詩經/國風

鄭風 · 叔于田

柳川 2019. 2. 27. 19:42

                                                  鄭風




叔于田



叔于田,                                     叔이  사냥을 나가니

巷無居人。                                  거리에 사람이 없네.

豈無居人?                                  어찌 거리에 사람이 없는가?

不如叔也,                                  숙만한 사람이 없어서네.

洵美且仁。                                  참으로 아름답고 어질도다.



叔于狩,                                     숙이 사냥을 나가니

巷無飮酒。                                  거리에 술마신 자가 없네.

豈無飮酒?                                  어찌 술마신 자가 없는가?

不如叔也,                                  숙만한 사람이 없어서네.

洵美且好。                                  참으로 아름답고 좋도다.



叔適野,                                     숙이 들로 나가니

巷無服馬。                                  거리에 말탄 자가 없네.

豈無服馬?                                  어찌 거리에 말탄자가 없느냐?

不如叔也,                                  숙만한 사람이 없어서네.

洵美且武。                                  참으로 아름답고 씩씩하도다.



[註]


叔于田,巷無居人。豈無居人?不如叔也,洵美且仁。

숙우전, 항무거인。 기무거인? 불여숙야,  순미차인。


숙이 사냥을 하니 마을에 있는 사람이 없도다. 어찌 있는 사람이 없으리오마는 숙의 믿음직하고 아름답고 또한 어짊만 같지 

않느니라.


○賦也.  叔 莊公弟, 共叔段也.  事見春秋.  田 取禽也.  巷 里塗也.  洵 信.  美 好也.  仁 愛人也. 

○段 不義而得衆, 國人愛之.  故 作此詩. 言叔 出而田, 則所居之巷, 若無居人矣, 非實無居人也.  雖有 而不如叔之美且仁, 是以 若無人耳.

  或 疑此亦民間男女相悅之詞也.


○부라. 숙은 장공의 아우니 공숙단이라. 일이 춘추전에 나타나니라. 전은 새를 취함이라. 항은 마을 길이라. 순은 믿음이고, 미는 좋음이

  고, 인은 사람을 사랑함이라. 

○단이 불의하면서도 무리를 얻으나 나라사람들이 사랑하기 때문에 이 시를 지었느니라. 숙이 나가서 사냥을 하면 거하는 곳의 마을에 

  거하는 사람이 없는 것과 같으니 실지로 거하는 사람이 없는 것이 아니니라. 비록 (사람이) 있으나 숙의 아름답고 어짊만 같지 못하니 

  이로써 사람이 없는 것과 같다 하니라. 혹이 아마도 이 또한 민간에서 남녀가 서로 기뻐하는 말인 듯하다.



叔于狩,巷無飲酒。豈無飲酒?不如叔也,洵美且好。

숙우수,  항무음주。 기무음주?  불여숙야, 수미차호。


숙이 사냥을 하니 마을에 술 마시는 이가 없도다. 어찌 술 마시는 이가 없으리오마는 숙의 믿음직하고 아름답고 또한 좋음만 

같지 않느니라.


○賦也.  冬獵曰狩.


○부라. 겨울 사냥을 가로대 수라 하니라.



叔適野,巷無服馬。豈無服馬?不如叔也,洵美且武。

숙적야,  항무복마。 기무복마?  불야숙야,  순미차무。


숙이 들에 가니 마을에 말 탄 이가 없도다.  어찌 말 탄 이가 없으리오마는  숙의 믿음직하고  아름답고  또한  굳셈만 

같지 못하니라.


○賦也.  適 之也.  郊外曰野. 服 乘也.


○부라. 적은 감이라. 들 바깥을 가로대 야라 하니라. 복은 말 탐이라.


叔于田三章章五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