公孫丑 <下> 第12章
第12章
孟子去齊, 尹士語人曰, 「不識王之不可以爲湯武, 則是不明也, 識其不可, 然且至則是干澤也。千里而見王不遇故去, 三宿而後出晝, 是何濡滯也? 士則玆不悅。」
高子以告, 曰, 「夫尹士惡知予哉? 千里而見王是予所欲也, 不遇故去 豈予所欲哉? 予不得已也。予三宿而出晝, 於予心猶以爲速, 王庶幾改之, 王如改諸 則必反予。夫出晝而王不予追也, 予然後浩然有歸志, 予雖然豈舍王哉! 王由足用爲善, 王如用予 則豈徒齊民安! 天下之民擧安, 王庶幾改之, 予日望之。予豈若是小丈夫然哉! 諫於其君而不受則怒, 悻悻然見於其面, 去則窮日之力而後 宿哉。」
尹士聞之曰, 「士誠小人也.」
맹자가 제나라를 떠나자 윤사가 사람들에게 말했다.
“맹자가 왕이 탕왕과 무왕이 될 수 없다는 것을 알지 못하였다면 이는 밝지 못한 것이며, 그것이 불가함을 알고도 이에 이르렀다면 이는 은택을 구한 것이다. 천리를 와서 왕을 뵙고서는 뜻이 맞지 않아 떠나면서 삼일 밤을 묵은 후에야 주를 떠났는데 어찌 이렇게 지체하였는가? 나는 이점이 탐탁치 않다."
고자가 이 말을 맹자에게 고하자 맹자가 말했다.
"도대체 윤사가 나를 어찌 안단 말인가? 천리를 와서 왕을 접견한 것은 내가 바라던 바였으나 뜻이 맞지 않아 떠나는 것이 어찌 내가 바라던 바였겠는가. 내가 어쩔 수 없었던 것이다. 내가 사흘을 묵고 주에서 떠났으나 내 마음에는 오히려 빠르다고 여겼는데, 왕이 혹시라도 마음을 고치기를 원했으며 왕이 마음을 고쳤다면 반드시 나를 되돌렸을 것이다. 내가 주에서 출발하였으나 왕이 나를 뒤쫒아 오지 않자, 나는 그 후 확고하게 돌아올 뜻을 갖게 되었으며, 내가 그렇다 할지라도 어찌 왕을 버리겠는가! 왕이 족히 선정을 베풀 의도로 만일 나를 등용했다면 어찌 제나라을 백성만을 편안하게 할 뿐이었겠는가! 천하의 백성이 모두 편안할 것이라 왕이 부디 마음을 고치기를 내가 날마다 기다렸다. 내 어찌 이렇게 소장부같이 처신하겠는가? 인군에게 간언해서 받아들이지 않는다고 노하여, 그 면전에서 분노를 드러내고 떠나서는 하루에 갈 수 있을 만큼만 힘을 쓰고는 숙박하겠는가."
윤사가 듣고 말했다. “나 윤사는 참으로 소인이구나."
濡 : 젖을 유. 참고 견디다. 인내함. 멈추다. 지체함.
[해설]
맹자가 왕을 만났지만 뜻을 이루지 못하고 제나라를 떠나는데 사흘밤을 주라는 곳에서 머물렀다. 이를 본 윤사라는 이가 맹자를 비난하는 말이다. 제나라 왕이 옛날의 탕임금이나 무왕과 같이 賢君이 아님을 이미 다 아는 일인데 만약 맹자가 이를 모른다면 그것은 맹자가 밝지 못한 것이고, 알았다면 왕에게서 벼슬자리나 녹을 구하려고 한 것이라는 얘기이다.
또한 윤사는 맹자가 사흘간이나 주에서 머물은 것 역시 미련을 둔 것으로 올바른 태도가 아니라며 맹자를 강하게 비난하고 있다..
○尹士 齊人也. 干 求也. 澤 恩澤也. 濡滯 遲留也.
○윤사는 제나라 사람이라. 간(干)은 구함이라. 택(澤)은 은택이라. 유체(濡滯)는 더디고 머뭇거림이라.
高子以告, 曰, 「夫尹士惡知予哉? 千里而見王是予所欲也, 不遇故去 豈予所欲哉? 予不得已也。」
고자가 이 말을 맹자에게 고하자 맹자가 말했다.
"도대체 윤사가 나를 어찌 안단 말인가? 천리를 와서 왕을 접견한 것은 내가 바라던 바였으나 뜻이 맞지 않아 떠나는 것이 어찌 내가 바라던 바였겠는가. 내가 어쩔 수 없었던 것이다.
○高子亦齊人, 孟子弟子也.
○見王 欲以行道也, 今道不行. 故 不得已而去, 非本欲如此也.
○고자는 또한 제나라 사람이니 맹자의 제자라.
○왕을 뵈온 것은 (써) 道를 행하고자 함이지만 이제 도가 행해지지 못하여 이에 부득이 떠나감이오, 본래 이와 같이 하고자 함이 아니라.
予三宿而出晝, 於予心猶以爲速, 王庶幾改之, 王如改諸 則必反予。」
내가 사흘을 묵고 주에서 떠났으나 내 마음에는 오히려 빠르다고 여겼는데, 왕이 혹시라도 마음을 고치기를 원했으며 왕이 마음을 고쳤다면 반드시 나를 되돌렸을 것이다.
○所改 必指一事而言. 然 今不可考矣.
○고치는 바는 반드시 한 가지 일을 가리켜서 말함이라. 그러나 이제 가히 상고하지 못함이라.
夫出晝而王不予追也, 予然後浩然有歸志, 予雖然豈舍王哉! 王由足用爲善, 王如用予 則豈徒齊民安! 天下之民擧安, 王庶幾改之, 予日望之。予豈若是小丈夫然哉! 諫於其君而不受則怒, 悻悻然見於其面去, 則窮日之力而後宿哉。」 尹士聞之曰, 「士 誠小人也。」
내가 주에서 출발하였으나 왕이 나를 뒤쫒아 오지 않자, 나는 그 후 확고하게 돌아올 뜻을 갖게 되었으며, 내가 그렇다 할지라도 어찌 왕을 버리겠는가! 왕이 족히 선정을 베풀 의도로 만일 나를 등용했다면 어찌 제나라을 백성만을 편안하게 할 뿐이었겠는가! 천하의 백성이 모두 편안할 것이라 왕이 부디 마음을 고치기를 내가 날마다 기다렸다. 내 어찌 이렇게 소장부같이 처신하겠는가? 인군에게 간언해서 받아들이지 않는다고 노하여, 그 면전에서 분노를 드러내고 떠나서는 하루에 갈 수 있을 만큼만 힘을 쓰고는 숙박하겠는가."
윤사가 듣고 말했다. “나 윤사는 참으로 소인이구나."
由足用爲善 : 由는 猶와 같고, 用은 以와 같다. 悻 : 성낼 행.
[해설]
맹자가 임금에게 간언해서 받아들이지 않는다고 성질을 부르르 내면서 하루만에 속히 떠나간다면 이는 소장부나 하는 행태라고 말하고 있다. 사흘이나 오래도록 머물렀다고 비난하는 윤사의 말에 대한 맹자의 답변이다. 할 수 있는 데까지 다 해본 뒤에 떠나는 것이 군자의 일이 아니겠는가하는 맹자의 반문이다.
○浩然 如水之流 不可止也.
○楊氏曰 齊王 天資朴實, 如好勇好貨好色好世俗之樂, 皆以直告, 而不隱於孟子. 故 足以爲善, 若乃其心不然, 而謬爲大言以欺人, 是人 終不可與入堯舜之道矣, 何善之能爲.
○悻悻 怒意也. 窮 盡也.
○此章 見聖賢行道濟時 汲汲之本心, 愛君澤民, 惓惓之餘意.
○호연은 물의 흐름이 가히 그치지 아니함과 같으니라.
○양씨 가로대 “제나라 왕이 하늘에서 타고난 자질이 순박하고 성실하여, 용맹과 재물과 여색과 속세의 음악을 좋아함을 다 (써) 곧바로 고하고는 맹자에게 숨기지 아니하니라. 이에 족히 (써) 善政을 행할 수 있건마는 만약 (이에) 그 마음이 그러하지 못하여 그릇되게 큰소리침으로써 사람을 속이면 이 사람은 끝내는 (더불어) 요순의 도에 들어갈 수 없음이니 어찌 善政을 능히 행할 수 있겠는가?” 하니라.
○행행은 성내는 뜻이라. 궁은 다함이라.
○이 장은 성현이 도를 행하고 때(시대의 어려움을)를 구제하는데 애달아하는 본심과 임금을 사랑하고 백성에게 은혜를 베푸는 정성스러운 뜻이 남아있음을 봄이라.
○李氏曰 於此 見君子憂則違之之情, 而荷蕢者 所以爲果也.
○이씨 가로대 “이것에는 군자가 ‘근심한즉 어긴다’는 뜻과 ‘삼태기를 멘 자가 (써) 과감하게 행동한다’ 는 (성현의 옛 말이) 나타남이라.” 하니라. (蕢 : 삼태기 궤)
[해설]
주자가 공자의 말을 인용한 이씨의 말을 빌려 맹자의 ‘行道濟時’와 ‘愛君澤民’ 의 정치철학을 옹호하고 있다. ‘君子憂則違之’는 『주역』 건괘에서 ‘荷蕢者 所以爲果也’는 『논어』 憲問편에 나온다.
『주역』의 “不易乎世, 不成乎名, 遯世无悶, 不見是而无悶, 樂則行之 ‘憂則違之’(세상을 피하여도 민망함이 없으며, 옳다함을 보지 못해도 민망함이 없으니, 즐거우면 행하고 근심하면 어기니라)”이다.
『논어』의 “子擊磬於衛, 有荷蕢而過孔氏之門者曰, 有心哉! 擊磬乎. 莫己知也, 斯已而已矣, 深則厲, 淺則揭. 子曰 果哉. 未之難矣.
(공자가 위나라에서 경이란 악기를 치자 삼태기를 지고 공자가 묵는 집을 지나가던 자가 가로대 “마음에 흔들림이 있음이라. 경을 치는 소리여! 자기를 몰라주면 그만인 것을. (시경에) (물이) 깊으면 옷을 벗어들고 얕으면 걷어 올리니라”하니, 이에 공자가 “과감하구나. 그러나 그것이 어려운 것이 아님이라” 말씀하심이라.)
子擊磬於衛, 有荷蕢而過孔氏之門者曰, 「有心哉 ! 擊磬乎。」 旣而曰, 「鄙哉 ! 硜硜乎。 莫己知也, 斯己而已矣, 深則厲, 淺則揭。」 子曰, 「果哉, 末之難矣。」 <論語 憲文 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