周頌 · 閔予小子之什 · 賚
周頌 · 閔予小子之什
賚
文王旣勤止,我應受之, 문왕이 부지런했는데 내가 응하여 받아,
敷時繹思。 이에 이치를 헤아려 펴노라.
我徂維求定,時周之命。 내가 가서 안정을 구하니 이는 주나라의 명이로다.
於繹思。 오, 헤아릴지어다.
賚 : 줄 뢰(뇌)/줄 래(내). 주다. 위로하다. 하사한 물건. 사물. [래]좌동.
繹 : 궁구할 역/풀 석. 궁구하다. 실을 뽑아내다. 이치를 헤아림. 늘어놓다. 잇달다. 뜻이 통하다. 실마리. 길다. 큼. 가득함. 기뻐하다.
[석]풀다.
[註]
文王既勤止,我應受之,敷時繹思。我徂維求定,時周之命。於繹思。
문왕기근지, 아응수지, 부시역사。 아조유구정, 시주지명。 오역사。
문왕이 이미 부지런하셨거늘 내 응하여 받으니 이 궁리하여 펴서 내 가서 안정을 구한다. 이 주나라의 명이시니 아, 찾아 생각할지어다.
○賦也. 應 當也. 敷 布. 時 是也. 繹 尋繹也. 於 歎辭. 繹思 尋繹而思念也.
○此 頌文武之功, 而言其大封功臣之意也. 言文王之勤勞天下至矣, 其子孫受而有之, 然而不敢專也. 布此文王功德之在人而可繹思者
以賚有功, 而往求天下之安定。又以爲凡此皆周之命而非復商之舊矣. 遂歎美之而欲諸臣受封賞者 繹思文王之德而不忘也.
○賦이다. 應은 당함이다. 敷는 폄이고, 時는 이것이다. 繹은 찾아 풀어냄이다. 於는 歎辭다. 繹思는 찾아 풀어내고 생각함이다.
○이는 文武의 공을 노래하면서 그 크게 공신들을 봉한 뜻을 말한 것이다. 文王의 수고로움이 천하에 지극하셨으니, 그 자손이 받아서
소유하였으나 그러나 감히 오로지 하지 못하고, 이 문왕의 공덕이 사람에게 있기에 찾아 생각할 것을 펴서 공이 있는 이에게 주어 가서
천하의 안정을 구하였음을 말한 것이다. 또 말하기를 “이는 모두가 周나라의 명이지 상나라의 옛 것을 회복시킨 것은 아니다.” 하고,
마침내 찬미하면서 봉함과 상을 받은 여러 신하들로 하여금 문왕의 덕을 찾아 생각해서 잊지 않게 하고자 한 것이다.
賚一章 六句
春秋傳, 以此 爲大武之三章, 而序, 以爲大封於廟之詩, 說同上篇.
『춘추전』에 이로써 대무의 삼장이 된다하고 序에 말하기를 사당에서 크게 봉해주는 시라 하였으니 설명이 상편과 같다.
毛序 賚 大封於廟也. 賚 予也, 言所以錫予善人也.
賚는 사당에서 功臣들을 크게 封해주는 詩이다. 賚는 준다는 뜻이니, 善人에게 爵位와 土地를주는 것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