梁惠王 <下> 第12章
第12章
鄒與魯鬨, 穆公問曰, 「吾有司死者 三十三人, 而民莫之死也。誅之則不可勝誅, 不誅則疾視其長上之死而不救, 如之何則可也?」 孟子對曰, 「凶年饑歲, 君之民老弱轉乎溝壑, 壯者散而之四方者 幾千人矣。而君之倉廩實府庫充, 有司莫以告, 是上慢而殘下也, 曾子曰, 『戒之戒之。出乎爾者, 反乎爾者也。』 夫民今而後得反之也, 君無尤焉。」 君行仁政, 斯民親其上, 死其長矣。
추나라가 노나라와 전쟁을 하였는데 추나라 목공이 물었다.
“내 지휘관들이 죽은 자가 33명인데, 백성(장졸)들은 죽지 않았습니다. 이들을 주살하려고 한다 해도 모두 죽일 수는 없고, 주살하지 않으면 그들이 장상이 죽는 것을 보고도 구원하지 않은 것에 화가 나는데 이를 어찌하면 좋겠습니까?"
맹자가 대답했다.
“흉년이 들어 기근이 심한 해에 인군의 백성으로 노인과 약한 자들이 구렁텅이에서 뒹굴고, 장정들은 흩어져 사방으로 간 자가 몇 천명이나 됩니다. 그러나 인군의 창고와 곳집은 가득 차 있어도 관리들이 이로써 백성을 구제하자고 아뢴 바 없었는데, 이것은 위에서 일을 태만히 하므로써 아랫 사람에게 잔학하게 대한 것으로, 증자는 ‘경계하고 경계하라. 너에게서 나온 것이 너에게로 돌아가니라’ 하였습니다. 백성들이 이제서야 되갚는 것이니 인군은 백성을 탓하지 마십시오. 인군이 어진 정사를 행하시면 백성이 윗사람을 가까이 여겨 윗사람을 위해 죽을 것입니다."
鬨 : 싸울 홍(항). 싸우다. 함성. 함성을 지르다. 떠들다. 시끄러움.
○鬨 鬪聲也. 穆公 鄒君也. 不可勝誅, 言 人衆不可盡誅也. 長上 謂有司也.
○공(鬨)은 싸우는 소리라. 목공은 추나라 인군이라. 가히 이기어 베지 못함(不可勝誅)은 ‘사람이 많아 가히 다 베지 못함’을 말함이라. 장상(長上)은 벼슬아치(전쟁터의 지휘관)를 이름이라.
孟子對曰, 「凶年饑歲, 君之民老弱轉乎溝壑, 壯者散而之四方者 幾千人矣。而君之倉廩實府庫充, 有司莫以告, 是上慢而殘下也, 曾子曰, 『戒之戒之。出乎爾者, 反乎爾者也。』 夫民今而後得反之也, 君無尤焉。」
맹자가 대답했다. “흉년들어 기근이 심한 해에 인군의 백성으로 노인과 약한 자들이 구렁텅이에서 뒹굴고, 장정들은 흩어져 사방으로 간 자가 몇 천명이나 됩니다. 그런데 인군의 창고와 곳집은 가득 차 있어도 관리들이 이를 들어 백성을 구제할 것를 아뢴 바 없었던 바, 이것은 위에서 일을 태만히 하므로써 아랫 사람에게 잔학하게 대한 것으로, 증자는 ‘경계하고 경계하라. 너에게서 나온 것이 너에게로 돌아가니라’ 하였습니다. 백성들이 이제서야 되갚는 것이니 인군은 백성을 탓하지 마십시오."
○轉 飢餓輾轉而死也. 充 滿也. 上 謂君及有司也. 尤 過也.
○전(轉)은 굶주리고 주려서 전전하다 죽음이라. 충(充)은 가득참이라. 상(上)은 인군 및 벼슬아치를 이름이라. 우(尤)는 허물이라.
[참고]
輾 : 구를 전, 한쪽으로 구르는 모양, 轉 : 구를 전, 빙빙 돌면서 구르는 모양 『시경』 첫장에 ‘輾轉反側’이란 말이 나오는데 ‘전전(輾轉)’은 이리 굴렀다 저리 굴렀다 하는 모양이고 ‘반측(反側)’은 한바퀴 빙 도는 모양으로 누워서 이리저리 뒤척이며 구르는 모양을 나타낸 말이다.
君行仁政, 斯民親其上, 死其長矣。
인군이 어진 정사를 행하시면 백성이 윗사람을 가까이 여겨 윗사람을 위해 죽을 것입니다."
○君 不仁而求富, 是以 有司 知重斂而不知恤民. 故 君行仁政 則有司皆愛其民而民亦愛之矣.
○范氏曰, 書曰 民惟邦本. 本固邦寧, 有倉廩府庫所以爲民也, 豊年則斂之, 凶年則散之, 恤其飢寒, 救其疾苦, 是以 民親愛其上, 有危難則赴救之, 如子弟之衛父兄, 手足之捍頭目也. 穆公不能反己, 猶欲歸罪於民, 豈不誤哉.
○인군이 어질지 못하고 부유함만 구하니 이로써 벼슬아치들이 무겁게 세금을 거둬들일 줄만 알고 백성을 긍률히 여길 줄은 알지 못하니라. 이에 인군이 仁政을 행한즉 벼슬아치들이 다 그 백성을 사랑하고 백성 또한 그들을 사랑하리라.
○범씨 가로대 “『서경』에 말하기를 ‘백성은 오직 나라의 근본이라. 근본이 견고해야 나라가 편안하다’ 하니, 곳간과 창고를 두는 것은 (써) 백성을 위한 바니 풍년인즉 세금을 거둬들이고 흉년인즉 (곡식과 재물을) 흩어서 그 굶주림과 추위를 구휼하며 그 병과 고통을 구원하나니 이로써 백성이 그 위사람을 친애해서 위난이 있으면 쫓아가 구원하기를 자식과 동생이 그 아비와 형을 호위하는 것 같이하며, 수족이 머리와 눈을 보호하는 것같이 하느니라. 목공이 자기 몸을 돌이켜 반성하지 아니하고 오히려 죄를 백성들에게 돌리려고 하니 어찌 그릇되지 아니하랴! ” 하니라.
捍 : 막을 한/몽둥이 간. 막다. 지킴. 팔찌. 활을 쏠 때 왼팔의 소매를 걷어 매는 띠. 사납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