魯頌 · 閟宮
魯頌
閟宮
閟宮有侐,實實枚枚。 비궁이 고요하고 튼튼하고 치밀하도다.
赫赫姜嫄,其德不回。 빛나는 강원, 그 덕이 어긋남이 없도다.
上帝是依,無災無害; 상제가 도우시어 재앙도 해도 없어,
彌月不遲,是生后稷。 달이 차자 지체없이 후직을 낳게 하셨도다.
降之百福,黍稷重穋, 온갖 복을 내렸는데, 메기장 찰기장 늦은벼 올벼와,
稙稚菽麥。 이르고 늦은 콩과 보리로다.
奄有下國,俾民稼穡。 문득 나라를 내려 백성으로 하여금 농사를 짓게 하셨도다.
有稷有黍,有稻有秬。 메기장 차기장이요 벼와 검은기장이로다.
奄有下土,纘禹之緖。 문득 땅을 내려 우왕의 업을 이었도다.
侐 : 고요할 혁. 고요하다. 쓸쓸함. 적막함.
重 : 만생종. 늦곡식. 穋 : 올벼 륙(육). 올벼. 稙 : 올벼 직. 올벼. 이르다. 앞서거나 빠름.
稚 : 어릴 치. 어리다. 유치하다. 작다. 늦다. 더디다. 오만하다. 어린 벼. 작은 벼. 만생종. 稚子.秬 : 검은 기장 거.
后稷之孫,實維大王; 후직의 자손이, 참으로 태왕이로다.
居岐之陽,實始翦商。 기의 양지바른 곳에 자리잡아 실로 상나라를 치기 시작하였도다.
至于文武,纘大王之緖。 문왕, 무왕에 이르러 태왕의 업을 이었도다.
致天之屆,于牧之野。 하늘이 목야에서 궁극에 이르렀도다.
無貳無虞,上帝臨女。 의심하지 말고 걱정하지도 말지니 상제가 네게 임했도다.
敦商之旅,克咸厥功。 상의 군대를 다스려 능히 그 일을 다했도다.
王曰:叔父! 왕이 말했도다. 숙부시여 !
建爾元子,俾侯于魯; 그대의 큰아들을 세워 노나라의 제후로 삼으니,
大啟爾宇,爲周室輔。 그대의 국토를 크게 열어 왕실을 도우시라.
乃命魯公,俾侯于東; 이에 노공에게 명하여 동쪽으로 가 제후가 되게 하고,
錫之山川,土田附庸。 산천과 땅과 속국을 부여하였도다.
周公之孫,莊公之子, 주공의 손자요 장공의 아들이.
龍旗承祀,六轡耳耳。 용깃발로 제사를 이으니 여섯 고삐가 부드럽도다.
春秋匪解,享祀不忒; 봄가을에 게을리 하지 않아 제사올림에 어긋나지 않고,
皇皇后帝,皇祖后稷, 높고 높은 상제와 위대한 후직에게,
享以騂犧。 붉은 소를 바쳐 제사지내도다.
是饗是宜,降福旣多。 이를 흠향하고 아름답게 여겨 많은 복을 내리시도다.
周公皇祖,亦其福女。 주공과 위대한 조상이 또한 너에게 복을 내렸노라.
秋而載嘗,夏而楅衡。 가을에 상제를 지내니 여름에 복형하였노라.
白牡騂剛,犧尊將將。 흰 숫소 붉은 숫소요, 희준이 엄정하도다.
毛炰胾羹,籩豆大房; 털을 그슬려 굽고 살점으로 끓인 국, 각종 제기와 대방도 갖추고,
萬舞洋洋,孝孫有慶。 만무를 너울너울 추니 효손의 경사로다.
俾爾熾而昌,俾爾壽而臧。 너를 불타오르듯 창성케 하고, 너를 장수하고 좋게 하리라.
保彼東方,魯邦是常。 동방을 보전하여 노나라를 오래토록 변치않게 하리라.
不虧不崩,不震不騰。 이지러짐도 없고 무너짐도 없으며, 흔들림도 놀람도 없으리라.
三壽作朋,如岡如陵。 삼수가 벗하여 뫼와 같고 언덕과 같도다.
楅 ; 뿔막이 복. 뿔막이. 소가 드는 것을 막기 위해 두 뿔에 가로댄 나무. 화살을 넣는 그릇. 전통. 단으로 묶다. 다발을 짓다.
胾 : 고깃점 자. 고깃점(저민 고깃덩이). 산적.
公車千乘,朱英綠縢, 공의 수레가 천승이니 붉은 수실을 단 창과 녹색 끈으로 감은 활,
二矛重弓。 두개의 창과 겹친 활이로다.
公徒三萬,貝胄朱綅, 공의 보병이 삼만이요, 자개장식 투구와 붉은 끈인데,
烝徒增增。 많은 보병이 겹겹이로다.
戎狄是膺,荊舒是懲, 융과 적을 막고, 형과 서를 응징하니,
則莫我敢承。 감히 우리를 맞서지 못하도다.
俾爾昌而熾,俾爾壽而富。 네 번창함을 불타오르듯 하게 하고 너 장수하고 부하게 하리라.
黃髮台背,壽胥與試。 오래오래 살아 서로 장수함을 다투리라.
俾爾昌而大,俾爾耆而艾。 네 창성함을 크게 하고 너 장수하고 편안케 하리라.
萬有千歲,眉壽無有害。 만수무강하고 미수가 되도록 아무 해가 없으리라.
綅 : 실 침/비단 섬. 실. 線. [섬]비단. 台 : 鮐
泰山巖巖,魯邦所詹。 태산이 높고 높아 노나라에서 우러러 보도다.
奄有龜蒙,遂荒大東, 문득 귀산과 몽산을 소유하고 마침내 동쪽을 크게 다스려,
至于海邦。 바다에까지 이르렀도다.
淮夷來同,莫不率從, 회이가 와 함께하고, 따르고 복종하지 않는 자가 없으니,
魯侯之功。 노후의 공이로다.
保有鳧繹,遂荒徐宅, 부산과 약산을 보유하고 마침내 서택을 다스려,
至于海邦。 바다에까지 이르렀도다.
淮夷蠻貊,及彼南夷, 회이와 만맥, 남이에 이르기까지,
莫不率從。 복종하지 않는 자가 없도다.
莫敢不諾,魯侯是若。 감히 응하지 않는 자가 없으니 노후가 강성했음이로다.
天錫公純嘏,眉壽保魯; 하늘이 공에게 큰 복을 내려 장수하여 노나라를 보전케 하고,
居常與許,復周公之宇。 상과 허땅에 머물러 다시 주공의 영역이 되게 하였도다.
魯侯燕喜,令妻壽母。 노후가 잔치를 열고 기뻐하고 처와 함께 모친의 장수를 축수하도다.
宜大夫庶士,邦國是有。 아름다운 대부와 서사들이 나라에 많도다.
旣多受祉,黃髮兒齒。 이미 복을 많이 받아 장수하리로다.
徂來之松,新甫之柏, 조래의 소나무와 신포의 잣나무를
是斷是度,是尋是尺。 자르고 헤아려 크기를 재도다.
松桷有舄,路寢孔碩。 소나무 서까래가 굵고 노침도 매우 크도다.
新廟奕奕,奚斯所作。 새 사당이 크고 아름다운데 해사가 지었도다.
孔曼且碩,萬民是若。 매우 넓고 커서 만민이 바라는 바와 같도다.
桷 : 서까래 각. 서까래. 가지.
[註]
閟宮有侐,實實枚枚。赫赫姜嫄,其德不回。上帝是依,無災無害;彌月不遲,是生后稷。
降之百福,黍稷重穋,稙稚菽麥。奄有下國,俾民稼穡。有稷有黍,有稻有秬。奄有下土,纘禹之緒。
비궁유혁, 실실매매。 혁혁강원, 기덕불회。상제시의, 무재무해 ; 미월부지, 시생후직。강지백복, 서직중륙, 직치숙맥。엄유하국, 비민가색。
유직유서, 유도유거。엄유하토, 찬우지서。
비궁이 고요하니 견고하면서도 치밀하도다. 빛나고 빛나는 강원이 그 덕이 어긋나지 아니하사 상제께서 이를 도우시니 재앙이
없고 해가 없어서 달을 다하고 지체하지 아니하여 이에 후직을 낳으시고 백복을 내리시니, 메기장 차기장과 늦벼 올벼와 이르
고 늦은 콩과 보리로다. 문득 다스릴 나라를 두어 백성들로 하여금 심고 거두게 하시니 메기장과 찰기장이 있으며 벼와 검은
기장이 있으니 문득 다스릴 땅을 두어서 우임금의 유업을 이으셨다.
☞
閟宮을 ‘굳게 닫힌 깊은 사당’이라고 해도 무방하나 毛傳에 따라 后稷의 어머니인姜嫄의 사당이름으로 해석했다.
* 彌月과 관련해서는 大雅 生民편 제2장 해설 참조.
○賦也. 閟 深閉也. 宮 廟也. 侐 淸靜也. 實實 鞏固也, 枚枚 礱密也. 時蓋修之. 故 詩人 歌詠其事, 以爲頌禱之詞, 而推本后稷之生, 而下
及于僖公耳. 回 邪也. 依 猶眷顧也, 說見生民篇. 先種曰稙, 後種曰穉. 奄有下國, 封於邰也. 緖 業也. 禹 治洪水旣平, 后稷 乃播種百穀.
○부라. 비는 깊이 닫힘이라. 궁은 사당이라. 혁은 맑고 고요함이라. 실실은 공고함이고, 매매는 농밀함이라. 이때 대개 (사당을) 수리했으므로 시인
이 그 일을 노래하여 송축하는 말로 삼고, 후직의 탄생의 근본을 미루어 아래로 희공에 미쳤음이라. 회는 삿됨이라. 의는 권고와 같으니 설명이
생민편에 있느니라. 먼저 씨 뿌리는 것을 직이라 하고, 나중에 씨 뿌리는 것을 치라 하니라. 문득 다스릴 나라를 두었다는 것은 태땅에 봉해짐이라.
서는 업적이라. 우가 홍수를 다스려 이미 안정시킴에 후직이 이에 백곡을 파종했느니라.
礱 갈 롱, 숫돌 롱
后稷之孫,實維大王;居岐之陽,實始翦商。至于文武,纘大王之緒。致天之屆,于牧之野。
無貳無虞,上帝臨女。敦商之旅,克咸厥功。王曰:叔父!建爾元子,俾侯于魯;大啟爾宇,為周室輔。
후직지손, 실유대왕 ; 거기지양, 실시전상。지우문무, 찬대왕지서。치천지계, 우목지야。무이무우, 상제임녀。 퇴상지려, 극함궐공。
왕왈숙부 ! 건이원자, 비후우로 ; 대계이우, 위주실보。
후직의 자손이 실로 태왕이시니, 기땅의 양지바른 곳에 거하사 실로 상나라를 치기 시작하셨거늘 문왕과 무왕에 이르시어 태왕의
유업을 이으셔서 하늘의 다하심을 목야에서 이루셨으니 의심하지 말고 염려하지 말라. 상제께서 너에게 임하셨느니라. 상나라의
무리를 다스려 능히 그 공을 다하셨거늘 왕께서 가라사대 “숙부야, 네 원자를 세워 노후가 되게 하노니 크게 네 집을 열어서 주나라
왕실의 보필이 될지어다.”
○賦也. 翦 斷也. 大王 自豳徙居岐陽, 四方之民, 咸歸往之, 於是 而王迹 始著, 蓋有翦商之漸矣. 屆 極也, 猶言窮極也. 虞 慮也. 無貳無虞,
上帝臨女, 猶大明云上帝臨女, 無貳爾心也. 敦 治之也. 咸 同也, 言輔佐之臣, 同有其功, 而周公 亦與焉也. 王 成王也. 叔父 周公也.
元子 魯公伯禽也. 啓 開, 宇 居也.
○부라. 전은 끊음이라. 태왕이 빈땅으로부터 기땅의 양지바른 곳에 이사하여 거처하였는데 사방의 백성이 다 돌아와 이에 왕의 자취가 비로소 나타
나니 대개 상나라를 치는 점차 함이 있음이라. 계는 극이니 궁극과 같은 말이라. 우는 생각함이라. 무이무우와 상제임녀는 대명편(제7장)에 상제임
녀, 무이이심이라고 이른 것과 같음이라. 퇴는 다스림이라. 함은 같음이니 보좌하는 신하들이 그 공을 같이 두고 주공도 또한 함께 했음을 말함
이라. 왕은 성왕이라. 숙부는 주공이라. 원자는 노공 백금이라. 계는 엶이고, 우는 거처함이라.
乃命魯公,俾侯于東;錫之山川,土田附庸。周公之孫,莊公之子,龍旗承祀,六轡耳耳。
春秋匪解,享祀不忒;皇皇后帝,皇祖后稷,享以騂犧。是饗是宜,降福既多。周公皇祖,亦其福女。
내명노공, 비후우동 ; 석지산천, 토전부용。 주공지손, 장공지자, 룡기승사, 육비이이。 춘추비해, 향사불특 ; 황황후제, 황조후직, 향이성희。
시향시의, 강복기다。 주공황조, 역기복여。
이에 노공에게 명하사 동쪽으로 가서 제후가 되게 하시고 산천과 땅과 이에 붙은 나라들을 주도다. 주공의 손자요 장공의 아들
이 용 깃발로 제사를 이으시니 여섯 고삐가 부드럽게 따르도다. 봄가을로 게을리 하지 아니하사 제사 올림을 어김없이 하사 높
고 높으신 상제와 위대하신 할아버지 후직께 붉은 소를 잡아 올리시니, 이에 흠향하시고 이에 흡족하시어 복을 이미 많이 내리
셨으며 주공과 위대하신 조상님들도 또한 너에게 복을 주셨다.
○賦也. 附庸 猶屬城也, 小國 不能自達於天子, 而附於大國也. 上章 旣告周公以封伯禽之意, 此乃言其命魯公而封之也. 莊公之子, 其一閔公,
其一僖公, 知此是僖公者, 閔公在位不久, 未有可頌, 此必是僖公也. 耳耳 柔從也. 春秋 錯擧四時也. 忒 過差也. 成王 以周公 有大功於王
室. 故 命魯公, 以夏正孟春, 郊祀上帝, 配以后稷, 牲用騂牡. 皇祖 謂群公. 此章以後, 皆言僖公, 致敬郊廟而神降之福, 國人 稱願之如此也.
○부라. 부용은 속한 성과 같으니, 작은 나라는 능히 스스로 천자에서 통할 수가 없어서 큰 나라에 붙음이라. 윗장에 이미 주공에게 백금을 봉하
는 뜻을 알렸고, 이것은 이에 노공을 명하여 봉했음을 말함이라. 장공의 아들은 그 하나는 민공이고, 그 하나는 희공이니, 여기서 이를 희공이라
주장하는 것은 민공의 재위가 오래하지 아니하여 가히 기릴 만한 것이 있지 아니했으니, 이는 필시 희공이리라. 이이는 부드럽게 따름이라.
춘추는 사시를 번갈아 들음이라. 특은 지나치고 차이남이라. 성왕은 주공이 왕실에 큰 공이 있기 때문에 노공에게 명하여 하나라 역법으로 초봄
(정월)에 들에서 상제에게 제사지내고(郊祭) 후직을 배향하며 희생으로 붉은 수소를 쓰게 했느니라. 황조는 여러 공들을 이름이라. 이 장 이후는
다 희공이 교묘에 공경을 지극히 하여 신이 복을 내림을 말했으니 나라사람들이 칭송하여 바라기를 이와 같이 함이라.
秋而載嘗,夏而楅衡。白牡騂剛,犧尊將將。毛炰胾羹,籩豆大房;萬舞洋洋,孝孫有慶。
俾爾熾而昌,俾爾壽而臧。保彼東方,魯邦是常。不虧不崩,不震不騰。三壽作朋,如岡如陵。
추이재상, 하이복형。 백모성강, 희준장장。 모포자갱, 변두대방 ; 만무양양, 효손유경。비이치이창, 비이수이장。보피동방, 노방시상。
불휴불붕, 부진부등。삼수작붕, 여강여릉。
가을이니 상제를 지내니라. 여름에 복형하니 흰 수소와 붉은 수소이며, 희준이 엄정하며, 털을 그슬려 굽고 고기를 크게 썰어
국도 끓이며, 변두와 대방도 갖추었거늘 만무가 너울너울하니 효손이 경사가 있도다. 너로 하여금 타오르듯 번창케 하며, 너로
하여금 오래살고 착하게 하여 저 동방을 보전하여 노나라를 항상 하게 하시며,이지러지지도 무너지지도 아니하며, 흔들리지도
놀라지도 아니하여 삼수로 벗을 지어 뫼와 같고 언덕과 같으소서.
○賦也. 嘗 秋祭名. 楅衡 施於牛角, 所以止觸也. 周禮封人, 云凡祭, 飾其牛牲, 設其楅衡 是也. 秋將嘗而夏楅衡其牛, 言夙戒也. 白牡 周公
之牲也, 騂剛 魯公之牲也. 白牡 殷牲也, 周公有王禮. 故 不敢與文武同, 魯公則無所嫌. 故 用騂剛. 犧尊 畫牛於尊腹也, 或曰尊作牛形,
鑿其背以受酒也. 毛炰 周禮封人, 祭祀有毛炰之豚, 註 云爓去其毛而炰之也. 胾 切肉也. 羹 大羹, 鉶羹也. 大羹 大古之羹, 湆煮肉汁不和,
盛之以登, 貴其質也. 鉶羹 肉汁之有菜和者也, 盛之鉶器. 故 曰鉶羹. 大房 半體之俎, 足下有跗, 如堂房也. 萬 舞名. 震, 騰 驚動也.
三壽 未詳. 鄭氏曰三卿也, 或曰願公壽與岡陵等而爲三也.
○부라. 상은 가을 제사 이름이라. 복형은 소의 뿔에 베풀어 들이받지 못하게 함이라. 『주례』 봉인편에 무릇 제사에 그 희생을 꾸며서 그 복
형을 설치한다는 것이 이것이라. 가을에 장차 제사지내려고 여름에 그 소에게 복형하는 것은 일찍부터 경계함이라. 흰 수소는 주공의 희생
이고, 붉은 수소는 노공의 희생이라. 흰 수소는 은나라 희생이니 주공은 왕자의 예가 있으므로 감히 문왕과 무왕과 한가지로 하지 못하고,
노공은 꺼릴 바가 없으므로 붉은 수소를 씀이라. 희준은 술병의 복판에 소를 그린 것이니, 혹자는 술병을 소 모양으로 만들어서 그 등위에
구멍을 뚫어 술을 담는 것이라 하니라. 모포는 『주례』 봉인편에 제사에 털을 그을린 돼지가 있다 하니, 주에 그 털을 그을려 제거하고 구
운 것이라고 하니라. 자는 자른 고기라. 갱은 대갱과 형갱이라. 대갱은 아주 옛적부터의 국이니 고기를 삶아 익혀서 국물에 간하지 아니하고
그릇에 담아내니 그 질박함을 귀히 여기는 것이고, 형갱은 고기 국물에 채소를 넣고 간을 맞춰서 형기에 담아내므로 형갱이라 하니라. 대방
은 희생의 반 토막을 담는 제기이니 발아래에 받침이 있어(일반 밥상과 같이 생겨 네 다리에 두 다리마다 가로대를 이어 받친 것) 당방과 같
음이라. 만은 춤 이름이라(萬舞 : 邶風 簡兮편 참조). 진과 등은 놀라 움직임이라. 삼수는 자세하지 못하니라. 정씨는 삼경이라 하고, 혹자는
공의 오래 삶이 뫼와 언덕 등과 더불어 셋이 되기를 원함이라고 하니라.
爓 데칠 염(섬), 불꽃 염 鉶 국그릇 형 湆 축축할 읍, 갱즙(羹汁) 읍, 고기 삶은 국물 煮 삶을 자 登 제기그릇 등跗 발등 부.
公車千乘,朱英綠縢,二矛重弓。公徒三萬,貝胄朱綅,烝徒增增。戎狄是膺,荊舒是懲,則莫我敢承。
俾爾昌而熾,俾爾壽而富。黃髪台背,壽胥與試。俾爾昌而大,俾爾耆而艾。萬有千歲,眉壽無有害。
공거천승, 주영록등, 이모중궁。공도삼만, 패주주침, 증도증증。융적시응, 형서시징, 즉막아감승。비이창이치, 비이수이부。
황발태배, 수서여시。 비이창이대, 비이기이애。 만유천세, 미수무유해。
공의 수레가 천승이니, 붉은 수실을 단 창과 푸른 실을 감은 활이며 두 개의 창과 겹친 활이로다. 공의 보병이 삼 만이니, 자개로
꾸민 투구와 붉은 끈이며, 많은 무리가 겹겹이로다. 융적을 이에 막으며 형서를 이에 징계하니 곧 우리를 감히 맞서지 못하도다.
너로 하여금 번창하여 불꽃처럼 타오르게 하며, 너로 하여금 장수하고 부유하게 하여 누런 머리와 복어등을 한 사람이 오래 살
기를 서로 더불어 겨루며, 너로 하여금 번창하여 크게 하며, 너로 하여금 늙어 허옇게 되어 천만년에 미수토록 아무 해가 없게
하소서.
[참고] 膺懲
“戎狄是膺 荊舒是懲”에서 膺懲이란 단어가 나왔다. 맹자는 등문공상편 제4장과 하편 제9장에서 각각 위 구절을 인용하여 성인의 도를 배반하
고 農家류를 따른 陳相을 나무랐고, 양주와 묵적의 이단을 나무랐다.
“魯頌, 曰戎狄是膺, 荊舒是懲. 周公 方且膺之, 子是之學, 亦爲不善變矣.” “詩云戎狄是膺, 荊舒是懲, 則莫我敢承. 無父無君, 是周公所膺也.”
○賦也. 千乘 大國之賦也. 成方十里, 出革車一乘. 甲士三人, 左持弓, 右持矛, 中人御. 步卒 七十二人, 將重車者, 二十五人. 千乘之地, 則
三百十六里有奇也. 朱英 所以飾矛, 綠縢 所以約弓也. 二矛 夷矛酋矛也, 重弓 備折壞也. 徒 步卒也. 三萬 擧成數也. 車千乘, 法當用十萬
人而爲步卒者七萬二千人. 然 大國之賦, 適滿千乘, 苟盡用之, 是擧國而行也. 故 其用之, 大國三軍而已. 三軍 爲車三百七十五乘, 三萬七
千五百人, 其爲步卒, 不過二萬七千人, 擧其中而以成數言. 故 曰三萬也. 貝冑 貝飾冑也. 朱綅 所以綴也. 增增 衆也. 戎 西戎, 狄 北狄.
膺 當也. 荊 楚之別號, 舒 其與國也. 懲 艾, 承 禦也. 僖公 嘗從齊桓公, 伐楚. 故 以此 美之, 而祝其昌大壽考也. 壽胥與試之義, 未詳.
王氏曰壽考者 相與爲公用也, 蘇氏曰願其壽而相與試其才力, 以爲用也.
○부라. 천승은 대국의 부세라(전쟁에 대국이 내야 하는 수레의 수. 그러므로 이러한 대국을 千乘之家라 함). 구성은 사방 10리에 혁거 1승을
내니라. 갑사가 세 명이니 왼쪽 사람은 활을 잡고 오른쪽 사람은 창을 잡으며 가운데 사람은 말을 모니라. 보병은 72명이고, 중거를 모는 자는 25
명이라. 천승의 땅은 3백16리가 넘느니라. 주영은 창을 꾸미는 것이고,녹등은 활을 묶는 것이라. 두 개의 창은 이모와 추모이고, 활을 겹친 것은
꺾어지고 부러지는 것을 대비함이라. 도는 보졸이라. 3만은 성수를 들음이라. 수레 천승이면 법에 마땅히 10만 명을 써야 하고 보병은 7만 2천 명
이 되니라. 그러나 대국의 부세는 천승으로 꽉 차니 진실로 다 쓴다면 온 나라를 다 들어서(총동원하여) 가는 것이라. 그러므로 그 쓰는 것은 대국
의 삼군일 뿐이라.
삼군은 수레가 3백75승에 3만7천5백 명이니 그 중 보병은 2만7천 명을 넘지 않거늘 그 중간을 들어 성수로 말함이라. 그러므로 3만이라. 패주는
자개로 투구를 꾸민 것이라. 주침은 묶은 것이라. 증증은 무리라(*이미 모인 삼만 명의 무리를 묘사하는 말이므로 겹겹이라는 層으로 해석). 융은
서융이고, 적은 북적이라. 응은 당함이라. 형은 초나라의 다른 호칭이고, 서는 동맹국이라. 징은 다스림이고, 승은 막음이라. 희공이 일찍이 제나라
환공을 따라 초나라를 쳤으므로 이로써 아름다이 여기고 그 창성하고 크고 수고하기를 송축함이라. 壽胥與試라는 뜻은 자세하지 못하니라.
왕씨는 수고하는 자들이 서로 더불어 공의 쓰임이 되고자 한다 하고, 소씨는 그 오래 살면서 서로 더불어 재주와 힘을 시험해서 쓰이기를 원한다
고 하니라.
縢 묶을 등, 노끈 등
泰山巖巖,魯邦所詹。奄有龜蒙,遂荒大東,至于海邦。淮夷來同,莫不率從,魯侯之功。
태산암암, 노방소첨。 엄유귀몽, 수황대동, 지우해방。 회이래동, 막불솔종, 로후지공。
태산이 높고 높으니 노나라가 우러러보는 바이로다. 문득 귀산과 몽산을 소유하며 마침내 동쪽 끝까지 다스려 바닷가에까지 이르
니 회이가 와서 함께 하여 따르지 않은 이가 없으니 노후의 공이셨다.
○賦也. 泰山 魯之望也. 詹 與瞻 同. 龜蒙 二山名. 荒 奄也. 大東 極東也. 海邦 近海之國也.
○부라. 태산은 노나라에서 보이니라. 첨은 ‘볼 첨’과 같으니라. 귀와 몽은 두 산의 이름이라. 황은 덮음이라. 대동은 극동이라. 해방은 바닷가의
나라라.
保有鳧繹,遂荒徐宅,至于海邦。淮夷蠻貊,及彼南夷,莫不率從。莫敢不諾,魯侯是若。
보유부역, 수황서택, 지우해방。 회이만맥, 급피남이, 막불솔종。 막감불락, 노후시약。
부산과 역산을 보유하여 마침내 서택을 다스려서 바닷가에까지 이르니 회이와 만맥과 저 남이들이 따르지 않는 이가 없으며
감히 응하지 않는 이가 없어서 노후가 이에 순히 하도다.
○賦也. 鳧繹 二山名. 宅 居也, 謂徐國也. 諾 應辭. 若 順也.
○泰山龜蒙鳧繹, 魯之所有, 其餘則國之東南, 勢相連屬, 可以服從之國也.
○부라. 부와 역은 두 산의 이름이라. 택은 거처함이니 서국을 이름이라. 낙은 응하는 말이라. 약은 순함이라.
○태산과 귀산과 몽산과 부산과 역산은 노나라 소유이고, 그 나머지는 나라의 동남쪽에 세가 서로 이어져 있어 가히 복종하는 나라들이라.
天錫公純嘏,眉壽保魯;居常與許,復周公之宇。魯侯燕喜,令妻壽母,宜大夫庶士,邦國是有。
既多受祉,黃髪兒齒。
천석공순가, 미수보로 ; 거상여허, 복주공지우。 노후연희, 영처수모, 의대부서사, 방국시유。 기다수지, 황발아치。
하늘이 공에게 큰 복을 내리시니 미수토록 노나라를 보전하사 상땅과 허땅에 거처하여 주공의 집터를 회복하셨다. 노후가 잔
치하여 기뻐하시니 착한 부인과 장수한 어머니가 계셨다. 대부와 서사들을 마땅히 하사 나라를 이에 소유하시니 이미 복을 많
이 받으사 누런 머리와 아이 이가 나셨다.
○賦也. 常 或作嘗, 在薛之旁. 許 許田也, 魯朝宿之邑也. 皆魯之故地, 見侵於諸侯, 而未復者. 故 魯人 以是, 願僖公也. 令妻 令善之妻,
聲姜也, 壽母 壽考之母, 成風也. 閔公 八歲 被弑, 必是未娶, 其母叔姜, 亦應未老. 此言令妻壽母, 又可見公爲僖公, 無疑也. 有 常有也.
兒齒 齒落更生細者, 亦壽徵也.
○부라. 상은 혹 ‘일찍 상’자로도 쓰니 설땅의 옆에 있음이라. 허는 허전이니 노나라가 조회할 때에 유숙하는 고을이라. 다 노나라의 옛 땅이니
제후들에게 침탈당하여 아직 회복하지 못한 것이라. 그러므로 노나라 사람들이 이로써 희공에게 원한 것이라. 영처는 아름답고 착한 처니
성강이고, 수모는 오래도록 사신 어머니이니 성풍이라. 민공이 여덟 살에 시해 당했으니 틀림없이 장가들지 않았을 것이고, 그 어머니인 숙
강도 또한 응당 늙지 않았음이라. 이에 영처수모라고 말했으니 또한 가히 공이 희공이 됨을 의심할 수 없음을 볼 수 있음이라. 유는 떳떳이
둠이라. 아치는 이가 다 빠지고 다시 작게 나는 것이니 또한 오래도록 살았다는 증거라.
徂來之松,新甫之柏,是斷是度,是尋是尺。松桷有舄,路寢孔碩。新廟奕奕,奚斯所作。
孔曼且碩,萬民是若。
조래지송, 신보지백, 시단시탁, 시심시척。 송각유석, 노침공석。 신묘혁혁, 해사소작。 공만차석, 만민시약。
조래산의 소나무와 신보산의 잣나무를 이에 자르고 이에 헤아리며, 이에 재고 이에 자질하사 소나무 서까래가 굵으니 노침이 매우
크도다. 새 사당이 크고 아름다우니 해사가 지은 바로다. 심히 깊고 또한 크니 만민의 바람과 같도다.
○賦也. 徂來, 新甫 二山名. 八尺曰尋. 舄 大貌. 路寢 正寢也. 新廟 僖公所修之廟. 奚斯 公子魚也. 作者 敎護, 屬功課章程也. 曼 長, 碩
大也. 萬民是若 順萬民之望也.
○부라. 조래와 신보는 두 산의 이름이라. 여덟 자를 심이라 하니라. 석은 큰 모양이라. 노침은 정침이라. 신묘는 희공이 수리한 사당이라. 해사
는 공자 어라. 지었다는 것은 (장인과 일꾼들을) 가르치고 보호하여 공사의 과정과 세부 사항들을 맡긴 것이라. 만은 긺이고, 석은 큼이라. 만
민시약은 만민이 바라는 것을 따름이라.
閟宮九章 五章 章十七句 (內第四章脫一句) 二章 章八句 二章 章十句
舊說 八章, 二章 章十七句, 一章 十二句, 一章 三十八句, 二章 章八句, 二章 章十句. 多寡不均, 雜亂無次, 蓋不知第四章有脫句而然.
今正其誤.
옛설(毛詩)에는 여덟 장이니, 두 장은 장마다 17구이고, 한 장은 12구이고, 한 장은 38구이고, 두 장은 장마다 8구이고, 두 장은 장마다 10구라 하
여 많고 적음이 고르지 아니하고, 섞여서 어지럽고 차례가 없으니, 대개 제4장에 빠진 구가 있음을 알지 못하여 그러했음이라. 이제 그 잘못을 바로
잡노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