柳川 2019. 3. 7. 20:53

                                     春     思

 

                                                                               李  白

 

燕草如碧絲、                              님 계신 연나라의 풀은 푸른 실과 같고

秦桑低綠枝                              이 곳 진나라의 뽕나무는 푸른 가지를 드리웠소

當君懷歸日                              그대가 저에게로 돌아오고 싶은 생각 하실 때가

是妾斷腸時                              곧 당신그 리워 제 애간장이 끊어지는 때입니다

春風不相識                              저와 봄바람은 서로 알지도 못하는데

何事入羅幃                              무슨 일로 저의 비단 장막으로 불어 오나요

 

 

[解題] 
 
이 시는 怨婦의 春思를 읊은 작품이다. ‘春’자는 重意적인 의미를 갖고 있는데, 봄날이라는 뜻과 어울려, 애정을 상징하기도 한다. 앞의 두 구는 《詩經》의 興體를 사용하였다. ‘흥’의 기법은 먼저 景物을 말하고 나중에 情事를 말하는 것으로서, 景과 情은 본래 관련이 없는 것이지만 여기서는 서로 연상시키면서 정경이 어우러지게 한다. 
예를 들어 연 땅의 풀이 자라는 것과 장부가 귀향하고 싶은 마음이 생기는 것, 진 땅의 뽕나무가 잎을 드리우는 것과 부인이 집에서 남편을 그리워하며 애간장을 태우는 것은 본래 상관이 없으나, 여기서는 景과 情을 일관되게 연상시켜서 情景交融 을 이루었으니, 이를 일컬어 興이라 한다. 마지막 두 구는 마음이 정결하여 외물에 동요되지 않음을 말하고 있다.

 

[참고] 

 
成侃의 《眞逸遺稿》 권2, 〈囉嗊曲〉에, “낭군이여 낭군이여 내 낭군이여. 금년에는 오시려나 안 오시려나. 강가에 봄풀 자라 푸르르니 이 첩의 애간장 끊어질 때라오.[爲報郞君道 今年歸不歸 江汀春草綠 是妾斷腸時]” 라 하여 이백 시의 ‘是妾斷腸時’를 인용한 구절이 보인다.

 

 
燕草如碧絲 秦桑低綠枝 : 燕의 북쪽 지방은 날씨가 추워 풀이 가장 늦게 자라고, 秦의 남쪽은 따뜻하여 버드나무와 
                            뽕나무가 일찍부터 푸르다. 즉 燕 땅에 풀이 날 때가, 秦 땅에 버드나무와 뽕나무가 푸를 
                            때이니, 연은 지금의 河北 지역이고, 진은 지금의 陝西 지역이다.
羅幃 : 비단으로 만든 휘장이다.
思無邪 : 생각에 간사함이 없다는 뜻으로 《詩經》 〈魯頌 駉〉편에 보이는 글귀인데, 
          孔子는 이 말을 인용해 “이 한 마디의 말이 《詩經》 3백편 전체의 뜻을 대표할 수 있다.”라고 하였다. 
          《論語》 〈爲政〉

 

魯頌/

駉駉牡馬,在坰之野。                매우 살진 말들이 먼 들에 있도다.

薄言駉者,有駰有騢,                잠시 살진 말을 말하건대 오총이가 있고 적부루마도 있으며,

有駠有魚,以車。                정강이가 흰말도 두눈이 흰 말도 있어 수레가 강건하도다.

思無邪,思馬斯徂。                   생각에 사특함이 없이  말을 생각하며 가노라.

 

 

囉嗊曲, 成侃

 

爲報郞君道、                    낭군이 오신다는 소식을 들었는데,

今年歸未歸。                    올해에 오시려나 안오시려나.

江頭春草綠、                    강둑에 봄 초목이 푸르르니,

是妾斷腸時。                    제 애간장이 녹는답니다.

 

郞如車下轂、                    그대가 수레바퀴라면,

妾似路中塵。                    저는 길위의 먼지와 같습니다.

相近仍相遠、                    가까워진 듯 해도 여전히 멀리 있으니,

看看不得親。                    보고 또 봐도 가까워질 수 없네요.

 

綠竹條條勁、                    푸른 대나무는 가지마다 굳세고,

浮萍箇箇輕。                    부평초는 잎새마다 가볍습니다.

願郞如綠竹、                    님께선 푸른 대나무같기를 바라지만,

不願似浮萍。                    부평초 같지는 마옵소서.

 

 장달수의 한국학카페에서 인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