詩經/國風

鄭風 · 遵大路

柳川 2019. 2. 28. 16:19

                                      鄭風



遵大路


遵大路兮,                                   큰 길로 쫒아 와

摻執子之袪兮。                              남자의 소매를 잡네.

無我惡兮,                                   나를 미워하지 마오.

故也。                                   옛정 갑자기 끊는게 아니라오,


摻 : 가늘 섬/잡을 삼/칠 참. 가늘다. 가냘프다. 섬섬하다,  [삼]잡다. 쥐다. 가지다. 취하다. 한군데에 많이 나 있는 모양. 

    [참](북을)치다. 북으로 연주하는 악곡.

袪 : 소매 거. 소매, 소매통. 떠나다. 흩다. 흩어지다. 올리다. 들다. 걷다. 가다. 벌리다. 강한 모양.

: 빠를 잠/빠를 삼. 빠르다. 재빨리. 



遵大路兮,                                   큰 길로 쫒아 와

摻執子之手兮。                              남자의 손을 잡네.

無我兮,                                   나를 미워하지 마오.

不寁好也。                                   좋았던 정 갑자기 끊는게 아니라오.


魗 : 醜와 同字. 추악할 수/미워할 추. 추악하다. 더럽다. 내버리다. 버리다. [추]미워하다.



[註]


遵大路兮,摻執子之袪兮。無我惡兮,不寁故也。

준대로혜,  삼집자지거혜。 무아오혜,  불삼고야。


큰 길을 따라 덥석 그대의 소매를 잡노라. 나를 미워하지 말지어다. 옛 친구는 빨리 버리지 못하니라.


賦也.   循.   擥.   袂.   速.   舊也.

淫婦 爲人所棄.   於其去也, 擥其袪而留之曰 子無惡我而不留.   舊不可以遽絶也.  宋玉賦 有遵大路兮 攬子袪之句.  亦男女相之詞也..

擥 : 攬, 㩜과 同字. 잡을 람.


부라. 준은 따름이고, 삼은 잡음이고, 거는 소매이고, 삼은 빠름이고, 고는 옛이라. 

음탕한 지어미가 남한테 버림당한 바가 되니라. 그러므로 그 떠나감에 그 소매를 덥석 잡고 만류하면서 가로대 그대는 나를 미워하여 머

  무르지 못하게 하지 말라. 그러므로 옛 정은 가히 갑자기 끊지 못한다 하니라. 송옥부 遵大路兮 攬子袪之라는 글귀가 있으니 또한 

  남녀상열지사라.


 잡을 람  소매 몌



遵大路兮,摻執子之手兮。無我兮,不寁好也。

준대로혜,  삼집자지수혜。 무아수혜, 불삼호야。


큰 길을 따라서 그대의 손을 덥석 잡노라. 나를 추하다고 말지어다. 좋아하는 이는 빨리 버리지 못하니라.


賦也.  與醜 同.  欲其不以己爲醜而棄之也.   情好也.  (遵大路二章)


부라. 수는 추할 추와 같음이라. 그 자기가 추하다고 버리지 않도록 하고자 함이라. 호는 정들고 좋아함이라. (준대로2장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