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國歷史와文學/史記

史記 卷 一一. 孝景本紀

柳川 2019. 5. 11. 22:57

史記 卷 一一. 孝景本紀 



<景帝>


孝景皇帝者,1) 孝文之中子也. 母竇太后. 孝文在代時, 前后有三男, 及竇太后得幸, 前后死, 及三子更死, 故孝景得立.

 

효경황제(孝景皇帝)는 효문황제(孝文皇帝)의 둘째 아들로서, 모친은 두태후(竇太后)이다. 효문제가 대(代)에 있었을 때, 이전 왕후에게는 세 아들이 있었다. 그 후 두태후가 총애를 받았을 때, 이전 왕후가 죽고 그의 세 아들도 연달아 죽었으므로 효경황제가 제위를 계승했다.

 

元年四月乙卯, 赦天下. 乙巳, 賜民爵一級. 五月, 除田半租, 爲孝文立太宗廟. 令群臣無朝賀. 匈奴入代, 與約和親.

二年春, 封故相國蕭何孫係爲武陵侯.2) 男子二十而得傅.3) 四月壬午, 孝文太后崩.4) 廣川、長沙王皆之國.5) 丞相申屠嘉卒. 八月, 以御史大夫開封陶靑爲丞相. 彗星出東北. 秋, 衡山雨雹,6) 大者五寸, 深者二尺. 熒惑逆行, 守北辰. 月出北辰閒. 歲星逆行天廷中. 置南陵及內史、祋祤爲縣.7)

 

원년(元年) 4월 을묘일(乙卯日), 천하에 대사면령을 내렸다. 더불어 을사일(乙巳日)에는 백성들에게 작위를 한 등급씩 하사했다. 5월에 전지(田地)의 조세를 절반으로 감면했다. 그리고 효문황제를 위해서 태종묘(太宗廟)를 건립했으나 신하들에게는 입조(入朝)해 하례를 올리지 못하게 했다. 한편 흉노(匈奴)가 대(代) 땅에 침입했으나 화친의 맹약을 맺었다.

 

2년 봄, 예전에 상국(相國)이었던 소하(蕭何)의 손자 소계(蕭係)를 무릉후(武陵侯)에 봉했다. 남자의 나이가 스무 살이 되면 병역에 복무하게 규정했다. 4월 임오일(壬午日)에 효문태후(孝文太后)가 서거했다. 광천왕(廣川王)과 장사왕(長沙王)이 모두 자신의 봉국(封國)으로 돌아갔으며, 승상 신도가(申屠嘉)가 세상을 떠났다. 8월, 어사대부(御史大夫)인 개봉후(開封侯) 도청(陶靑)을 승상에 임명했다.

 

혜성이 동북쪽에 출현했다. 가을에 형산(衡山)에 우박이 내렸는데, 큰 것은 다섯 치〔寸〕나 되었고, 깊이 팬 곳은 두 자〔尺〕나 되었다. 화성(火星)이 거꾸로 운행해 북극성 자리를 지켰고, 달이 북극성 사이에 출현했다. 목성(木星)이 천정(天廷) 구역을 거꾸로 운행했다. 남릉(南陵), 내사(內史), 대우(祋祤) 세 현(縣)을 설치했다.



三年正月乙巳, 赦天下. 長星出西方. 天火1)燔雒陽東宮大殿城室.2) 吳王濞、3)楚王戊、4)趙王遂、5)膠西王卬、6)濟南王辟光、7)菑川王賢、8)膠東王雄渠9)反, 發兵西鄕. 天子爲誅晁錯, 遣袁盎諭告, 不止, 遂西圍梁.10) 上乃遣大將軍竇嬰、太尉周亞夫將兵誅之. 六月乙亥. 赦亡軍及楚元王子蓺等11)與謀反者. 封大將軍竇嬰爲魏其侯.12) 立楚元王子平陸侯禮13)爲楚王. 立皇子端爲膠西王, 子勝爲中山王. 徙濟北王志14)爲菑川王, 淮陽王餘15)爲魯王,16) 汝南王非17)爲江都王.18) 齊王將廬、19)燕王嘉20)皆薨.21)

 

3년 정월 을사일(乙巳日), 천하에 대사면령을 내렸다. 유성(流星)이 서쪽 지역에 나타났다. 번갯불이 낙양(洛陽) 동궁(東宮)의 대전(大殿)과 성루를 불태웠다. 오왕(吳王) 유비(劉濞), 초왕(楚王) 유무(劉戊), 조왕(趙王) 유수(劉遂), 교서왕(膠西王) 유앙(劉卬), 제남왕(濟南王) 유벽광(劉辟光), 치천왕(菑川王) 유현(劉賢), 교동왕(膠東王) 유웅거(劉雄渠)가 모반을 일으키매, 병사를 출동시켜 서쪽으로 향하게 했다. 천자는 그 때문에 조착(晁錯)을 주살하고, 원앙(袁盎)을 파견해 통보했지만, 반란군은 멈추지 않고 서쪽으로 양(梁)을 포위했다. 이에 황제는 대장군 두영(竇嬰)과 태위 주아부(周亞夫)를 파견해 병사를 인솔해 그들을 주살하게 했다.

 

6월 을해일(乙亥日)에 도망친 반란군의 병사와 초 원왕(楚元王)의 아들 유예(劉蓺) 등 모반에 가담했던 사람들을 사면했다. 그리고 그 뒤 대장군 두영을 위기후(魏其侯)에 봉하고, 초 원왕의 아들 평륙후(平陸侯) 유례(劉禮)를 초왕으로 삼았다. 황자(皇子) 유단(劉端)을 세워서 교서왕이라고 했고, 황자 유승(劉勝)을 중산왕(中山王)이라고 했으며, 제북왕(濟北王) 유지(劉志)를 치천왕으로 옮겨가게 했고, 회양왕(淮陽王) 유여(劉餘)를 노왕(魯王)으로 삼았으며, 여남왕(汝南王) 유비(劉非)를 강도왕(江都王)으로 삼았다. 제왕(齊王) 유장려(劉將廬)와 연왕(燕王) 유가(劉嘉)는 모두 서거했다.



四年夏, 立太子. 立皇子徹爲膠東王. 六月甲戌, 赦天下. 後九月, 更以(弋)[易]陽爲陽陵.1) 復置津關, 用傳出入.2) 冬, 以趙國爲邯鄲郡.3)

 

4년 여름, 황태자를 세웠고, 황자 유철(劉徹)을 세워서 교동왕으로 삼았다. 6월 갑술일(甲戌日), 천하에 대사면령을 내렸다. 윤달 9월에 역양(易陽)을 양릉(陽陵)으로 개명했다. 수륙의 중요한 길목에 관소(關所)를 새로 설치하고 통행증을 사용해 출입하게 했다. 겨울에는 조(趙)를 한단군(邯鄲郡)으로 개명했다.

 

 

五年三月, 作陽陵、4)渭橋. 五月, 募徙陽陵, 予錢二十萬. 江都大暴風從西方來, 壞城十二丈. 丁卯, 封長公主子蟜爲隆慮侯.5) 徙廣川王爲趙王.

 

5년 3월, 양릉에 위교(渭橋)를 만들었다. 5월, 백성들을 모집해 양릉으로 이주시키고 20만 전(錢)을 지급했다. 강도(江都)에 큰 폭풍이 서쪽에서 불어와 성벽 열두 장(丈)을 파손시켰다. 정묘일(丁卯日), 장공주(長公主)의 아들 진교(陳蟜)를 융려후(隆慮侯)로 봉하고, 광천왕을 조왕(趙王)으로 바꾸었다.

 

 

六年春, 封中尉(趙)綰爲建陵侯,6) 江都丞相嘉7)爲建平侯, 隴西太守渾邪爲平曲侯,8) 趙丞相嘉9)爲江陵侯, 故將軍布爲鄃侯. 梁楚二王皆薨. 後九月, 伐馳道樹, 殖蘭池.10)

 

6년 봄, 중위(中尉)위관(衛綰)을 건릉후(建陵侯)에 봉했고, 강도의 승상 정가(程嘉)를 건평후(建平侯)에 봉했으며, 농서(隴西) 태수혼야(渾邪)를 평곡후(平曲侯)로 삼았고, 조나라의 승상 소가(蘇嘉)를 강릉후(江陵侯)로 삼았으며, 장군 난포(欒布)를 유후(鄃侯)에 봉했다. 양왕과 초왕이 모두 서거했다. 윤달 9월, 치도(馳道) 양쪽의 나무를 베어내고 난지(蘭池)를 메웠다.

 

七年冬, 廢栗太子爲臨江王.11) 十(二)[一]月晦, 日有食之. 春, 免徒隷作陽陵者. 丞相靑免. 二月乙巳, 以太尉條侯12)周亞夫爲丞相. 四月乙巳, 立膠東王太后爲皇后.13) 丁巳, 立膠東王爲太子. 名徹.

 

7년 겨울, 율태자(栗太子)를 폐출시켜 임강왕(臨江王)으로 삼았다. 11월 말일에 일식이 있었다. 봄, 양릉을 수축한 죄수들과 노예들을 사면했다. 승상 도청이 면직되었다. 2월 을사일(乙巳日)에 태위 조후(條侯) 주아부를 승상으로 임명했다. 4월 을사일에 교동왕태후(膠東王太后)를 세워 황후로 삼았다. 정사일(丁巳日)에 교동왕을 세워 태자로 삼으니, 태자의 이름은 철(徹)이었다.

 

中元年, 封故御史大夫周苛14)孫平15)爲繩侯, 故御史大夫周昌(子)[孫]左車爲安陽侯, 四月乙巳, 赦天下, 賜爵一級. 除禁錮. 地動. 衡山、原都雨雹, 大者尺八寸.

 

중원(中元) 원년, 이전에 어사대부였던 주가(周苛)의 손자 주평(周平)을 승후(繩侯)로 봉했고, 예전 어사대부였던 주창(周昌)의 손자 주좌거(周左車)를 안양후(安陽侯)에 봉했다. 4월 을사일(乙巳日)에 천하에 대사면령을 내리고 백성들에게 작위를 한 등급씩 하사했으며 금고(禁錮)법령을 폐지했다. 지진이 발생했다. 형산과 원도(原都)에 우박이 내렸는데, 큰 것은 한 자 여덟 치나 되었다.

 

中二年二月, 匈奴入燕, 遂不和親. 三月, 召臨江王來. 卽死中尉府中. 夏, 立皇子越爲廣川王, 子寄爲膠東王. 封四侯.16) 九月甲戌, 日食.

 

중원 2년 2월, 흉노가 연(燕) 땅을 침입했기에 화친을 끊었다. 3월에 임강왕을 소환하니, 임강왕은 도성에 이르러 중위부(中尉府)에서 자살했다. 여름, 황자 유월(劉越)을 세워서 광천왕이라고 하고 유기(劉寄)를 교동왕으로 삼았으며, 네 명의 열후를 봉했다. 9월 갑술일(甲戌日), 일식이 발생했다.

 

中三年冬, 罷諸侯御史中丞. 春, 匈奴王二人率其徒來降, 皆封爲列侯.17) 立皇子方乘爲淸河王. 三月, 彗星出西北. 丞相周亞夫(死)[免], 以御史大夫桃侯劉舍爲丞相. 四月, 地動. 九月戊戌晦, 日食. 軍東都門外.18)

 

3년 겨울, 제후국의 어사중승(御史中丞)이라는 관직을 폐지했다. 봄, 흉노의 왕 두 사람이 부하들을 거느리고 와서 항복하자 모두 열후의 작위에 봉해졌다. 황자 유방승(劉方乘)을 세워서 청하왕(淸河王)으로 삼았다. 3월, 혜성이 서북쪽에 나타났다. 승상 주아부가 면직되었고, 어사대부인 도후(桃侯) 유사(劉舍)를 승상으로 임명했다. 4월에 지진이 발생했다. 9월 말 무술일(戊戌日)에 일식이 출현했다. 동도문(東都門)밖에 군대를 주둔시켰다.

 

中四年三月, 置德陽宮.19) 大蝗. 秋, 赦徒作陽陵者.

 

4년 3월, 덕양궁(德陽宮)을 수축했다. 메뚜기에게 큰 피해를 입었다. 가을, 양릉 공사에 참여한 죄수를 사면했다.

 

中五年夏, 立皇子舜爲常山王. 封十侯.20) 六月丁巳, 赦天下, 賜爵一級. 天下大潦. 更命諸侯丞相曰相. 秋, 地動.

 

5년 여름, 황자 유순(劉舜)을 세워서 상산왕(常山王)으로 삼았다. 열 명에게 열후의 작위를 봉했다. 6월 정사일(丁巳日), 천하에 대사면령을 내리고 백성들에게 작위를 찬 등급씩 하사했다. 전국에 큰 수재가 발생했다. 제후국의 승상을 ‘상(相)’이라고 개칭했다. 가을에 지진이 발생했다.

 

中六年二月己卯, 行幸雍, 郊見五帝. 三月, 雨雹. 四月, 梁孝王、21)城陽共王、22)汝南王皆薨. 立梁孝王子明爲濟川王,23) 子彭離爲濟東王,24) 子定爲山陽王,25) 子不識爲濟陰王.26) 梁分爲五. 封四侯. 更命廷尉爲大理, 將作少府爲將作大匠, 主爵中尉爲都尉,27) 長信詹事28)爲長信少府,29) 將行爲大長秋,30) 大行爲行人,31) 奉常爲太常,32) 典客爲大行,33) 治粟內史爲大農.34) 以大內爲二千石,35) 置左右內官, 屬大內.36) 七月辛亥, 日食. 八月, 匈奴入上郡.

 

6년 2월 기묘일(己卯日), 옹(雍)에 행차해 오제(五帝)에게 교제(郊祭)를 지냈다. 3월에 우박이 내렸다. 4월, 양 효왕(梁孝王), 성양공왕(城陽共王), 여남왕(汝南王)이 모두 서거했다. 양 효왕의 아들 중에서 유명(劉明)을 세워서 제천왕(濟川王)으로 삼고, 유팽리(劉彭離)를 제동왕(濟東王)으로 삼았으며, 유정(劉定)을 산양왕(山陽王)으로 삼고, 유불식(劉不識)을 제음왕(濟陰王)으로 삼으니, 양(梁)은 다섯 나라로 분할되었다.

 

 

네 명에게 열후의 작위를 봉했다. 정위(廷尉)를 대리(大理)로 개명했고, 장작소부(將作少府)를 장작대장(將作大匠)으로 개명했으며, 주작중위(主爵中尉)를 도위(都尉)로 개명했다. 또 장신첨사(長信詹事)를 장신소부(長信少府)로 개명하고, 장행(將行)을 대장추(大長秋)로, 대행(大行)을 행인(行人)으로, 봉상(奉常)을 태상(太常)으로, 전객(典客)을 대행(大行)으로, 치속내사(治粟內史)를 대농(大農)으로 개명했다. 대내(大內)를 2천석(二千石)으로 하고, 좌내관(左內官)과 우내관(右內官)을 두어 대내에 예속시켰다. 7월 신해일(辛亥日)에 일식이 나타났다. 8월에 흉노가 상군(上郡)에 침입했다.

 

後元年冬, 更命中大夫令爲衛尉.37) 三月丁酉, 赦天下, 賜爵一級, 中二千石、諸侯相爵右庶長. 四月, 大酺. 五月丙戌,38) 地動, 其蚤食時復動. 上庸地動二十二日, 壞城垣. 七月乙巳, 日食. 丞相劉舍免. 八月壬辰, 以御史大夫綰39)爲丞相, 封建陵侯.

 

후원(後元) 원년 겨울, 중대부령(中大夫令)을 위위(衛尉)로 개명했다. 3월 정유일(丁酉日), 천하에 대사면령을 내리고, 백성들에게 작위를 한 등급씩 하사했다. 중 2천석(中二千石)과 제후국의 상(相)에게 우서장(右庶長)의 작위를 주었다. 4월, 백성들에게 주연을 베풀었다. 5월 병술일(丙戌日)에 지진이 일어났고, 그날 아침식사 무렵에 다시 지진이 발생했다. 상용(上庸)에는 22일 동안 지진이 발생해 성벽이 훼손되었다. 7월 을사일(乙巳日)에 일식이 있었다. 승상 유사(劉舍)가 면직되었다. 8월 임진일(壬辰日)에 어사대부 위관을 승상으로 임명하고 건릉후에 봉했다.

 

後二年正月, 地一日三動. 郅將軍擊匈奴.40) 酺五日. 令內史郡不得食馬粟, 沒入縣官. 令徒隷衣七緵布.41) 止馬舂.42) 爲歲不登, 禁天下食不造歲. 省列侯遣之國.43) 三月, 匈奴入鴈門. 十月, 租長陵田. 大旱. 衡山國、河東、雲中郡44)民疫.

 

후원 2년 정월, 하루 동안에 지진이 세 번이나 있었다. 질장군(郅將軍)이 흉노를 공격했다. 5일간 백성들에게 주연을 베풀었다. 내사의 관할 하에 있는 각 군(郡)의 말에게 곡식을 먹이지 못하게 명령하고, 이를 어길 경우 관가에서 말을 몰수할 것이라 했다. 죄수와 노예에게 칠종포(七緵布)로 만든 옷을 입게 하고, 말을 이용해 곡식을 찧지 못하게 했다. 농사가 흉작이므로, 수확하기 이전에 식량을 다 소비하는 것을 금지했다. 경성 안의 열후를 줄여 자기 봉지로 돌아가게 했다. 3월, 흉노가 안문(雁門)에 침입했다. 10월, 장릉(長陵) 부근의 관전(官田)을 백성들에게 임대해주어 경작하게 했다. 가뭄으로 큰 피해를 입었다. 형산국(衡山國), 하동군(河東郡), 운중군(雲中郡)에 전염병이 유행했다.

 

後三年十月, 日月皆(食)赤五日. 十二月晦, 雷.45) 日如紫. 五星逆行守太微. 月貫天廷中.46) 正月甲寅, 皇太子冠. 甲子, 孝景皇帝崩.47) 遺詔賜諸侯王以下至民爲父後爵一級, 天下戶百錢. 出宮人歸其家, 復無所與. 太子卽位, 是爲孝武皇帝.48) 三月, 封皇太后弟蚡49)爲武安侯, 弟勝爲周陽侯. 置陽陵.

 

3년 10월, 태양과 달이 5일 동안 계속 붉은 색을 띠었다. 12월 말 우레가 쳤으며, 태양은 보라색이 되었다. 오성(五星)이 역행해 태미원(太微垣) 구역에 있었고, 달은 천정 구역 가운데를 관통하고 있었다. 정월 갑인일(甲寅日), 황태자의 관례(冠禮)를 거행했다. 갑자일(甲子日), 효경황제가 서거했다. 유조(遺詔)에 따라서 제후왕에서 백성에 이르기까지 부친의 뒤를 이은 백성에게 작위를 한 등급씩 주었고, 전국의 각 집마다 1백 전(錢)을 하사했다. 후궁 궁인들을 집으로 돌려보내고 그들에게는 평생 조세와 부역을 면제해주었다. 태자가 즉위했으니, 이 이가 바로 효무황제(孝武皇帝)이다. 3월, 황태후의 동생 전분(田蚡)을 무안후(武安侯)로 봉하고, 동생 전승(田勝)을 주양후(周陽侯)로 봉했다. 경제(景帝)를 양릉에 안장했다.

 

太史公曰:漢興, 孝文施大德, 天下懷安, 至孝景, 不復憂異姓, 而晁錯刻削諸侯, 遂使七國俱起, 合從而西鄕, 以諸侯太盛, 而錯爲之不以漸也. 及主父偃言之, 而諸侯以弱, 卒以安.50) 安危之機, 豈不以謀哉?

 

태사공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

 

“한(漢)이 흥해 효문황제가 큰 덕을 펼치자 천하는 제왕의 덕을 흠모하며 안정되었다. 효경황제에 이르러 다시는 이성(異姓) 제후의 반역을 걱정할 필요가 없게 되었으나, 조착(晁錯)이 제후의 봉국을 빼앗자 마침내 7국이 함께 봉기하고 연합해 서쪽으로 진격했다. 이것은 제후의 세력이 강대했음에도 불구하고 조착이 점진적인 방법으로 대처해나가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그 후 주보언(主父偃)의 건의에 따라 제후왕의 세력이 점점 약해져서 마침내 천하가 안정되었다. 이것으로 미루어본다면 천하의 안정과 위태로움의 관건이 어찌 모책(謀策)에 달려 있다고 하지 않겠는가?”



 

각주

1 集解漢書音義曰:「諱啓.」正義謚法曰:「繇義而濟曰景.」

2 集解(徐廣曰:漢書亦作「係」. 鄒誕生本作「傒」, 音奚. 又按:漢書功臣表及蕭何傳皆云孫嘉, 疑其人有二名.)索隱漢書亦作「係」, 鄒誕生本作「傒」. 又按:漢書功臣表及蕭何傳皆云封何孫嘉, 疑其人有二名也.

3 索隱音附. 荀悅云:「傅, 正卒也.」小顔云舊法二十三而傅, 今改也.

4 索隱薄太后也. 亦葬芷陽西, 曰少陵也.

5 索隱廣川王彭祖、長沙王發皆景帝子, 遣就國也.

6 正義雨, 于付反.

7 集解徐廣曰:「地理志云文帝七年置.」駰按:地理志、百官表南陵縣文帝置也. 分內史爲左右, 及祋祤爲縣, 皆景帝二年, 不得皆如徐所云. 索隱鄒誕生祋音都會反, 又音丁活反. 祤音羽, 又音詡.


1 集解徐廣曰:「漢志無.」

2 集解徐廣曰:「雒, 一作『淮』.」索隱雒陽漢書作「淮陽」. 災, 故徙王於魯也.

3 正義音匹備反. 高祖兄仲子, 故漢高祖十二年封, 三十三年反. 年表云都吳, 其實在江都也.

4 正義高祖弟楚王交孫, 嗣二十一年反, 都彭城.

5 正義高祖孫, 幽王友子, 嗣二十六年反, 都邯鄲.

6 正義卬, 五郎反. 高祖孫, 齊悼惠王子, 故平昌侯, 十年反, 都密州高密縣.

7 正義辟音壁. 高祖孫, 齊悼惠王子, 故(初)[扐]侯, 立十一年反. 括地志云:「濟南故城在淄川長山縣西北三十里.」

8 正義高祖孫, 齊悼惠王子, 故武城侯, 立十一年反, 都劇. 括地志云:「菑州縣也. 故劇城在靑州壽光縣南三十一里, 故紀國.」

9 正義高祖孫, 齊悼惠王子, 故白石侯, 立十一年反, 都卽墨. 括地志云:「卽墨故城在密州膠水縣東南六十里, 卽膠東國也.」

10 正義梁孝王都睢陽, 今宋州.

11 正義蓺, 魚曳反. 字亦作「藝」, 音同.

12 正義地理志云魏其屬琅邪.

13 索隱韋昭云:「平陸, 西河縣. 禮卽向之從曾祖王父也.」正義應劭云:「平陸, 西河縣.」

14 正義濟, 子禮反. 濟北國今濟州盧縣, 卽濟北王所都.

15 正義淮陽國今陳州.

16 正義魯今兗州曲阜縣.

17 正義汝南國今豫州.

18 正義江都國今揚州也. 吳王濞所都, 反, 誅, 景帝改爲江都國, 封皇子非也.

19 索隱悼惠王之孫, 齊王襄之子. 廬, 漢書作「閭」. 正義齊國, 靑州臨淄也. 將廬, 齊悼惠王之孫, 襄王之子, 年表云.

20 索隱劉澤之子.

21 集解徐廣曰:「表云五年薨.」


1 正義括地志云:「漢景帝陵也, 在雍州咸陽縣東三十里.」按:豫作壽陵也.

2 集解應劭曰:「文帝十二年, 除關, 無用傳, 至此復置傳, 以七國新反, 備非常也.」張晏曰:「傳, 信也, 若今過所也.」如淳曰:「傳音『檄傳』之『傳』, 兩行書繒帛, 分持其一, 出入關, 合之乃得過, 謂之傳.」索隱傳音丁戀反. 如今之過所.

3 集解地理志趙國景帝以爲邯鄲郡.

4 索隱景帝豫作壽陵也. 按:趙系家趙肅侯十五年起壽陵, 後代遂因之也.

5 索隱音林閭. 避殤帝諱改之.

6 正義括地志云:「建陵故縣在沂州承縣界.」

7 集解徐廣曰:「姓程.」

8 正義括地志云:「平曲縣故城在瀛州文安縣北七十里.」

9 集解徐廣曰:「姓蘇.」

10 集解徐廣曰:「殖, 一作『塡』.」正義按:馳道, 天子道, 秦始皇作之, 三丈而樹.

11 正義臨江, 忠州縣. 雖王臨江而都江陵.

12 正義條, 田彫反. 字亦作「蓧」, 音同.

13 索隱按系家, 太后槐里人, 父仲. 兄信, 封蓋侯. 后故金氏妻女弟姁兒也.

14 索隱周昌之兄.

15 集解徐廣曰:「一作『應』.」

16 集解文穎曰:「楚相張尙, 太傅趙夷吾, 趙相建德, 內史王悍. 此四人各諫其王, 無使反, 不聽, 皆殺之, 故封其子.」索隱韋昭云:「張尙子當居, 趙夷吾子周, 建德子橫, 王悍子棄也.」

17 正義漢書表云中三年, 安陵侯子軍、桓侯賜、遒侯陸彊、容城侯徐盧、易侯僕■、范陽侯代、翕侯邯鄲七人, 以匈奴王降, 皆封爲列侯. 按:紀言二人者是匈奴二王爲首降.

18 集解按:三輔黃圖東出北頭第一門曰宣平門, 外曰東都門. 索隱按:三輔黃圖云東出北第一門曰宣平門, 外曰東都門.

19 集解瓚曰:「是景帝廟也, 帝自作之, 諱不言廟, 故言宮. 西京故事云景帝廟爲德陽宮.」

20 正義惠景閒年表云亞谷侯盧他之、隆盧侯陳蟜、乘氏侯劉買、桓邑侯劉明、蓋侯王信. 按:其五人是中元五年封, 餘檢不獲. 中元三年, 匈奴王二人降, 封爲列侯. 惠景閒表云匈奴王降爲侯者有七人, 疑其五人是十侯之數.

21 正義都睢陽, 今宋州.

22 正義城陽, 今濮州雷澤縣, 古城陽也. 共音恭. 謚法「嚴敬故事曰恭」.

23 正義表云分梁置也.

24 正義表云分梁置也.

25 正義地理志云景帝中六年別爲山陽國, 屬兗州.

26 正義地理志云景帝中六年別爲濟陰國, 屬兗州. 按:今曹州是也.

27 集解漢書百官表曰:「主爵中尉, 秦官, 掌列侯.」

28 集解漢書百官表曰:「詹事, 秦官, 掌皇后太子家.」應劭曰:「詹, 省也, 給也.」瓚曰:「茂陵書詹事秩二千石.」

29 集解張晏曰:「以太后所居宮爲名. 長信宮則曰長信少府, 長樂宮則曰長樂少府.」

30 集解漢書百官表曰:「將行, 秦官.」應劭曰:「長秋, 皇后卿.」

31 集解服虔曰:「天子死未有謚, 稱大行.」晉灼曰:「禮有大行、小行, 主謚官, 故以此名之.」如淳曰:「不反之辭也.」瓚曰:「大行是官名, 掌九儀之制, 以賓諸侯.」索隱按:鄭玄曰「命者五, 謂公、侯、伯、子、男, 爵者四, 孤、卿、大夫、士, 是九也.」

32 集解漢書百官表曰:「奉常, 秦官, 掌宗廟禮儀.」

33 索隱韋昭云:「大行, 官名, 秦時云典客, 景帝初改云大行, 後更名大鴻臚, 武帝因而不改, 故漢書景紀有大鴻臚. 百官表又云武帝改名大鴻臚. 鴻, 聲也. 臚, 附皮. 以言其掌四夷賓客, 若皮臚之在外附於身也. 復有大行令, 故諸侯薨, 大鴻臚奏謚, 列侯薨, 則大行奏誄」. 按:此大行令卽鴻臚之屬官也.

34 集解漢書百官表曰:「治粟內史, 秦官, 掌谷貨也.」

35 集解韋昭曰:「大內, 京師府藏.」

36 索隱主天子之私財物曰少內. 少內屬大內也.

37 正義漢書百官表云:「衛尉, 秦官, 掌宮闈門衛屯兵. 景帝初, 更命中大夫令, 後元年, 復爲衛尉.」

38 集解徐廣曰:「丙, 一作『甲』.」

39 索隱姓衛也.

40 正義郅, 眞栗反. 郅都傳云匈奴刻木爲郅都而射, 不中.

41 索隱七緵, 蓋今七升布, 言其粗, 故令衣之也. 正義衣, 於旣反. ■, 祖工反. ■, 八十縷也. 與布相似. 七升布用五百六十縷.

42 索隱止人爲馬舂粟, 爲歲不登故也.

43 集解晉灼曰:「文紀遣列侯之國, 今又省之.」

44 正義衡山國, 今衡州. 河東, 今蒲州. 雲中郡, 今勝州.

45 集解徐廣曰:「一作『雷』字, 又作『圖』字, 實所未詳.」

46 索隱天廷卽龍星右角也. 按:石氏星傳曰「龍在左角曰天田, 右角曰天廷」.

47 集解皇甫謐曰:「帝以孝惠七年生, 年四十八.」

48 集解漢書云:「二月癸酉, 帝葬陽陵.」皇甫謐曰:「陽陵山方百二十步, 高十四丈, 去長安四十五里.」

49 集解蘇林曰:「蚡音鼢.」索隱蚡音扶粉反. 按:外戚世家皇太后母臧氏初嬪王氏, 生子信而寡, 更嫁長陵田氏, 生蚡及勝也.

50 索隱主父偃上言, 今天子下推恩之令, 令諸侯各得分邑其子弟, 於是遂弱, 卒以安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