憲問。第36章. 以德報怨 何如 ~ 第40章. 賢者辟世,
第36章
或曰, 「以德報怨 何如?」 子曰, 「何以報德? 以直報怨, 以德報德。」
어떤 사람이 말하였다.
“덕(德)으로 원한을 갚는 것은 어떻습니까?”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그러면 덕은 무엇으로 갚는단 말이냐. 공정한 방도로 원한을 갚고 은덕으로 은덕을 갚는 것이다.”
○或人所稱 今見老子書. 德 謂恩惠也.
○혹인이 일컬은 바는 지금 노자 글에 나타나니라. 덕은 은혜를 이름이라.
☞老子 第63. 恩始 ②大小多少, 報怨以德。
큰 것은 작은 것에서 비롯하고 많은 것은 적음에서 비롯한다. (또는, 작은 것에서 큰 것을 보고 적은 것 속에서 많은 것을 본다.)
성인은 남들이 원망을 해도 덕으로써 교화시켜준다. 덕으로써 원한에 보답한다.
子曰, 「何以報德? 以直報怨, 以德報德.」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그러면 덕은 무엇으로 갚는단 말이냐. 공정한 방도로 원한을 갚고 은덕으로 은덕을 갚는 것이다.”
○言於其所怨 旣以德報之矣 則人之有德於我者, 又將何以報之乎!
○於其所怨者 愛憎取舍 一以至公 而無私所謂直也, 於其所德者 則必以德報之 不可忘也.
○或人之言 可謂厚矣. 然 以聖人之言觀之 則見其出於有意之私, 而怨德之報 皆不得其平也. 必如夫子之言然後, 二者之報 各得其所. 然 怨有不讎, 而德無不報, 則又未嘗不厚也. 此章之言 明白簡約 而其指意曲折反覆 如造化之簡易, 易知而微妙無窮, 學者所以詳玩也.
○말하건대 그 원망하는 바에 이미 덕으로써 갚으면, 남이 나에게 덕이 있음에(덕을 베풂에) 또한 장차 무엇으로써 갚으랴.
○그 원망하는 바에 사랑하고 미워하고 취하고 버리는 것을 한결같이 지극히 공변됨으로써 하고 사사로움이 없는 것은 이른바 곧음이고, 그 덕이 되는 바에 반드시 덕으로써 갚는 것은 가히 잊지 아니함이라.
○혹인의 말이 가히 후하다고 이르나 그러나 성인의 말로써 보면 그 뜻이 사사로움이 있는 데에서 나온 것이고 원망하고 덕됨의 갚음이 다 그 평평함을 얻지 못함이라. 반드시 공자의 말씀과 같이 한 연후에 두 가지의 갚음이 각각 그 곳을 얻느니라. 그러나 원망은 원수로 여기지 않음이 있고 덕은 갚지 않음이 없으니 곧 또한 일찍이 두텁지 않음이 없느니라. 이 장의 말씀이 명백하고 간략하여 그 가리키는 뜻이 곡절반복(이리 굽고 저리 끊고 이리 엎치고 저리 젖힘)함이 조화의 간이함과 같음에 알기가 쉽고 은미하고 묘함이 무궁하니 배우는 자 마땅히 써 상세히 구경해야 할 바니라.
第37章
子曰, 「莫我知也夫。」子貢曰, 「何爲其莫知子也?」 子曰, 「不怨天, 不尤人, 下學而上達, 知我者其天乎。」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나를 알아주는 이가 없구나.”
자공이 물었다.
“어찌하여 선생님을 알아주는 이가 없다 하십니까?”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하늘을 원망하지 않고 사람을 탓하지 않으면서, 아래로 사람이 할 일을 배우고 위로 천리에 통하니, 나를 알아주는 이는 하늘일 것이다.”
○夫子自歎, 以發子貢之問也.
○공자가 스스로 탄식하여 써 자공의 물음을 유발하게 하시니라.
子貢曰, 「何爲其莫知子也?」 子曰, 「不怨天, 不尤人, 下學而上達, 知我者其天乎。」
자공이 물었다.
“어찌하여 선생님을 알아주는 이가 없다 하십니까?”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하늘을 원망하지 않고 사람을 탓하지 않으면서, 아래로 사람이 할 일을 배우고 위로 천리에 통하니, 나를 알아주는 이는 하늘일 것이다.”
○不得於天而不怨天, 不合於人而不尤人. 但知下學而自然上達, 此 但自言其反己自修, 循序漸進耳, 無以甚異於人而致其知也. 然 深味其語意, 則見其中自有人不及知, 而天獨知之之妙. 蓋在孔門, 唯子貢之智幾足以及此. 故 特語以發之, 惜乎 其猶有所未達也.
○程子曰, 不怨天, 不尤人 在理當如此. 又曰下學上達, 意在言表. 又曰, 學者須守下學上達之語, 乃學之要. 蓋凡下學人事 便是上達天理. 然 習而不察 則亦不能以上達矣.
○하늘에 얻지 못해도 하늘을 원망하지 아니하고 사람에 합하지 아니해도 사람을 허물하지 아니하고 다만 아래에서 배우고 자연히 위로 통함을 아느니 이는 다만 스스로 그 자기 몸을 돌이키고 스스로 닦아서 순서대로 점점 나아가고, 써 남과 심히 달라 그 앎을 이룸이 없음을 말함이라. 그러나 그 말뜻을 깊이 완미하면 그 가운데에 자연히 사람이 미처 알지 못함이 있고 하늘이 홀로 아는 묘함이 있음을 볼 수 있음이라. 대개 공자의 문인에 오직 자공의 지혜만이 거의 족히 써 이에 미치니라. 그러므로 특별히 말씀하여 써 계발하셨으나 슬프다, 그 오히려 미달한 바가 있음이여.
○정자 가라사대 불원천, 불우인은 이치가 마땅히 이와 같아야 하니라. 또 가라사대 하학상달은 뜻이 말 거죽에 있느니라(말 속에 숨었느니라). 또 가라사대 배우는 자가 모름지기 하학상달의 말을 지켜야만이 이에 배움의 요점이니라. 대개 무릇 아래에서 인사를 배움은 문득 위로 천리에 달하니라. 그러나 익히기만 하고 살피지 아니하면 또한 능히 써 상달하지 못하니라.
[해설]
“어찌하여 그리도 선생님을 알아주는 이가 없는 것입니까.”라는 구절에서 ‘기(其)’ 자는 의아하게 여기는 표현으로, ‘어찌하여’의 뜻을 강조한 말이다. 만약 원망하거나 탓하는 마음이 있다면 틀림없이 알려지기를 원해 세상에 자신의 재능을 보이려고 할 것이다. 원망하거나 탓함이 없기에 하늘이나 다른 사람에게 그대로 맡기고 자기에게 달려 있는 것을 극진히 할 뿐이다.
‘아래로는 인간의 일을 배우면서 위로는 천리에 통달한다.〔下學上達〕’라는 구절은 자기에게 달려 있는 일이니, 위로 천리에 통달한다면 하늘과 더불어 하나가 될 것이다. 남과 합하지 않기 때문에 남이 알아주지 않는다. 하늘과 더불어 하나가 되면 하늘이 알아줄 것이니, 하늘이 나를 알아준다면 또 무슨 원망이나 탓함이 있겠는가. 배우는 자가 이런 의미를 안다면 도(道)에 들어갈 수 있을 것이다. <讀書箚義>
第38章
公伯寮愬子路於季孫, 子服景伯以告曰, 「夫子固有惑志於公伯寮, 吾力猶能肆諸市朝。」 子曰, 「道之將行也與 命也, 道之將廢也與 命也, 公伯寮其如命何?」
공백료가 자로를 계손에게 참소하니 자복경복이 그 일을 공자께 고하였다.
“대부 계손이 진실로 공백료에게 혹하여 마음을 빼앗긴 상태입니다. 그러나 제 힘으로도 공백료를 죽여 그 시신을 저자에 늘어 놓을 수 있습니다.”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장차 도가 행해진다 해도 천명이고, 도가 행해지지 않는다 해도 천명이다. 공백료가 그 천명을 어떻게 하겠는가.”
寮 : 벼슬아치 료. 벼슬아치. 동료. 집. 창문.
○公伯寮 魯人. 子服 氏, 景 諡, 伯 字, 魯大夫子服何也. 夫子 指季孫. 言其有疑於寮之言也. 肆 陳尸也, 言欲誅寮.
○공백료는 노나라 사람이라. 자복은 성이고, 경은 시호요, 백은 자니 노나라 대부 자복하라. 부자는 계손을 가리킴이라. 그 공백료의 말에 의심을 둠을 말함이라. 사는 시체를 늘어놓음이니 공백료를 베고자 함을 말함이니라.
子曰, 「道之將行也與 命也, 道之將廢也與 命也, 公伯寮其如命何?」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장차 도가 행해진다 해도 천명이고, 도가 행해지지 않는다 해도 천명이다. 공백료가 그 천명을 어떻게 하겠는가.”
[해설]
자로를 참소하는 것은 나를 참소하는 것이오, 그러면 우리 도를 막는 것과 한가지라. 그러나 자로가 참소를 당하거나 당하지 않거나 우리 도가 행해지거나 행해지지 못하거나 다 운명이다. 도가 장차 행하게 되는 것도 천명이며, 도가 장차 폐하는 것도 천명이니, 공백료가 이러쿵저러쿵한다고 자로가 다치거나 할 일은 없을 것이다. 그것은 다 천명의 일이니라.
○謝氏曰, 雖寮之愬行 亦命也, 其實寮無如之何. 愚 謂言此以曉景伯安子路, 而警伯寮耳. 聖人於利害之際 則不待決於命而後 泰然也.
○사씨 가로대 비록 공백료의 참소가 행해지나 또한 명이니 그 실은 공백료가 어찌하지 못하니라. 우는 이르되 이 말씀을 하셔서 경백을 깨우쳐주고, 자로를 편히 해주고, 공백료를 일깨워줌(경계함)이라. 성인이 이롭고 해로운 즈음에 명의 결단함을 기다리지 않은 연후에(참소대로 행해지건 행해지지 않건 간에) 태연하심이라.
第39章
子曰, 「賢者辟世, 其次辟地, 其次辟色, 其次辟言。」 子曰, 「作者七人矣。」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현자는 무도한 세상을 피해 은둔하고, 그 다음은 혼란한 나라를 피해 떠나고, 그 다음은 군주의 기색을 보고 떠나고, 그 다음은 군주의 말을 들어보고 떠난다.”
○天下無道而隱, 若伯夷太公 是也.
○천하가 무도하여 숨으니 백이와 태공 같은 이가 이 분들이라.
其次辟地,
그 다음은 혼란한 나라를 피해 떠나고,
○去亂國, 適治邦.
○어지러운 나라를 버리고 다스려지는 나라로 감이라(백리해가 虞나라를 떠나 秦나라로 간 경우).
其次辟色,
그 다음은 군주의 기색을 보고 떠나고,
○禮貌衰而去라
○(인군의) 예모가 쇠하면 떠나가니라(위령공이 예모가 없는데다 얼굴빛이 없어 공자가 떠나신 경우)
其次辟言.
그 다음은 군주의 말을 들어보고 떠난다.
○有違言而後去也.
○程子曰, 四者雖以大小次第言之. 然 非有優劣也. 所遇不同耳.
○말이 어긋남이 있은 뒤에 떠나가니라(衛靈公이 陳法을 묻자 공자가 떠나가신 경우).
○정자 가라사대 네 가지(辟世 辟地 辟色 辟言)가 비록 크고 작은 차례로써 말했으나 그러나 우열이 있음이 아니고 만나는 바가 같지 않을 뿐이라.
第40章
子曰, 「作者七人矣。」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혼란한 세상을 피해 은거한 자가 일곱이었다.”
○李氏曰, 作起也, 言起而隱去者. 今七人矣 不可知其誰何, 必求其人以實之則鑿矣.
○이씨 가로대 작은 일어남이니 일어나서 은거한 자를 말함이라. 지금 칠인은 가히 그 누구인지는 알지 못하나 반드시 그 사람을 구하여 써 실제를 구한다면 파고드는 것이라(너무 융통성이 없음이라, 곧 칠인이 되건 오인이 되건 이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고 위의 네 가지의 뜻의 중요함에 초점을 맞춰 공부해야 하니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