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庸. 第三十三章
第三十三章
詩曰, 「衣錦尙絅。」惡其文之著也。故君子之道闇然而日章, 小人之道的然而日亡, 君子之道淡而不厭, 簡而文, 溫而理, 知遠之近, 知風之自, 知微之顯, 可與入德矣。
詩云, 「潛雖伏矣, 亦孔之昭。」 故 君子內省不疚, 無惡於志, 君子之所不可及者, 其惟人之所不見乎 !
詩云, 「相在爾室, 尙不愧于屋漏。」 故君子不動而敬, 不言而信。
詩曰, 「奏假無言, 時靡有爭。」 是故 君子不賞而民勸, 不怒而民威於鈇鉞。
詩曰, 「不顯惟德, 百辟其刑之。」 是故 君子篤恭而天下平。
詩云, 「予懷明德, 不大聲以色。」 子曰, 「聲色之於以化民末也。」 詩云, 「德輶如毛。」 毛猶有倫, 上天之載無聲無臭 至矣。
시에, “비단옷을 입고 그 위에 홑옷을 덧입는다.” 하였는데, 이것은 그 문채가 드러남을 싫어해서이다. 그러므로 군자의 도(道)는 은은하지만 날로 드러나고, 소인의 도는 선명하지만 날로 없어진다. 군자의 도는 담담하지만 싫증나지 않으며, 간략하지만 문채가 나며 온화하지만 조리가 있다. 먼 것은 가까운 곳에서 시작됨을 알며, 바람은 비롯된 불어오는 곳이 있음을 알며, 은미한 것은 드러남을 안다면 함께 덕(德)에 들어갈 수 있을 것이다.
시에, “물에 잠수하여 엎드려 있지만, 또한 매우 밝게 드러난다.” 하였다. 그러므로 군자는 안으로 살펴보아 잘못이 없어야 마음에 부끄러움이 없으니, 군자에게 미칠 수 없는 점은 사람들이 보지 않는 곳에 있는 것이다.
시에, “네가 집안에 있을 때를 살펴보니, 오히려 방 귀퉁이에도 부끄럽지 않다.” 하였다. 그러므로 군자는 동하지 않을 때에도 공경하며, 말하지 않을 때에도 믿는 것이다.
시에, “신명(神明)의 앞에 나아가 감격할 때에, 말이 없어도 이에 다투는 이가 없다.” 하였다. 그러므로 군자는 상을 주지 않아도 백성들이 권면하며, 화내지 않아도 백성들이 작두와 도끼보다 더 두려워하는 것이다.
시에, “덕이 드러나지 않아도 모든 제후(諸侯)가 본받는다.” 하였다. 그러므로 군자가 공손함을 돈독히 함에 천하가 화평해지는 것이다.
시에, “나의 밝은 덕(德)이 음성과 얼굴빛을 대단찮게 여김을 생각한다.” 하였는데, 공자께서 말씀하기를 “음성과 얼굴빛은 백성을 교화시키는 데 있어 보잘것 없는 것이다.” 라고 하였다.
또, 시에, “덕(德)은 가볍기가 터럭과 같다.” 하였는데, 터럭도 오히려 비교할 만한 것이 있으니, “상천(上天)의 일은 소리도 없고 냄새도 없다.”라고 한 것이야말로 지극하다고 할 것이다.
[해설]
『시경』에 나오는 衣錦尙絅이란 말은 비단옷을 입었다고 으스대며 자랑하는 것이 아니라 덧옷을 입어 그 비단옷의 화려함을 가렸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화려함이 겉으로 드러나는 것을 싫어해 가렸다는 것인데 여기서 비단옷이라 함은 많이 알고 아름다운 것을 많이 품은 군자를 말하고 덧옷은 겸양을 뜻한다. 보통 사람들이라면 조금만 알아도 그것을 확대해 남들에게 자랑하려고 야단이지만 군자는 자신을 낮추는 겸손함을 갖추고 있어 오히려 감추려고 애쓴다는 말이다.
『주역』地火明夷괘 大象傳에 “밝음이 땅 가운데 들어감이 ‘명이’니, 군자가 이로써 무리에 다다름에 그믐을 써서 밝히느니라(象曰 明入地中明夷, 君子以莅衆, 用晦而明.)”라 하였다.
군자의 도란 겉으로는 어두운 그믐인 체하면서 세상을 밝힌다는 것이다. 그믐이 다하면 초승달에서 보름달로 훤히 밝아지듯, 군자의 도는 어두우면서 날로 자연히 빛난다는 뜻이다. 하지만 소인의 도는 겉으로 굉장히 밝은 것 같지만 그 밝은 것이 날로 없어지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군자의 도는 담백한 물과 같이 아무리 마셔도 싫지 아니하며, 간략하지만 자연스럽게 아름다운 무늬가 나오고, 늘 온화하면서도 조리가 있어 잘 다스리고, 먼 곳이 가까운 데서부터 시작됨을 알고, 바람이 어느 곳에서부터 불기 시작했는지 다시 말해 무슨 사건이 일어나면 그 사건이 어디에서부터 비롯되었는지도 알며, 은미하게 시작하여 후에 훤히 드러나는 것까지 알게 된다. 이런 정도가 되면 가히 덕에 들어갈 수 있는 것이다.
詩經/國風/衛風/碩人
碩人其頎、 衣錦褧衣。 훌륭하신 님 풍채가 헌걸차고 비단옷에 홑옷을 걸치셨네.
齊侯之子、 衛侯之妻、 제나라 제후의 자식이요, 위나라 제후의 부인이며
東宮之妹、 邢侯之姨、 (齊)동궁의 누이이고 형나라 제후의 이모요
譚公維私。 담나라 제후가 형부로다.
詩經/國風/鄭風/丰
衣錦褧衣、裳錦褧裳。 비단옷에 홑옷을 걸치고, 비단치마에 홑치마를 입었다네.
叔兮伯兮、駕予與行。 숙이여, 백이여. 나를 수레에 태우고 함께 가소서.
裳錦褧裳、衣錦褧衣。 비단치마에 홑치마를 입고, 비단옷에 홑옷을 걸쳤으니
叔兮伯兮、駕予與歸。 숙이여, 백이여. 나를 수레에 태우고 함께 돌아가소서.
○前章 言聖人之德極其盛矣, 此 復自下學立心之始, 言之而下文又推之, 以至其極也. 詩 國風 衛碩人, 鄭之丰 皆作衣錦褧衣, 褧 絅同, 襌衣也. 尙 加也. 古之學者爲己. 故 其立心如此. 尙絅故闇然, 衣錦故有日章之實, 淡簡溫 絅之襲於外也, 不厭而文且理焉, 錦之美在中也. 小人反是, 則暴於外而無實以繼之, 是以的然而日亡也. 遠之近, 見於被者由於此也, 風之自, 著乎外者本乎內也, 微之顯, 有諸內者形諸外也. 有爲己之心, 而又知此三者, 則知所謹而可入德矣. 故 下文引詩, 言謹獨之事.
○앞장(제32장)에서는 성인의 덕이 그 성함을 다함을 말하고 여기서는 다시 아래에서 배우는 이가 마음을 세우는 시작부터 말하였으며 아랫글에 또 이것을 미루어서 써 그 지극함에 이르게 한 것이라. 시는 「국풍」의 ‘위풍 석인편’과 ‘정풍 봉편’에 모두 ‘의금경의’로 되어 있으니 ‘褧’은 ‘絅’으로 같으니, 홑옷이라. ‘尙’은 더함이라. 옛날의 학자들은 자기를 위함이라. 그러므로 그 마음을 세움이 이와 같으니라. 홑옷을 덧입었기 때문에 어두움이오, 비단옷을 입었기 때문에 날로 빛나는 실제가 있느니라. 담담하고 간략하고 온화함은 홑옷이 밖에서 껴입어짐이오. 싫지 않고 무늬가 나며 또 조리가 있음은 비단의 아름다움이 속에 있음이라. 소인은 이와 반대로 하니 밖에 드러나되 실제로써 이어짐이 없으니, 이로써 밝되 날로 없어짐이라. ‘원지근’은 저기에 나타남이 여기에서 말미암은 것이요, ‘풍지자’는 밖에 나타난 것이니 안에 근본함이요, ‘미지현’은 저 안에 있는 것이 저 밖으로 형체가 됨이라. 자기를 위하는 마음이 있고 또 이 세 가지(遠之近, 風之自, 微之顯)를 알면 삼갈 바를 알아 가히 덕에 들어갈 수 있느니라. 그러므로 아랫 글에 『시경』을 인용하여 홀로를 삼가는(謹獨) 일을 말하였느니라.
[해설]
학문에는 ‘爲己之學’과 ‘爲人之學’으로 구분해 볼 수 있다. ‘爲己之學’이란 남을 의식하거나 벼슬하고자 공부하는 것이 아니고 남이 뭐라고 하던 나를 위해서, 스스로 수신을 위해서, 사람이 되고자 학문을 하는 것을 말한다. 반면 ‘爲人之學’이란 자신은 아무것도 없으면서 남에게 큰소리치거나 벼슬하려고 혹은 돈을 벌려고 하는 공부를 말한다. 옛날 성현이나 군자들은 위기지학의 자세로 공부를 했는데 처음 공부를 하려는 사람 또한 위기지학으로 임해야 한다.
윗 글에서 군자의 밖으로 드러난 행동을 ‘絅之襲於外’라 표현하고, 소인의 밖으로 드러나는 행동을 ‘暴於外’라고 표현한 것은 잘 음미해야 한다. 군자는 겉으로 홑옷을 껴입어 밝음이 잘 드러나지는 않지만 실제는 속에 비단옷을 입고 있어 날로 밝아지지만, 소인은 큰소리만 치고 주먹을 휘두르고 폭력을 쓰니 금방 드러나기는 하지만 실제 알맹이가 없어 날로 없어진다는 의미이다.
이러한 군자의 도는 밖으로나 멀리서나 은미한 가운데서도 드러나니 ‘遠之近’과 ‘風之自’와 ‘微之顯’으로 표현하였다.
『주역』계사상전 제8장에 風澤中孚괘 九二효사 “우는 학이 그늘에 있거늘 그 자식이 화답하도다. 나에게 좋은 벼슬이 있어 내가 너와 더불어 얽히노라(鳴鶴在陰. 其子和之. 我有好爵 吾與爾靡之.?)”에 대해 공자가 “군자가 그 집에 거해서 그 말을 냄에 선하면 천리 밖에서 응하나니, 하물며 그 가까운 데에서랴! 말이 몸에서 나와 백성에게 더하며, 행실이 가까운 데서 발해 먼 곳에서 나타나나니, 언행은 군자의 추기니 추기의 발함이 영과 욕의 주가 되느니라. 언행은 군자가 이로써 천지를 움직이는 바니 가히 삼가지 아니하랴!(子曰 君子居其室, 出其言善, 則千里之外應之, 況其邇者乎! 居其室, 出其言 不善, 則千里之外違之, 況其邇者乎! 言出乎身 加乎民, 行發乎邇, 見乎遠, 言行君子之樞機, 樞機之發, 榮辱之主也. 言行 君子之所以動天地也, 可不愼乎!)”라고 말씀하신 뜻과 같다.
이러한 군자이기에 말에는 항상 실지가 있고 행동에는 항상함이 있다는 것을 『주역』風火家人괘 대상전에서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象曰 風自火出家人, 君子以言有物 而行有恒.(상에 가로되 바람이 불에서 나는 것이 가인이니, 군자가 이로써 말에는 실지가 있고 행동에는 항상함이 있게 하나니라).” 여기서 가인은 한 집안을 말하는데, 집에서 남들이 듣지 않는다고 말한 것이 밖으로 새어나가 남들이 모두 알게 되듯이, 밖에 나타난 것은 바로 내 집안 내 마음 속에서 근본이 된 것이다.
즉 자기 몸을 위하여 공부하는 마음(爲己之心)이 먼저 있고, ‘遠之近’ ‘風之自’ ‘微之顯’의 세 가지가 진리라는 것을 알면, 삼갈 바를 알아서 가히 덕에 들어가게 된다는 것이다. 아래는 『시경』을 인용해서 ‘謹獨’을 말하고 있다.
詩云, 「潛雖伏矣, 亦孔之昭。」 故 君子內省不疚, 無惡於志, 君子之所不可及者, 其惟人之所不見乎 !
시에, “물에 잠수하여 엎드려 있지만, 또한 매우 밝게 드러난다.” 하였다. 그러므로 군자는 안으로 살펴보아 잘못이 없어야 마음에 부끄러움이 없으니, 군자에게 미칠 수 없는 점은 사람들이 보지 않는 곳에 있다.
[해설]
『시경』「小雅」正月편에 다음의 文句가 나온다.
魚在于沼,亦匪克樂; 물고기가 연못에 있어도 즐겁지 않으니,
潛雖伏矣,亦孔之炤。 물에 잠수하여 엎드려 있어도 매우 훤하도다.
憂心慘慘,念國之為虐。 근심으로 매우 슬프고, 나라가 사나워짐을 염려하노라.
“잠긴 것이 비록 엎드려 있으나 또한 심히 밝다”는 것은 세상 속에 엎드려 있다 하더라도 그 곳에서 밝은 빛이 나온다는 말이다. 앞서 ‘衣錦尙絅’과 같이 비록 겉옷을 덧입었지만 결국은 빛이 나게 된다는 말을 이어서 한 것이다.
그러므로 군자는 겉으로보다 안으로가 더 중요하다는 말이다. 안으로 스스로 가책을 느끼거나 마음의 병폐가 조금도 없어서 마음에 부끄러움이 없어야 한다. 군자가 남들과 다른 점은 남들이 보지 못하는 곳, 나 홀로 있는 것을 삼가는 것이다. 이 제33장은『중용』을 마무리 지으면서 맨 처음 제1장의 “道也者 不可須臾離也, 可離非道也. 是故 君子戒愼乎其所不睹, 恐懼乎其所不聞.”를 다시 한번 강조하여 말하는 대목이다.
○詩 小雅正月之篇. 承上文, 言莫見乎隱 莫顯乎微也. 疚 病也. 無惡於志 猶言無愧於心, 此 君子謹獨之事也.
○시는 「소아 정월편」이라. 윗글을 이어 숨은 것보다 드러남이 없고, 은미한 것보다 나타남이 없음을 말한 것이라. 구는 병이라. 마음에 미움이 없다는 것은 마음에 부끄러움이 없다는 말과 같으니 이는 군자가 홀로를 삼가는 일이라.
[해설]
주자 또한 자사가 예를 든 『시경』의 구절을 『중용』 제1장에 나오는 “莫見乎隱, 莫顯乎微, 故 君子愼其獨也.”를 들어 ‘愼獨’을 ‘謹獨’으로 설명하고 있다.
詩云, 「相在爾室, 尙不愧于屋漏。」 故君子不動而敬, 不言而信。
시에, “네가 집안에 있을 때를 살펴보니, 오히려 방 귀퉁이에도 부끄럽지 않다.” 하였다. 그러므로 군자는 동하지 않을 때에도 공경하며, 말하지 않을 때에도 믿는 것이다.
위에 인용된 시는 앞서 『중용』제16장에서도 인용된 바가 있다(인용 시 내용은 제16장에서 참조 바람). 앞글에 이어서 ‘謹獨’의 효험을 말하고 있다. 즉 남이 볼 때나 홀로 있을 때를 삼가 안으로 마음을 잘 닦아 正心修道를 하니 군자는 억지로 남에게 잘 보이려고 움직이지 않아도 결국은 세상에 진심이 드러나게 되어 남들이 공경하게 되고, 굳이 말을 하지 않더라도 남들이 믿어주게 된다.
○詩 大雅抑之篇. 相 視也. 屋漏 室西北隅也. 承上文 又言君子之戒謹恐懼, 無時不然, 不待言動而後 敬信, 則其爲己之功, 益加密矣. 故 下文引詩, 幷言其效.
○시는 「대아 억편」이라. 상은 봄이라. 옥루는 방의 서북쪽 귀퉁이라. 윗글을 이어 또 군자의 경계하고 삼가고 두려워하고 두려워함(戒謹恐懼)이 때로 그렇지 않음이 없어 말과 행동을 기다리지 않은 뒤에 공경하고 믿게 함을 말하였으니 ‘위기지공(몸을 위한 공력)’이 더욱더 주밀함이라. 그러므로 아랫글에 시를 인용해서 아울러 그 효험을 말함이라.
大雅/湯之什/抑
視爾友君子、輯柔爾顔、 네가 군자를 벗함을 보건대 네 얼굴이 온화하고 부드러워,
不遐有愆。 무슨 허물이 있지 않은가 하도다.
相在爾室、尙不愧于屋漏。 너 집에 있을 때를 보건대 방구석에서도 부끄럽지 않아야 했도다.
無曰不顯、莫予云覯。 드러나지 않는 것은 없나니 나를 보는 자 없다 하지 말지어다.
神之格思、不可度思、 신이 오는 것은 헤아릴 수 없나니
矧可射思? 하물며 싫어할 수 있겠는가.
[해설]
屋漏를 방의 서북쪽이라 하고 귀퉁이라고 하는 이유는 보통 집을 남향으로 짓는데, 이 경우 문을 열고 들어 갈 경우 아랫목은 서쪽이 되고, 그 구석이 서북쪽이 되기 때문이다. 이렇게 잘 보이지 않는 구석에 있으면서도 부끄럽지 않는 행동을 하는 것이 ‘謹獨’의 자세이다. 戒謹恐懼는 누가 두려워서라기 보다 스스로를 경계하고 두려워하여 삼가는 마음 자세이다. 만약 벌을 받을까봐 누구로부터 야단을 맞을까봐 삼가는 것은 ‘謹獨’이 될 수 없는 것이다. 『중용』 제1장에서도 인용한 바 있지만 불가(佛家)의 금강경(金剛經) 사구게(四句偈)에 “若以色見我 以音聲求我 是人行邪道 不能見如來(만약 빛으로써 나를 보거나 음성으로써 나를 구한다면 이 사람은 사도를 행하는 것이니 영원히 여래를 보지 못할 것이니라)”라고 한 말도 바로 不睹하고 不聞이라 하여 도를 닦지 않음을 경계한 말이다.
이것은 자기 자신을 위한 공부(爲己之學)로 더욱더 주밀하게 해야 하는 것이다. 爲己之功은 爲己之學과 같은 뜻이다.
詩曰, 「奏假無言, 時靡有爭。」 是故 君子不賞而民勸, 不怒而民威於鈇鉞。
시에, “신명(神明)의 앞에 나아가 감격할 때에, 말이 없어도 이에 다투는 이가 없다.” 하였다. 그러므로 군자는 상을 주지 않아도 백성들이 권면하며, 화내지 않아도 백성들이 작두와 도끼보다 더 두려워하는 것이다.
奏 : 아뢸 주, 나아갈 주 假 : 이를 격
[해설]
“奏假無言, 時靡有爭.”는 말은 『중용』제16장의 “神之格思, 不可度思, 矧可射思!”라는 말과 같이 신은 오직 지극한 정성으로 받들 때에 헤아릴 수 있고, 느낄 수 있다. 우리가 신 앞에 나아가 지극한 정성으로 받들면 신이 감격하여 이르게 되는데 이때에는 아무 말이 필요 없고 묵묵한 가운데 신과 통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런 곳에 다툼이 있을 수가 없듯이 군자가 지극한 정성으로 백성에게 임하면, 군자가 백성에게 상을 주지 않아도 백성들은 서로 잘하자고 권하며, 군자가 성내지 않아도 백성들은 형벌보다도 더욱 두려워하여 잘 따르게 된다.
○詩 商頌, 烈祖之篇. 奏 進也. 承上章而遂及其效, 言進而感格於神明之際, 極其誠敬, 無有言說而人自化之也. 威 畏也. 鈇 莝斫刀也, 鉞 斧也.
○시는 「상송 열조편」이라. 주는 나아감이라. 윗글을 이어 드디어 그 효험에 미쳐 나아가 신명을 감격할 즈음에 그 정성과 공경을 지극히 하여 말과 설명을 하지 않아도 사람이 스스로 감화됨을 말한 것이라. 위는 두려워함이라. 부는 여물을 써는 작도요, 월은 도끼라.
莝 : 여물 좌. 여물. 소먹이로 썬 짚. 가볍고 작은 것의 비유. 꼴, 꼴을 베다. 斫 : 벨 작. 베다. 자름. 찍음. 어리석다.
商頌/烈祖
嗟嗟烈祖!有秩斯祜。 오오, 열조시여 ! 항상 복을 내렸도다.
申錫無疆,及爾斯所。 끊임없이 거듭 내려 너 있는 곳까지 이르렀도다.
旣載淸酤,賚我思成。 맑은 계명주를 올려 내 생각하는 바 이루어지게 하길 비노라.
亦有和羹,旣戒旣平。 또 맛좋은 국을 준비하여 맛을 내었도다.
鬷假無言,時靡有爭。 아뢰어도 말이 없지만 다툼이 없도다.
綏我眉壽,黃耇無疆。 내가 미수에 이르도록 편안하니 만수무강하리로다.
鬷 : 가마솥 종. 가마솥. 모이다.
詩曰, 「不顯惟德, 百辟其刑之。」 是故 君子篤恭而天下平。
시에, “덕이 드러나지 않아도 모든 제후(諸侯)가 본받는다.” 하였다. 그러므로 군자가 공손함을 돈독히 함에 천하가 화평해지는 것이다.
○詩 周頌烈文之篇. 不顯 說見二十六章. 此 借引以爲幽深玄遠之意. 承上文 言天子有不顯之德 而諸侯法之, 則其德愈深而效愈遠矣. 篤 厚也, 篤恭 言不顯其敬也. 篤恭而天下平, 乃聖人至德淵微, 自然之應, 中庸之極功也.
○시는 「주송 열문편」이라. 불현은 설명이 제26장에 보이니라. 이는 빌리고 인용해서 써 그윽하고 깊고 아득하고 먼 뜻을 삼은 것이라. 윗글을 이어서 천자가 드러나지 않은 덕이 있어 제후가 그것을 법으로 삼으면 그 덕이 더욱 깊어 효험이 더욱 멀어지는 것을 말함이라. 독은 두터움이니 독공은 그 공경함이 나타나지 않음을 말함이라. 공순함을 돈독히 해서 천하가 평평해짐은 이에 성인의 지극한 덕이 깊고 은미하여 자연히 응함이니, 중용의 지극한 공효이라.
周頌/淸廟之什/烈文
烈文辟公、錫茲祉福、 굳세고 이름다운 제후들이 복을 베풀어,
惠我無疆、子孫保之。 나를 은혜롭게 함이 끝이 없고 자손을 보전케 하도다.
無封靡于爾邦、維王其崇之。 너희에게 봉한 나라를 어지럽게 하지 않으면 왕이 존중하리라.
念茲戎功、繼序其皇之。 큰 공을 생각하여 대를 이어 아름답게 하리라.
無競維人、四方其訓之。 견줄 사람이 없어 사방이 가르침을 받도다.
不顯維德、百辟其刑之。 그 덕이 드러나지 않으나 모든 제후가 본보기로 삼도다.
於乎!前王不忘。 오호라 ! 전왕을 잊지 못하노라.
詩云, 「予懷明德, 不大聲以色。」 子曰, 「聲色之於以化民末也。」 詩云, 「德輶如毛。」 毛猶有倫, 上天之載無聲無臭 至矣。
시에, “나의 밝은 덕(德)이 음성과 얼굴빛을 대단찮게 여김을 생각한다.” 하였는데, 공자께서 말씀하기를 “음성과 얼굴빛은 백성을 교화시키는 데 있어 보잘것 없는 것이다.” 라고 하였다.
또, 시에, “덕(德)은 가볍기가 터럭과 같다.” 하였는데, 터럭도 오히려 비교할 만한 것이 있으니, “상천(上天)의 일은 소리도 없고 냄새도 없다.”라고 한 것이야말로 지극하다고 할 것이다.
以 : …하여, 그리고. 而와 쓰임이 같음. …과. …와 함께. 輶 : 가벼울 유. 가볍다. 가벼운 수레. 임금의 사자(使者)가 타는 수레.
[해설]
『시경』「大雅 皇矣篇」에서 “予懷明德, 不大聲以色。”는 내용을 인용하여 말하고 있다. 대학의 도는 밝은 덕을 밝히는데 있다(大學之道 在明明德)고 하였듯이 사람은 모두 밝은 덕을 갖고 나왔다. 이것이 앞에서 나온 不顯惟德이다. 이 드러나지 않는 덕은 멋진 소리나 화려한 색으로 보이는 것이 아니기에 시경에서 ‘밝은 덕의 소리와 색을 대단치 않게 여긴다’고 하였다. 공자는 이러한 소리와 빛은 백성을 교화시키는데 지엽말단적인 것이라고 하였다. 덧붙여 시경의 말을 인용하여 덕은 가볍기가 터럭과 같다고 하였다. 만약 덕이 무겁다면 누가 그것을 마음에 품고 있겠는가. 하지만 그러한 터럭조차 물건이라 큰 터럭, 작은 터럭이 있듯이 비교가 된다. 이렇게 비교가 되는 것으로 덕을 나타낼 수가 없다는 말이다.
주역 산천대축괘의 상구효에 보면 “어느 하늘의 거리인고, 형통하니라(上九曰 何天之衢?亨.)”하였고, 그 爻象傳에“何天之衢는 도가 크게 행함이라(象曰 何天之衢道大行也.)”하였다. 주역의 易簡의 법칙이 있을 뿐이다. 하늘은 쉬운 법칙이 있기에 만물을 내고, 땅은 하늘의 쉬운 법칙을 그대로 따르는 간단한 법칙으로 만물을 기르고 있을 뿐이다. 이와 같이 상천의 일은 易簡의 법칙에 따라 소리도 없고 냄새도 없이 지극할 뿐인 것이다. 『중용』은 『시경』「文王篇」의 “上天之載 無聲無臭”를 인용하고 이 뒤에 “至矣.(지극하니라)”라는 두 단어만을 덧붙여 끝맺음을 하였다. 하늘의 덕은 지극하기에 더 이상 보탤 말이 없다는 것이다.
○詩 大雅皇矣之篇, 引之以明上文所謂不顯之德者, 正以其不大聲與色也. 又引孔子之言, 以爲聲色 乃化民之末務, 今但言不大之已, 則猶有聲色者存, 是未足以形容不顯之妙.
不若烝民之詩, 所言德輶如毛, 則庶乎可以形容矣, 而又自以爲謂之毛, 則猶有可比者, 是亦未盡其妙. 不若文王之詩所言上天之事無聲無臭, 然後 乃爲不顯之至耳. 蓋聲臭 有氣無形, 在物 最爲微妙, 而猶曰無之. 故 惟此可以形容不顯篤恭之妙, 非此德之外, 又別有是三等然後 爲至也.
○시는 「대아 황의편」이니 이것을 인용하여 써 윗글에 이른바 드러나지 않는 덕을 정히 써 소리와 색을 크게 여기지 않음을 밝혔느니라. 또 공자의 말씀을 인용하여 소리와 색은 백성을 교화시키는데 끄트머리에 힘써야 하는 일이거늘, 이제 다만 크게 여기지 않게 여긴다고 말했을 뿐이라면, 이것은 오히려 소리와 색이 남아 있는 것이니 드러나지 않는 묘함을 형용하기에 충분하지 못함이라.
『시경』「증민」시에 말한 바 ‘덕은 가볍기가 터럭과 같다’라고 한 것만도 못하니 즉 거의 가히 써 형용이 되었으되 또 스스로 이르기를 터럭이라고 하면 오히려 가히 비교가 되니 이 또한 그(불현지덕) 묘함을 다하지 못한 것이리라. 「문왕시」에 말한 바 ‘상천의 일은 소리도 없고 냄새도 없다’고 한 것만 못하니, 그렇게 한 후에야 드러나지 않음의 지극함이 될 뿐이라. 대개 소리와 냄새는 기운만 있고 형체가 없어서, 물건에 있어 가장 미묘한 것임에도 오히려 없다고 말한 것과 같으니라. 그러므로 오직 이것은 가히 써 드러나지 않은 공순함을 돈독히 한다는 묘함을 형용함이오, 이 덕의 밖에 또 별도로 이 세 가지 등수(성색→ 터럭→무색무취)가 있은 연후에 지극함이 된다고 함이 아니니라.
大雅/文王之什/皇矣
帝謂文王: 상제가 문왕에게 이르기를,
予懷明德、不大聲以色、 내가 밝은 덕을 품고, 소리와 색을 크게 여기지 않고,
不長夏以革、不識不知、 꾸밈과 고침을 훌륭히 여기지 않고 알려고 하지 않고 알지도 못하여
順帝之則。 상제의 법에 따른다 하셨도다.
帝謂文王: 상제가 문왕에게 이르기를
詢爾仇方、同爾兄弟。 네 원수의 나라를 물어, 네 형제들과 함께 하라.
以爾鉤援、與爾臨沖、 네 구원과 네 임거 충거로써,
以伐崇墉。 숭의 성을 치라 하셨도다.
大雅/蕩之什/蒸民
人亦有言: 사람들이 또 이르기를, 덕은 털처럼 가벼워도,
德輶如毛、民鮮克擧之、 덕은 털처럼 가벼워도, 백성들이 능히 들 수 있는자 드물지만,
我儀圖之。 내가 헤아리고 꾀해 보리라.
維仲山甫擧之,愛莫助之。 오로지 중산보만 들 수 있으니 사랑하여도 도울 수가 없노라.
袞職有闕,維仲山甫補之。 왕의 일에 틈이 있으면 중산보가 돕노라.
大雅/文王之什/文王
命之不易,無遏爾躬。 명이 쉽지 않으니 네 자신에서 멈추게 하지 말지어다.
宣昭義問,有虞殷自天。 의로운 명성을 밝혀 하늘이 은나라를 버렸음을 헤아릴지어다.
上天之載,無聲無臭。 하늘이 행하는 것은 소리도 없고 냄새도 없도다.
儀刑文王,萬邦作孚。 문왕의 법을 본받으면 만방이 일어나 믿을 것이로다.
○子思因前章極致之言, 反求其本, 復自下學爲己謹獨之事, 推而言之, 以馴致乎篤恭 而天下平之盛, 又贊其妙 至於無聲無臭以後已焉, 蓋擧一篇之要 而約言之, 其反復丁寧示人之意 至深切矣, 學者其可不盡心乎!
○자사가 앞 장 극치의 말을 인해서, 돌이켜 그 근본을 구하게 하여 다시 하학(초학)이 자기 몸을 위한 근독의 일로부터 미루어 말해서 써 공순함을 돈독히 해서 천하가 평해지는 성한 데까지 길들여 이루게 하시고, 또 그 묘함을 찬양하여 소리도 없고 냄새도 없은 뒤에 끝나는 데 이르게 하시니, 대개 한 편(제33장)의 요점을 들어 간략하게 말씀하시어 그 반복하고 정녕하여 사람에게 보여주신 뜻이 지극히 깊고 절실하시니, 배우는 자가 그 가히 마음을 다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해설]
이상으로 『중용』은 마지막 제33장에 시경 8편의 시를 인용하여 지극한 정성의 의미를 마무리하고 있다. 그 지극한 정성의 덕은 드러나지 않아 소리나 빛, 터럭으로도 비교할 수 없는 무색무취의 지극함만이 있을 뿐인 것이다. 지극한 정성은 신과 같다(至誠如神). 그러하므로 사람이 항상 지극한 정성으로 임한다면 신이 감격하여 이르니 하늘이 감동한다는 것(至誠感天)이 자사가 『중용』을 통해 우리들에게 가르치려는 요체일 것이다. 따라서 배우는 우리들은 그 마음을 다하여 中庸의 道를 배워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