀也。所可讀也,言之辱也。
장유자, 불가속야。 중구지언, 불가독야。 소가독야, 언지욕야。
담장 안에 납가새가 있으니 가히 묶어서 버리지 못하리로다. 집안의 말이여, 가히 외워대지 못하리로다. 가히 외워댈진댄 말이
욕되리로다.
○興也. 束 束而去之也. 讀 誦言也. 辱 猶醜也. (牆有茨三章)
○흥이라. 속은 묶어서 버림이라. 독은 외워서 말함이라. 욕은 추함과 같으니라. (장유자3장이라).
墻有茨三章章六句
楊氏曰, 公子頑 通乎君母. 閨中之言 至不可讀 其汚甚矣. 聖人 何取焉而著之於經也. 蓋自古 淫亂之君 自以爲密於
閨門之中 世無得而知者. 故 自肆而不反, 聖人所以著之於經, 使後世爲惡者, 知雖閨中之言, 亦無隱而不彰也, 其爲訓戒深矣.
양씨 가로대 공자 완이 군모와 통간(通姦)하여 집안의 말을 가히 외워대지 못하는데 이르니 그 더러움이 심하거늘 성인이 어찌 취하여
경에 지어서 나타내셨는고?
대개 예로부터 음란한 인군이 스스로 써 안방 안에서 은밀히 하여 세상이 얻어 아는 자가 없느니라. 그러므로 스스로 방자하여 반성하지
않기 때문에 성인이 써한 바 경에 나타내서 후세에 악한 짓을 하는 자로 하여금 비록 안방의 말이라도 또한 숨겨서 드러나지 않음이 없게
하셨으니, 그 훈계하심이 깊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