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國歷史와文學/史記世家

史記 卷四二. 鄭世家[文公]

柳川 2019. 6. 23. 00:31

                                   卷四二. 鄭世家[文公]

 

 

文公十七年, 斉桓公以兵破蔡, 遂伐楚, 至召陵.

 

 

문공 17년, 제 환공이 군대를 이끌고 채(蔡)나라를 공격하고, 이어서 초(楚)나라로 침공해 소릉(召陵)에까지 이르렀다.

 

 

二十四年, 文公之賎妾曰燕姞,1) 夢天與之蘭,2) 曰:「余為伯鯈. 余, 爾祖也.3) 以是為而子,4) 蘭有国香.」以夢告文公, 文公幸之, 而予之草蘭為符. 遂生子, 名曰蘭.

 

 

24년, 문공의 천첩(賤妾) 연길(燕姞)이라는 여자의 꿈에, 천제(天帝)가 그녀에게 한 포기의 난초를 주면서 “나는 백조(伯鯈)이다. 나는 너의 조상이다. 이 난초를 너의 아들로 삼거라. 그 난초에는 매우 진한 향기가 있다.”라고 말했다.

 

 

연길은 이 꿈을 문공에게 이야기하자, 문공은 곧 그녀와 잠자리를 같이하고, 그녀에게 한 그루의 난초를 주어 증거로 삼게 했다. 그리하여 연길이 아들을 낳자, 이름을 희란(姬蘭)이라 했다.

 

 

三十六年, 晉公子重耳過, 文公弗礼. 文公弟叔詹曰:「重耳賢, 且又同姓, 窮而過君, 不可無礼.」文公曰:「諸侯亡公子過者多矣, 安能尽礼之!」詹曰:「君如弗礼, 遂殺之;弗殺, 使即反国, 為鄭憂矣.」文公弗聴.

 

 

36년, 진(晉)나라 공자 중이(重耳)가 정나라를 지나갔는데, 문공은 그를 예로써 대우하지 않았다. 문공의 동생 희숙첨(姬叔詹)이 “중이는 현명하고, 또 우리와 동성(同姓)이고 곤궁할 때 이곳을 지나다 국왕을 방문했는데 무례해서는 안 됩니다.”라고 말하자, 문공이 “각 제후국의 왕자가 도망가다 이곳을 지나가는 일은 흔한 것인데, 내가 어찌 그들을 모두 예로써 대우하겠소?”라 했다.

 

 

또 숙첨이 “왕께서 만약 예로써 대접하지 않으려면, 곧 그를 죽이십시오. 죽이지 않고 만약 그가 진(晉)나라로 돌아간다면 장차 정나라의 재앙이 될 것입니다.”라 했다. 문공은 이를 듣지 않았다.

 

 

三十七年春, 晉公子重耳反国, 立, 是為文公. 秋, 鄭入滑, 滑聴命, 已而反與衛, 於是鄭伐滑.5) 周襄王使伯■6)請滑. 鄭文公怨恵王之亡在櫟, 而文公父厲公入之, 而恵王不賜厲公爵祿,7) 又怨襄王之與衛滑, 故不聴襄王請而囚伯■. 王怒, 與翟人伐鄭, 弗克. 冬, 翟攻伐襄王, 襄王出奔鄭, 鄭文公居王于氾. 三十八年, 晉文公入襄王成周.

 

 

37년 봄, 진(晉)나라 공자 중이가 진나라로 되돌아가 왕위에 오르니, 곧 진 문공(晉文公)이다. 가을에 정나라가 활(滑)나라를 공격하자, 활 나라가 항복을 표시했다. 오래지 않아 활나라가 정나라를 배반하고 위(衛)나라를 따르자 정나라는 또 활 나라를 공격했다. 주 양왕(周襄王)이 백복(伯犕)을 정나라에 파견해 활 나라와 화해할 것을 요청했다.

 

 

정 문공은 주 혜왕이 역읍에 도망가 있는 것을 그의 아버지 여공이 조정에까지 호송해 다시 왕위에 오르게 했음에도 혜왕이 여공에게 작위나 봉록을 주지 않은 것과, 양왕이 위나라와 활 나라를 도운 데 대해서 원한을 가지고 있었다. 그래서 문공은 주 양왕의 요청을 따르지 않고 백복을 가두어버렸다. 주 양왕은 화가 나서 적인(翟人)과 함께 정나라를 공격했으나 정벌하지 못했다. 겨울에 적인(翟人)은 또 주 양왕을 공격했다. 양왕이 정나라로 도주하자, 정 문공은 양왕을 범읍(氾邑)에 머무르게 했다.

 

 

38년, 진 문공(晉文公)이 주 양왕을 성주(成周)로 돌려보냈다.

 

 

四十一年, 助楚撃晉. 自晉文公之過無礼, 故背晉助楚. 四十三年, 晉文公與秦穆公共囲鄭, 討其助楚攻晉者, 及文公過時之無礼也. 初, 鄭文公有三夫人, 寵子五人, 皆以罪蚤死. 公怒, 漑8)逐群公子. 子蘭奔晉, 従晉文公囲鄭. 時蘭事晉文公甚謹, 愛幸之, 乃私於晉, 以求入鄭為太子. 晉於是欲得叔詹為僇. 鄭文公恐, 不敢謂叔詹言. 詹聞, 言於鄭君曰:「臣謂君, 君不聴臣, 晉卒為患. 然晉所以囲鄭, 以詹, 詹死而赦鄭国, 詹之願也.」乃自殺. 鄭人以詹尸與晉. 晉文公曰:「必欲一見鄭君, 辱之而去.」鄭人患之, 乃使人私於秦曰:「破鄭益晉, 非秦之利也.」秦兵罷. 晉文公欲入蘭為太子, 以告鄭. 鄭大夫石癸曰:「吾聞姞姓乃后稷之元妃,9) 其後當有興者. 子蘭母, 其後也. 且夫人子尽已死, 余庶子無如蘭賢. 今囲急, 晉以為請, 利孰大焉!」遂許晉, 與盟, 而卒立子蘭為太子, 晉兵乃罷去.

 

 

41년, 정나라는 초 나라를 도와 진(晉)나라를 공격했다. 옛날 진 문공이 정나라를 지나갈 때에도 예로써 대우하지 않았다. 그래서 정나라는 진(晉)나라를 배반하고 초 나라를 도왔던 것이다.

 

 

43년, 진 문공(晉文公)과 진 목공(秦穆公)이 공동으로 정나라를 포위해, 정나라가 초 나라를 도와 진나라를 공격한 데 대해서 징벌하고, 진(晉) 문공이 정나라를 지나갈 때의 무례한 행위에 대해서 응징했다.

 

 

일찍이 정 문공에게는 3명의 부인이 있었고, 5명의 총애하는 아들이 있었는데, 그들은 모두 죄를 지어 일찍 죽었다. 정 문공이 노하여 여러 왕자들을 모두 추방했다. 왕자 난(蘭)은 진(晉)나라로 도망했는데, 진(晉) 문공이 정나라를 포위할 때 함께 종군했다. 당시 왕자 난은 진(晉) 문공을 섬기면서 그를 매우 공경했고, 진 문공도 그를 매우 좋아했다. 그러던 중 왕자 난은 진나라에서 정나라로 되돌아가 태자가 되려고 비밀리에 활동했다.

 

 

진(晉)나라는 일찍이 숙첨(叔詹)이 진 문공을 살해할 것을 주장했기에 그를 체포해 살해하려고 했다. 정 문공은 두려워해 감히 숙첨에게 말하지 못했다. 숙첨이 듣고서 정 문공에게 “제가 일찍이 왕께 권고했으나, 왕께서는 제 말을 듣지 않으셨습니다. 진나라는 드디어 정나라의 재앙이 되었습니다. 그러나 진나라가 정나라를 포위한 원인은 저에게 있으므로, 제가 죽으면 정나라는 포위에서 풀려날 것이니 제가 그렇게 하겠습니다.”라고 말하고 곧 자살했다. 정나라 사람이 숙첨의 시체를 진(晉)나라에 보냈다. 진 문공이 “반드시 정나라 왕을 한번 보고, 그를 한번 욕보여야만 되돌아가겠다.”라고 말했다.

 

 

정나라 사람들은 이 일에 대해서 골머리를 앓다가, 곧 사람을 보내 몰래 진(秦)나라에게 “정나라가 무너지면 진(晉)나라가 강대해질 것인데, 이것은 진(秦)나라의 이익에 도움이 되지 못합니다.”라고 말하자, 진(秦)나라의 군대는 후퇴해버렸다. 진 문공은 왕자 난을 되돌려 보내 태자로 삼으려고 이 일을 정나라에 알리자, 정나라의 대부 석규(石癸)가 “길씨(姞氏) 성의 딸은 후직(后稷)의 원비(元妃)이고, 그녀의 후손은 반드시 흥성한다고 들었습니다. 왕자 난의 모친은 길씨 성의 후손입니다. 하물며 부인의 아들들은 모두 죽고 없으며, 그 나머지 서자(庶子) 중에서도 난처럼 현능한 사람이 없습니다. 지금 진(晉)나라의 포위는 견고하고, 진나라는 계속 왕자 난을 태자로 삼을 것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이것보다 더 이상 좋은 조건은 없습니다.”라 했다.

 

 

드디어 정나라가 진(晉)나라의 요구를 허락하고, 진나라와 동맹을 맺고 왕자 난을 태자에 앉히자, 진나라의 군대는 비로소 철수했다.

 

 

四十五年, 文公卒, 子蘭立, 是為繆公.

 

 

45년, 정 문공이 세상을 떠나자 왕자 난이 왕위를 계승하니, 그가 목공(繆公)이다.

 

 

각주

1 集解賈逵曰:「姞, 南燕姓.」

2 集解賈逵曰:「香草也.」

3 集解賈逵曰:「伯鯈, 南燕祖.」

4 集解王粛曰:「以是蘭也為汝子之名.」

5 索隠僖二十四年左傳「鄭公子士泄、堵兪弥帥師伐滑」.

6 索隠音服. 左傳「王使伯服、游孫伯如鄭請滑」. 杜預云「二子周大夫」. 知伯■即伯服也.

7 索隠此言爵祿, 與左氏説異. 左傳云「鄭伯享王, 王以后之鞶鑑與之. 虢公請器, 王予之爵」. 則爵酒器, 是太史公與丘明説別也.

8 集解徐広曰:「一作『瑕』.」 索隠音蔇. 左傳作「瑕」.

9 集解杜預曰:「姞姓之女, 為后稷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