史記 卷三一. 吳太伯世家[吳太伯]
卷三一. 吳太伯世家[吳太伯]
呉太伯,1) 太伯弟仲雍,2) 皆周太王之子, 而王季歴之兄也. 季歴賢, 而有聖子昌, 太王欲立季歴以及昌, 於是太佰、仲雍二人乃奔荊蛮, 文身断髪, 示不可用,3) 以避季歴. 季歴果立, 是為王季, 而昌為文王. 太伯之奔荊蛮, 自号句呉.4) 荊蛮義之, 従而帰之千余家, 立為呉太伯.
오태백(吳太伯)과 그의 동생 중옹(仲雍)은 모두 주 태왕(周太王)의 아들이며, 왕(王) 계력(季歷)의 형이다. 계력은 현명했으며, 더욱이 그에게는 덕성과 지혜로 지극히 훌륭한 희창(姬昌)이라는 아들이 있었다.
태왕이 계력을 옹립하고 장차 희창에게 왕위를 전해주려고 하자, 태백과 중옹 두 사람은 형만(荊蠻) 지방으로 도망가서 몸에 문신을 새기고 머리를 잘라 임금이 될 수 없다는 것을 표시함으로써 계력을 피했다.
계력이 과연 왕위에 오르니 그가 바로 왕계(王季)이고, 희창이 바로 문왕(文王)이다. 태백은 형만으로 도망가서 스스로 왕위에 올라 구오(句吳)라고 칭했다. 형만 사람들은 그를 앙모(仰慕)해 그를 따르는 자가 1천여 호(戶)가 되었으며 그를 오 태백에 옹립했다.
太伯卒,5) 無子, 弟仲雍立, 是為呉仲雍. 仲雍卒,6) 子季簡立. 季簡卒, 子叔達立. 叔達卒, 子周章立. 是時周武王克殷, 求太伯、仲雍之後, 得周章. 周章已君呉, 因而封之. 乃封周章弟虞仲於周之北故夏虚,7) 是為虞仲,8) 列為諸侯.
태백이 죽은 뒤 아들이 없어 동생 중옹이 왕위에 오르니 그가 바로 오중옹(吳仲雍)이다. 중옹이 죽은 뒤 그 아들 계간(季簡)이 왕위에 올랐고, 계간이 죽은 뒤에는 아들 숙달(叔達)이 왕위에 올랐다. 숙달이 죽은 뒤에 다시 주장(周章)이 왕위를 이었다. 이때에 주 무왕(周武王)은 은(殷)나라를 멸망시키고 태백과 중옹의 후손을 찾다가 주장을 찾게 되었다.
그때 주장은 이미 오나라의 군주가 되어 있었으므로 그를 오(吳)나라에 봉했다. 그리고 주장의 동생 우중(虞仲)을 주 왕실의 도성(都城) 북쪽에 위치한 옛 하(夏)나라의 도읍지에 봉해 우(虞)나라를 세우게 함으로써, 우중은 비로소 제후의 반열에 오르게 되었다.
周章卒, 子熊遂立, 熊遂卒, 子柯相立.9) 柯相卒, 子彊鳩夷立. 彊鳩夷卒, 子余橋疑吾立.10) 余橋疑吾卒, 子柯盧立. 柯盧卒, 子周繇立.11) 周繇卒, 子屈羽立.12) 屈羽卒, 子夷吾立. 夷吾卒, 子禽処立. 禽処卒, 子転立.13) 転卒, 子頗高立.14) 頗高卒, 子句卑立.15) 是時晉献公滅周北虞公, 以開晉伐虢也.16) 句卑卒, 子去斉立. 去斉卒, 子寿夢立.17) 寿夢立而呉始益大, 称王.
주장이 세상을 떠난 뒤 아들 웅수(熊遂)가 왕위에 올랐다. 웅수가 세상을 떠난 뒤에는 그 아들 가상(柯相)이 왕위에 올랐다. 가상이 세상을 떠난 뒤 그 아들 강구이(彊鳩夷)가 왕위에 올랐다. 강구이가 죽은 뒤에는 여교의오(餘橋疑吾)가 왕위에 올랐다. 여교의오가 죽은 뒤에는 가로(柯盧)가 왕위에 올랐다. 가로가 죽은 뒤에는 주요(周繇)가 왕위에 올랐다. 주요가 죽은 뒤에는 굴우(屈羽)가 왕위에 올랐다. 굴우가 죽은 뒤에는 이오(夷吾)가 왕위에 올랐다. 이오가 죽은 뒤에는 금거(禽處)가 왕위에 올랐다. 금거가 죽은 뒤에는 전(轉)이 왕위에 올랐다. 전이 죽은 뒤에는 파고(頗高)가 왕위에 올랐다. 파고가 죽은 뒤에는 구비(句卑)가 왕위에 올랐다.
이 시기에 진 헌공(晉獻公)은 주 왕실 도성의 북쪽에 있던 우공(虞公)을 멸망시킴으로써 진나라가 괵(虢)나라를 공격할 수 있는 통로를 개척했다. 구비가 죽은 후에 거제(去齊)가 왕위를 이었으며 거제가 세상을 떠난 뒤에 아들 수몽(壽夢)이 왕위에 올랐다. 수몽이 즉위한 후에 오나라는 점점 강대해지기 시작했고 스스로 왕이라고 칭했다.
自太伯作呉, 五世而武王克殷, 封其後為二:其一虞, 在中国;其一呉, 在夷蛮. 十二世而晉滅中国之虞. 中国之虞滅二世, 而夷蛮之呉興.18) 大凡従太伯至寿夢十九世.19)
태백이 오나라를 세운 이래로 5대(五代)째가 되어 주 무왕이 은나라를 멸망시키고 그의 후손에게 두 개의 나라를 봉해주었다. 하나는 우(虞)나라로 중원(中原) 지역에 자리잡고 있었고, 하나는 오(吳)나라로 이만(夷蠻) 지역에 자리잡고 있었다. 12대가 지나 진(晉)나라가 중원 지역에 있던 우나라를 멸망시켰다. 중원 지역의 우나라가 멸망한 지 2대가 지나서 이만(夷蛮) 지역의 오나라가 흥성했다. 태백에서 수몽까지는 모두 19대가 있었다.
王寿夢二年,20) 楚之亡大夫申公巫臣怨楚将子反而奔晉, 自晉使呉, 教呉用兵乗車, 令其子為呉行人,21) 呉於是始通於中国. 呉伐楚. 十六年, 楚共王伐呉, 至衡山.22)
오왕 수몽 2년에 국외로 도망갔던 초(楚)나라의 대부 신공 무신(申公巫臣)이 초 나라 장수 자반(子反)을 원망해 진(晉)나라로 망명했고 진나라의 사신으로 오나라에 왔다. 오나라 사람들에게 전쟁하는 법과 전차(戰車) 모는 법을 가르쳐주었는데, 오나라는 그의 아들로 하여금 오나라의 행인(行人)의 직책을 맡게 했다. 오나라는 이로써 중원의 각국과 왕래하기 시작했다. 오나라가 초 나라를 공격했다. 16년에 초 공왕(楚共王)이 오나라를 정벌해 형산(衡山)에 이르렀다.
각주
1 集解韋昭曰:「後武王追封為呉伯, 故曰呉太伯.」 索隠国語曰「黄池之会, 晉定公使謂呉王夫差曰『夫命圭有命, 固曰呉伯, 不曰呉王』」, 是呉本伯爵也. 范甯解論語曰「太者, 善大之称;伯者, 長也. 周太王之元子故曰太伯」. 称仲雍、季歴, 皆以字配名, 則伯亦是字, 又是爵, 但其名史籍先闕耳. 正義呉, 国号也. 太伯居梅里, 在常州無錫県東南六十里. 至十九世孫寿夢居之, 号句呉. 寿夢卒, 諸樊南徙呉. 至二十一代孫光, 使子胥築闔閭城都之, 今蘇州也.
2 索隠伯、仲、季是兄弟次第之字. 若表徳之字, 意義與名相符, 則系本曰「呉孰哉居蕃離」, 宋忠曰「孰哉, 仲雍字. 蕃離, 今呉之余曁也」. 解者云雍是孰食, 故曰雍字孰哉也.
3 集解應劭曰:「常在水中, 故断其髪, 文其身, 以象竜子, 故不見傷害.」 正義江煕云:「太伯少弟季歴生文王昌, 有聖徳, 太伯知其必有天下, 故欲傳国於季歴. 以太王病, 託採薬於呉越, 不反. 太王薨而季歴立, 一譲也;季歴薨而文王立, 二譲也;文王薨而武王立, 遂有天下, 三譲也. 又釈云:太王病, 託採薬, 生不事之以礼, 一譲也;太王薨而不反, 使季歴主喪, 不葬之以礼, 二譲也;断髪文身, 示不可用, 使歴主祭祀, 不祭之以礼, 三譲也.」
4 集解宋忠曰:「句呉, 太伯始所居地名.」 索隠荊者, 楚之旧号, 以州而言之曰荊. 蛮者, 閩也. 南夷之名;蛮亦称越. 此言自号句呉, 呉名起於太伯, 明以前未有呉号. 地在楚越之界, 故称荊蛮. 顔師古注漢書, 以呉言「句」者, 夷語之発声, 猶言「於越」耳. 此言「号句呉」, 當如顔解. 而注引宋忠以為地名者, 系本居篇曰「孰哉居蕃離, 孰姑徙句呉」, 宋氏見史記有「太伯自号句呉」之文, 遂弥縫解彼云是太伯始所居地名. 裴氏引之, 恐非其義. 蕃離既有其地, 句呉何総不知真実? 呉人不聞別有城邑曾名句呉, 則系本之文或難依信. 呉地記曰:「泰伯居梅里, 在闔閭城北五十里許.」
5 集解皇覧曰:「太伯冢在呉県北梅里聚, 去城十里.」
6 索隠呉地記曰:「仲雍冢在呉郡常孰県西海虞山上, 與言偃冢並列.」
7 集解徐広曰:「在河東大陽県.」
8 索隠夏都安邑, 虞仲都大陽之虞城, 在安邑南, 故曰夏虚. 左傳曰「太伯、虞仲, 太王之昭」, 則虞仲是太王之子必也. 又論語称「虞仲、夷逸隠居放言」, 是仲雍称虞仲. 今周章之弟亦称虞仲者, 蓋周章之弟字仲, 始封於虞, 故曰虞仲. 則仲雍本字仲, 而為虞之始祖, 故後代亦称虞仲, 所以祖與孫同号也.
9 正義柯音歌. 相音相匠反.
10 正義橋音蹻驕反.
11 正義繇音遥, 又音由.
12 正義屈, 居勿反.
13 索隠譙周古史考云「柯転」.
14 索隠古史考作「頗夢」.
15 索隠古史考云「畢軫」.
16 索隠春秋経僖公五年「冬, 晉人執虞公」. 左氏二年傳曰「晉荀息請以屈産之乗與垂棘之璧仮道伐虢, 宮之奇諫, 不聴. 虞公許之, 且請先伐之, 遂伐虢, 滅下陽」. 五年傳曰「晉侯复仮道伐虢, 宮之奇諫, 不聴. 以其族行, 曰『虞不臘矣』. 八月甲午, 晉侯囲上陽. 冬十有二月, 滅虢. 師還, 遂襲虞滅之」也.
17 正義夢, 莫公反.
18 正義中国之虞滅後二世, 合七十一年, 至寿夢而興大, 称王.
19 索隠寿夢是仲雍十九代孫也.
20 索隠自寿夢已下始有其年, 春秋唯記卒年. 計二年當成七年也.
21 集解服虔曰:「行人, 掌国賓客之礼籍, 以待四方之使, 賓大客, 受小客之幣辞.」 索隠左傳魯成二年曰「巫臣使斉, 及鄭, 使介反幣, 而以夏姫行, 遂奔晉」. 七年傳曰「子重、子反殺巫臣之族而分其室, 巫臣遺二子書曰『余必使爾罷於奔命以死』. 巫臣使於呉, 呉子寿夢悦之, 乃通呉于晉, 教呉乗車, 教之戦陣, 教之叛楚, 寘其子狐庸焉, 使為行人. 呉始伐楚, 伐巣, 伐徐. 馬陵之会, 呉入州來, 子重、子反於是乎一歳七奔命」是.
22 集解杜預曰:「呉興烏程県南也.」 索隠春秋経襄三年「楚公子嬰斉帥師伐呉」, 左傳曰「楚子重伐呉, 為簡之師, 克鳩茲, 至于衡山」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