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庸. 第二十二章
第二十二章
唯天下至誠, 爲能盡其性, 能盡其性則能盡人之性, 能盡人之性則能盡物之性, 能盡物之性則可以贊天地之化育, 可以贊天地之化育, 則可以與天地參矣。
오직 천하에 지극히 정성스러운 자만이 그 본성을 모두 체현(體現)할 수 있다. 자신의 본성을 체현할 수 있으면 남의 본성을 체현하게 할 수 있고, 남의 본성을 체현하게 할 수 있으면 만물의 본성을 체현하게 할 수 있고, 만물의 본성을 체현하게 할 수 있으면 천지 만물의 화육(化育)을 도울 수 있고, 천지 만물의 화육을 도울 수 있으면 천지(天地)와 함께 삼재(三才)의 하나로 참여할 수 있게 된다.
[해설]
지극한 정성을 가진 성인의 덕을 말하고 있다. 성인에 대해 『주역』 건괘 문언전 마지막 제6절에서 “나아가고 물러남과 존하고 망함을 알아서 그 바름을 잃지 않는 자, 그 오직 성인이실 뿐인저!(知進退存亡而不失其正者 其唯聖人乎!)”라 하였으며, 이보다 앞서 언급한 ‘大人’의 경지이다. 그 내용을 보면 다음과 같다.
夫大人者與天地合其德, 與日月合其明, 與四時合其序, 與鬼神合其吉凶, 先天而天弗違, 後天而奉天時, 天且弗違, 而況於人乎! 況於鬼神乎!
무릇 대인은 천지와 더불어 그 덕을 합하며, 일월과 더불어 그 밝음을 합하며, 사시와 더불어 그 차례를 합하며, 귀신과 더불어 그 길흉을 합하여, 하늘보다 먼저 해도 하늘이 어기지 아니하며, 하늘보다 뒤에 해도 하늘의 때를 받드나니, 하늘도 또한 어기지 아니하는데, 하물며 사람이며 하물며 귀신이랴!
성인의 덕이 이러하기에 천하의 이치를 얻음에 자리가 하늘과 땅의 그 가운데서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天下之理得 而成位乎其中矣. - 『주역』 계사상전 제1장). 또한 ‘석 三’ ‘임금 王’, ‘사람 人’, 중천건괘의 모양 등은 모두가 『천부경』에서 말하는 ‘人中天地一’로서 지극한 정성을 가진 사람 곧 대인이나 성인이라면 가히 천지와 더불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성인의 대표적인 예가 바로 복희씨(伏犧氏)이다.
『주역』계사하전 제2장을 보면, "古者包犧氏之王天下也, 仰則觀象於天, 俯則觀法於地, 觀鳥獸之文與地之宜, 近取諸身, 遠取諸物, 於是始作八卦, 以通神明之德, 以類萬物之情,
(옛적 포희씨가 천하에 왕이 되었을 때에 우러러서는 하늘의 형상을 보고 구부려서는 땅의 법을 보며 새와 짐승의 무늬와 땅의 마땅함을 보며 가까이로는 저 몸에서 취하고 멀리로는 저 물건에서 취하여 이에 비로소 팔괘를 지음으로써 신명의 덕을 통하여 만물의 실정을 같이하니)”에서 성인의 지극한 공덕을 엿볼 수 있다.
또한 설괘전 제1장에서는 “昔者聖人之作易也, 幽贊於神明 而生蓍, 參天兩地而倚數, 觀變於陰陽而立卦, 發揮於剛柔而生爻, 和順於道德 而理於義, 窮理盡性 以至於命.
(옛적 성인이 역을 지을 때 그윽히 보이지 않는 데서 신명을 도와 시초를 내고 하늘은 셋으로 땅은 둘로 해서 수를 의지하고 음양의 변함을 보아서 괘를 세우고, 강유를 발휘해서 효를 내니, 도덕에 화순하고 의리를 다스리며, 이치를 궁구하고 성품을 다함으로써 명에 이르느니라)” 하였다.
위 본문의 마지막 문장인 ‘與天地參矣’에서 ‘參’을 ‘석 삼’으로 읽고 ‘천지와 더불어 셋을 이루니라’고 하거나, ‘참여할 참’으로 읽고 ‘천지와 더불어 참여하게 되니라’고 해석해도 두루 뜻이 통한다. 천지인 三才의 의미를 나타내는 글이다.
○天下至誠 謂聖人之德之實, 天下 莫能加也. 盡其性者德無不實. 故 無人欲之私 而天命之在我者 察之由之, 巨細精粗 無毫髮之不盡也. 人物之性 亦我之性, 但以所賦形氣不同, 而有異耳. 能盡之者 謂知之無不明 而處之無不當也. 贊 猶助也. 與天地參 謂與天地 並立而爲三也. 此 自誠而明者之事也.
○천하지성은 성인의 덕의 실함이니 천하가 능히 더할 것이 없음을 이르느니라. 그 성품을 다하는 자는 덕이 실하지 않음이 없느니라. 그러므로 사람 욕심의 사사로움이 없고 천명이 내게 있는 것을 살피고 말미암아서 크고 가늘고 정하고 거칠음이 터럭끝만큼이라도 다하지 않음이 없느니라. 사람이나 물건의 성품은 또한 나의 성품이로되 다만 (하늘이) 부여해준 형체와 기질이 같지 않음으로 다름이 있느니라. 능히 (성품을) 다하는 자는 아는 것이 밝지 않음이 없고 처함이 합당하지 않음이 없느니라. 찬은 ‘도울 조’와 같으니라. 천지와 더불어 셋이라는 것은 천지와 더불어 나란히 서서 셋이 됨을 이르니라. 이는 정성으로 말미암아 밝아지는 자의 일이라.
○言天道也.
○천도를 말함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