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國歷史와文學/史記世家

史記 卷四一. 越王句踐世家[無彊]

柳川 2019. 6. 23. 00:20

                               卷四一. 越王句踐世家[無彊]


 

王無彊時, 越興師北伐斉, 西伐楚, 與中国争彊. 當楚威王之時, 越北伐斉, 斉威王使人説越王曰:「越不伐楚, 大不王, 小不伯. 図越之所為不伐楚者, 為不得晉也. 韓、魏固不攻楚. 韓之攻楚, 覆其軍, 殺其将, 則葉、陽翟危;1)魏亦覆其軍, 殺其将, 則陳、上蔡不安.2) 故二晉之事越也,3) 不至於覆軍殺将, 馬汗之力不效.4) 所重於得晉者何也?」5)越王曰:「所求於晉者, 不至頓刃接兵, 而況于攻城囲邑乎?6) 願魏以聚大梁之下, 願斉之試兵南陽7)莒地, 以聚常、郯之境,8) 則方城之外不南,9) 淮、泗之閒不東, 商、於、析、酈、10)宗胡之地,11) 夏路以左,12) 不足以備秦, 江南、泗上不足以待越矣.13) 則斉、秦、韓、魏得志於楚也, 是二晉不戦分地, 不耕而穫之. 不此之為, 而頓刃於河山之閒以為斉秦用, 所待者如此其失計, 柰何其以此王也!」斉使者曰:「幸也越之不亡也! 吾不貴其用智之如目, 見豪毛而不見其睫也. 今王知晉之失計, 而不自知越之過, 是目論也.14) 王所待於晉者, 非有馬汗之力也, 又非可與合軍連和也, 将待之以分楚衆也. 今楚衆已分, 何待於晉?」越王曰:「柰何?」曰:「楚三大夫張九軍, 北囲曲沃、於中,15) 以至無仮之関者16)三千七百里,17) 景翠之軍北聚魯、斉、南陽, 分有大此者乎?18) 且王之所求者, 鬥晉楚也;晉楚不鬥, 越兵不起, 是知二五而不知十也. 此時不攻楚, 臣以是知越大不王, 小不伯. 复讎、龐、19)長沙,20) 楚之粟也;竟沢陵, 楚之材也. 越窺兵通無仮之関,21) 此四邑者不上貢事於郢矣.22) 臣聞之, 図王不王, 其敝可以伯. 然而不伯者, 王道失也. 故願大王之転攻楚也.」

 

무강이 왕으로 있을 때, 월나라는 군사를 일으켜 북쪽으로는 제나라를 공격하고, 서쪽으로는 초 나라를 치며, 중원의 각 제후들과 힘을 다투었다.

 

초 나라 위왕(威王) 때, 월나라가 북쪽으로 제나라를 치려 하자, 제나라 위왕(威王)은 사신을 보내 무강에게 권하기를 “월나라가 초 나라를 치지 않으면, 크게는 천하를 통일할 수 없고, 작게는 제후들의 맹주도 될 수 없습니다. 월나라가 초 나라를 치지 않는 이유를 생각해 보니, 한(韓)나라와 위(魏)나라의 도움을 얻지 못해서인 듯합니다. 한나라와 위나라는 본래부터 초 나라를 공격하지 않습니다. 한나라가 초 나라를 공격하면, 군대가 전멸하고 장수가 죽으며 섭(葉)과 양책(陽翟) 두 읍은 위험에 빠지게 됩니다. 위나라 역시 군대가 전멸하고 그 장수가 죽으며 진(陳)과 상채(上蔡) 두 읍이 불안에 떨게 됩니다.

 

따라서 한나라와 위나라가 월나라를 섬기는 이유는, 장수와 병사를 희생시키지 않기 위해서이지, 월나라를 위해 전공을 세우려고 하는 것은 아닙니다. 왜 한나라와 위나라의 협조를 중시하십니까?”라 했다. 월왕 무강은 말하기를 “내가 한나라와 위나라에 바라는 것은 나아가서 초 나라와 서로 베어 죽이면서 싸우는 것이 아닌데, 하물며 성을 공격하거나 읍을 포위하는 것을 기대하겠소? 원하는 것은 위나라 군대가 대량(大梁) 아래에 집결하고, 제나라 군사가 남양(南陽)과 거(莒) 땅에서 훈련을 해 상(常)과 담(郯) 두 읍 경계에 집결하는 것이오.

 

이렇게 하면 초 나라 군대는 방성산(方城山) 이북에서 남하하지 못하고, 회하와 사수 사이에서 동진하지 못하며, 상(商), 오(於), 석(析), 역(酈), 종호(宗胡) 읍 등의 땅과 초 나라의 서북부 일대에서 진(秦)나라를 방비하지 못하며, 강남(江南)과 사수(泗水) 유역에서 월나라를 대비하지 못하게 될 것이오. 그러하면 제(齊), 진(秦), 한(韓), 위(魏) 네 나라는 초 나라에서 자신들의 희망을 실현시킬 수 있소. 한과 위 두 나라는 싸우지 않고 땅을 가를 수 있고, 경작하지 않고서도 양식을 수확할 수 있게 되오. 이러하지 않으면 황하와 화산(華山) 사이에 군대를 배치해 제나라와 진나라를 경계하게 될 것이오. 한나라와 위나라가 이처럼 오산하고 있는데, 어찌 내가 이 방법을 사용해 천하를 얻을 수 있겠소?”라 했다.

 

제나라의 사신은 말하기를 “참 운 좋게도 아직까지 월나라가 망하지 않았군요! 저는 이 계략을 중하게 여길 수가 없습니다. 눈동자는 다른 곳의 미세한 솜털은 볼 수 있어도, 자신의 속눈썹은 보지 못하는 법입니다. 지금 왕께서 한과 위 나라의 오산은 아시면서도, 자신의 실수는 보지 못하시는 것이 방금 말한 눈동자와 같습니 다. 왕께서 이 두 나라에 바라는 것은 전공을 세우는 것도 아니요, 함께 연합해 동맹을 결성하는 것도 아니며, 다만 초 나라 병력을 분산시키는 것입니다. 지금 초 나라 병사는 이미 분산되어 있는데, 이 두 나라로부터 무엇을 바랄 것이 있다는 말씀입니까?”라 했다.

 

월왕 무강이 “어떻게 하면 좋겠소?”라고 묻자 그는 대답하기를 “지금 초 나라는 세 명의 대부가 모든 군대를 넓게 펼쳐놓았습니다. 북쪽을 향해서는 곡옥(曲沃), 오중(於中)을 포위해 곧장 무가관(無假關)에 이르니 3천 7백리 길이의 전선에 배치했고, 경취(景翠)의 군대는 북쪽의 노나라, 제나라 및 남양(南陽) 일대에 집결되어 있으니, 분산으로 말하자면 이보다 더 클 수 있겠습니까? 또한 왕께서 바라시는 바는 한나라와 위나라가, 초 나라와 싸우는 것입니다. 만약 이들이 싸우지 않으면 군대를 일으키지 않을 생각이시니, 이는 두 개의 5는 알고 10은 모르는 것입니다. 지금 이때 초 나라를 공격하지 않으시면, 신은 월나라가 크게는 왕 노릇을 할 수 없고 작게는 제후의 맹주 노릇도 할 수 없다고 생각하겠습니다.

 

또한 수(讎), 방(龐), 장사(長沙) 등은 초 나라의 곡창지대이며, 경택릉(竟澤陵)은 목재가 나는 곳입니다. 월나라가 군대를 내보내 무가관을 뚫으면, 이 네 읍은 초 나라에 물품을 보낼 수 없게 됩니다. 신이 듣건대, 천하의 왕이 되려다가 실패하면 제후들의 맹주라도 되는데, 왕도를 잃으면 제후의 맹주도 될 수 없다고 합니다. 원컨대 왕께서는 병사를 돌려 초 나라를 치시기 바랍니다.”라 했다.

 

於是越遂釈斉而伐楚. 楚威王興兵而伐之, 大敗越, 殺王無彊, 尽取故呉地至浙江, 北破斉於徐州.23) 而越以此散, 諸族子争立, 或為王, 或為君, 浜於江南海上,24) 服朝於楚.

 

그래서 월나라는 제나라를 놔두고, 초 나라를 치러 갔다. 초 나라 위왕은 출병해 월나라를 대패시키고, 월나라 왕 무강을 죽였으며, 절강(浙江)까지 이르는 옛날 오나라 땅을 다 취하고, 북쪽으로 나아가 서주(徐州)에서 제나라를 물리쳤다. 이에 월나라는 분산되어 일족형제들의 아들들이 서로 다투는데, 어떤 이는 왕이라 칭하고 또 어떤 이는 군(君)이 되어, 강남(江南) 연해 일대에 흩어져 초 나라에 조공을 바쳤다.

 

後七世, 至閩君揺, 佐諸侯平秦. 漢高帝复以揺為越王, 以奉越後. 東越, 閩君, 皆其後也.

 

그 후 일곱 세대가 지나, 민군(閩君) 요(搖)에 이르렀는데, 그는 제후를 도와 진(秦)나라의 전복을 꾀했다. 한(漢)나라 고제(高帝)는 요를 월왕(越王)으로 삼아 월나라의 뒤를 잇게 했다. 동월(東越)과 민군(閩君)은 모두 월나라의 후예인 것이다.

 

각주

1 正義葉, 式渉反, 今許州葉県. 陽翟, 河南陽翟県也. 二邑此時属韓, 與楚犬牙交境, 韓若伐楚, 恐二邑為楚所危.

2 正義陳, 今陳州也. 上蔡, 今予州上蔡県也. 二邑此時属魏, 與楚犬牙交境, 魏若伐楚, 恐二国為楚所危也.

3 正義言韓、魏與楚鄰, 今令越合於二晉而伐楚.

4 集解徐広曰:「效猶見也.」

5 正義従「不至」已下此是斉使者重難越王.

6 正義頓刃, 築営壘也. 接兵, 戦也. 越王言韓魏之事越, 猶不至頓刃接兵, 而況更有攻城囲邑, 韓、魏始服乎?言畏秦、斉而故事越也.

7 索隠此南陽在斉之南界, 莒之西.

8 索隠常, 邑名, 蓋田文所封邑. 郯, 故郯国. 二邑皆斉之南地.

9 正義方城山在許州葉県西南十八里. 外謂許州、予州等. 言魏兵在大梁之下, 楚方城之兵不得南伐越也.

10 索隠四邑並属南陽, 楚之西南也. 正義酈音擲. 括地志云:「商洛県則古商国城也. 荊州図副云『鄧州内郷県東七里於村, 即於中地也』.」括地志又云:「鄧州内郷県楚邑也. 故酈県在鄧州新城県西北三十里.」按:商、於、析、酈在商、鄧二州界, 県邑也.

11 集解徐広曰:「胡国, 今之汝陰.」 索隠宗胡, 邑名. 胡姓之宗, 因以名邑. 杜預云「汝陰県北有故胡城」是.

12 集解徐広曰:「蓋謂江夏之夏.」 索隠徐氏以為江夏, 非也. 劉氏云「楚適諸夏, 路出方城, 人向北行, 以西為左, 故云夏路以左」, 其意為得也. 正義括地志云:「故長城在鄧州内郷県東七十五里, 南入穣県, 北連翼望山, 無土之処累石為固. 楚襄王控霸南土, 争強中国, 多築列城於北方, 以適華夏, 号為方城.」按:此説劉氏為得, 云邑徒衆少, 不足備秦嶢、武二関之道也.

13 正義江南, 洪、饒等州, 春秋時為楚東境也. 泗上, 徐州, 春秋時楚北境也. 二境並與越鄰, 言不足當伐越.

14 索隠言越王知晉之失, 不自覚越之過, 猶人眼能見豪毛而自不見其睫, 故謂之「目論」也.

15 集解徐広曰:「一作『北面曲沃』.」 正義括地志云:「曲沃故城在陝県西三十二里. 於中在鄧州内郷県東七里.」爾時曲沃属魏, 於中属秦, 二地相近, 故楚囲之.

16 集解徐広曰:「無, 一作『西』.」

17 正義按:無仮之関當在江南長沙之西北也. 言従曲沃、於中西至漢中、巴、巫、黔中千余里, 皆備秦、晉也.

18 正義魯, 兗州也. 斉, 密州莒県邑南至泗上也. 南陽, 鄧州也, 時属韓也. 言楚又備此三国也, 分散有大此者乎?

19 集解徐広曰:「一作『寵』.」

20 索隠劉氏云「复者発語之声」, 非也. 言発語声者, 文勢然也, 則是脱「況」字耳. 讎當作「犨」, 犨, 邑名, 字訛耳. 則犨、龐、長沙是三邑也. 下云「竟沢陵」, 當為「竟陵沢」. 言竟陵之山沢出材木, 故楚有七沢, 蓋其一也. 合上文為四邑也. 正義复, 扶富反.

21 集解徐広曰:「無, 一作『西』.」

22 正義言今越北欲鬥晉楚, 南复讎敵楚之四邑, 龐、長沙、竟陵沢也. 龐、長沙出粟之地, 竟陵沢出材木之地, 此邑近長沙潭、衡之境, 越若窺兵西通無仮之関, 則四邑不得北上貢於楚之郢都矣. 戦国時永、郴、衡、潭、岳、鄂、江、洪、饒並是東南境, 属楚也. 袁、吉、虔、撫、歙、宣並越西境, 属越也.

23 集解徐広曰:「周顕王之四十六年.」 索隠按:紀年粵子無顓薨後十年, 楚伐徐州, 無楚敗越殺無彊之語, 是無彊為無顓之後, 紀年不得錄也.

24 正義今台州臨海県是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