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古文學/破閑集
卷上 1. 晉陽古帝都
柳川
2019. 4. 4. 02:40
左諫議大夫秘書監寶文閣學士知制誥李仁老撰
晉陽古帝都, 溪山勝致爲嶺南第一。有人作其圖, 獻李相國之氐。 帖諸壁以觀之, 軍府參謀榮陽與齡往謁, 相國指之曰, 「此圖是君桑梓鄕也. 宜留一句。」
操筆立就云,
數點靑山枕碧湖,
公言此是晉陽圖。
水邊草屋知多少,
中有吾廬畵也無。
一座服其精敏。
氐 : 근본 저/땅이름 지. 근본. 근원. 낮다. 천하다. 근심하다. 번민하다. 숙이다. 대개, 대저. 땅이름.
桑梓 : 조상의 무덤이 있는 고향이나 고향의 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桑梓之鄕. 詩經의 「維桑與梓,必恭敬止。」란 구절에서 由來.
小雅/小旻之什/小弁
維桑與梓,必恭敬止。 부모가 심었다면 뽕나무나 가래나무도 반드시 공경하도다.
靡瞻匪父,靡依匪母。 부친 아니라면 우러러보지도 않고 모친 아니라면 의지하지도 않네.
不屬于毛,不離于裏, 이어진 것은 터럭만큼도 없는데 마음 속으로 걸리지도 않는가?
天之生我,我辰安在? 하늘이 나를 낳았는데 내 태어난 때가 언제던가?
진양은 옛 제왕의 도읍지로, 산수의 빼어난 경치가 영남에서 제일이다. 어떤 사람이 그곳을 그림으로 그려 상국 이지저(李之氐)에게 바쳤다.
이지저가 벽에 걸어두고 보았는데, 군부참모인 영양 사람 정여령(鄭與齡)이 와 뵈니 상국이 이를 가리키며 말했다,
“이 그림은 군의 고향이네. 한 구 남기는 것이 마땅하네.”
정여령이 붓을 쥐고 일어나 다가가 적었다.
점점이 푸른 산이 푸른 호수에 누웠네,
공께서 이것이 진양 그림이라 하시는데,
물가에 초가집 많지만,
그 안에 내 집이 있는가 없는가?
좌중의 사람들이 그 정밀하고 민첩함에 감복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