乙弗傳
乙弗傳
美川王[一云好壤王] 諱乙弗[或云憂弗] 西川王之子古鄒加咄固之子。初 烽上王疑弟咄固有異心 殺之, 子乙弗畏害出遁。始就水室村人陰牟家傭作, 陰牟不知其何許人, 使之甚苦。其家側草澤 蛙鳴 使乙弗夜投瓦石 禁其聲, 晝日督之樵採 不許暫息。不勝艱苦 周年 乃去 與東村人再牟販鹽。 乘舟抵鴨淥 將鹽下寄江東思收村人家。其家老嫗請鹽 許之斗許, 再請不與 其嫗恨恚, 潛以屨置之鹽中。 乙弗不知 負而上道, 嫗追索之 誣以廋屨 告鴨淥宰。宰以屨直 取鹽與嫗 決笞放之。於是 形容枯槁 衣裳藍縷 人見之 不知其爲王孫也。
是時 國相倉助利將廢王 先遣北部祖弗東部蕭友等 物色訪乙弗於山野。 至沸流河邊 見一丈夫在舡上, 雖形貌憔悴 而動止非常。蕭友等疑是乙弗 就而拜之曰, "今國王無道, 國相與群臣陰謀 廢之。以王孫操行儉約 仁慈愛人 可以嗣祖業, 故遣臣等奉迎。"
乙弗疑曰, "予野人 非王孫也。請更審之。"
蕭友等曰, "今上 失人心久矣 固不足爲國主 故群臣望王孫甚勤 請無疑。"
遂奉引以歸。助利喜 致於烏陌南家 不令人知。秋九月 王獵於侯山之陰 國相助利從之, 謂衆人曰,
"與我同心者 効我 乃以蘆葉揷冠。"
衆人皆揷之, 助利知衆心皆同。 遂共廢王 幽之別室 以兵周衛 遂迎王孫 上璽綬 卽王位。
<三國史記 高句麗本記 五>
[註]
廋 : 숨길 수. 숨기다. 숨다. 찾다. 구하다. 세다. 헤아리다. 모롱이, 산모롱이(산모퉁이의 휘어 들어간 곳)
縷 : 실 루(누). 실, 올, 명주, 줄기, 가닥, 누더기, 하나하나, 상세하게, 차근차근, 갈피. 실마리를 찾다. 자세하다. 잘게 썰다.
効 : 본받을 효. 본받다. 힘쓰다. 나타내다. 드리다. 주다. 보람, 공, 공로.
蘆 : 풀이름 차. 풀이름. 풀이 죽다. 璽 : 옥새 새. 옥개, 인장 綬 : 끈 수. 끈, 인끈.
고구려미천왕(美川王)[혹은 호양왕(好壤王)이라고도 한다.]의 이름은 을불(乙弗)[혹은 우불(憂弗)이라고 도 한다.]이고, 서천왕(西川王)의 아들인 고추가 돌고(咄固)의 아들이다.
예전에 봉상왕(烽上王)은 그의 동생 돌고가 반역할 생각을 가졌다고 의심하여 그를 죽였다.
그의 아들 을불은 자기에게도 해가 미칠 것이 두려워 도망쳤다. 처음에는 수실촌(水室村) 사람 음모(陰牟)의 집에서 품팔이를 하였는데,음모는 을불이 어떤 사람인지를 알지 못하고 매우 고된 일을 시켰다.
그 집 옆의 못에서 개구리가 울면, 음모는 을불을 시켜 개구리소리가 나지 않도록 밤에 기와 조각이나 돌을 던지게 하였고, 낮에는 땔나무를 해오도록 독촉하여 잠시도 쉬지 못하게 했다.
을불은 고생을 견디지 못하고 일 년 만에 그 집을 떠나서 동촌(東村) 사람 재모(再牟)와 함께 소금을 팔았다. 배를 타고 압록에 이르러 소금을 내려놓고 강의 동쪽 사수촌(思收村) 사람의 집에 지냈다.
그 집의 노파가 소금을 요구하여 한 말 정도 주었더니, 그 노파가 다시 요구하므로 주지 않았다. 그러자 노파가 원한을 품어 몰래 자기의 신발을 소금 속에 넣어두었다. 을불은 이를 알지 못하고 소금을 지고 길을 떠났는데, 노파가 쫓아와 신발을 찾고는 을불이 자기의 신발을 감추었다고 꾸며서 압록의 관리에게 고발하였다.
관리는 신발값으로 소금을 빼앗아 노파에게 주고, 을불의 볼기를 때린 후 풀어주었다. 이리하여 을불은 얼굴이 여위고 복장이 남루하게 되어, 사람들이 그를 보고도 왕손임을 알지 못했다.
이때 국상 창조리가 장차 왕을 폐위하고자 하여, 먼저 북부의 조불(祖弗)과 동부의 소우(蕭友) 등을 보내 산과 들로 을불을 찾게 하였다. 그들이 비류하 기슭에 이르렀을 때 한 사나이가 배에 있는 것을 보았는데, 비록 형색은 여위고 파리하였으나 행동거지가 평범하지 않았다.
소우 등은 이 사람이 을불이라 생각하고, 나아가 절을 하며 말하였다.
“지금 국왕이 무도하여 국상이 여러 신하들과 함께 임금을 폐위하려고 몰래 계획하고 있습니다. 국상은 왕손께서 행실이 검소하고 인자하여 사람들을 사랑하므로 선왕의 업을 이을 수 있다하여, 일부러 저희들을 보내 받들어 맞아오게 한 것입니다.”
을불이 의심하여 말하였다.
“나는 야인이요, 왕손이 아닙니다. 다시 살펴보시오.”
소우 등이 말하였다.
“지금 임금은 인심을 잃은 지 오래되어 진실로 나라의 주인이 되기에 부족합니다. 이로 인해 여러 신하들이 왕손을 간절하게 바라니, 의심하지 마십시오.”
그들은 마침내 을불을 받들어 돌아왔다. 창조리가 기뻐하며 을불을 오맥(烏陌) 남쪽 집에 모시고 사람들이 알지 못하도록 하였다. 가을 9월에 임금이 후산(侯山) 북쪽에서 사냥할 때 국상 창조리가 따라갔다. 창조리는 여러 사람들에게
말하였다.
“나와 같은 마음인 자는 내가 하는 대로 하라.”
창조리가 갈대 잎을 관에 꽂자, 여러 사람들도 모두 갈대 잎을 꽂았다. 창조리는 여러 사람의 마음이 모두 같다는 것을 알고, 드디어 그들과 함께 왕을 폐위하여 별실에 가두고 병사들로 하여금 주변을 지키게 하였다.
왕손을 맞아 옥새와 인끈을 바쳐 왕위에 오르게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