滕文公 <下> 第 3章
第 3章
周霄問曰, 「古之君子仕乎?」 孟子曰, 「仕。傳曰, 『孔子三月無君則皇皇如也, 出疆必載質。』 公明儀曰, 『古之人三月無君則弔。』」 「三月無君則弔不以急乎?」 曰, 「士之失位也, 猶諸侯之失國家也, 禮曰, 『諸侯耕助, 以供粢盛, 夫人蠶繅, 以爲衣服。犧牲不成, 粢盛不潔, 衣服不備, 不敢以祭, 惟士無田則亦不祭。』 牲殺器皿衣服不備, 不敢以祭則不敢以宴, 亦不足弔乎!」 「出疆必載質, 何也?」 曰, 「士之仕也, 猶農夫之耕也。農夫豈爲出疆, 舍其耒耜哉!」 曰, 「晉國亦仕國也, 未嘗聞仕如此其急, 仕如此其急也, 君子之難仕何也?」 曰, 「丈夫生而願爲之有室, 女子生而願爲之有家, 父母之心。人皆有之, 不待父母之命媒妁之言, 鑽穴隙相窺, 踰牆相從, 則父母國人皆賤之。古之人未嘗不欲仕也, 又惡不由其道, 不由其道而往者, 與鑽穴隙之類也。」
주소가 물었다. "옛 군자는 벼슬을 했습니까?"
맹자가 대답했다. "벼슬을 하였습니다. 전(傳)에 '공자는 3개월동안 군왕이 없자 안절부절 하여 국경을 나갈 때에는 반드시 예물을 싣고 갔다.' 고 하였고, 공명의는 '옛날 사람들은 3개월동안 군왕이 없으면 위문하였다.'고 하였습니다."
"석 달동안 군왕이 없다고 조문하는 것은 너무 급하지 않습니까?"
맹자가 대답했다. "선비가 지위를 잃는 것은 제후가 나라를 잃는 것과 같습니다. 예(禮)에 '제후는 농사일을 도와 제사지낼 곡식을 마련하고 부인은 누에치고 고치를 켜서 의복을 짓는다. 제사에 바칠 짐승이 살찌지 않고 제사지낼 곡식이 정결하지 못하며, 의복이 갖추어지지 않으면 감히 제사를 지내지 못하며, 오직 선비가 제전(祭田)이 없다면 또한 제사를 지내지 않는다.'고 하였습니다. 제사에 바칠 짐승을 죽인 고기와 제기, 의복이 갖추어지지 않으면 감히 제사지내지 못하고 감히 잔치도 벌이지 못하는데 또한 위문하는 것이 족하지 않겠습니까!"
"국경을 나갈 때 반드시 폐백을 싣고 가는 것은 무슨 까닭입니까?"
맹자가 대답했다.
"선비가 벼슬하는 것은 농부가 경작하는 것과 같습니다. 농부가 어찌 국경을 나가면서 쟁기와 보습을 버리겠습니까?"
그러자 다시 물었다. "진나라도 또한 벼슬을 하는 나라인데, 벼슬하는 일이 이와 같이 급하다는 것을 들어보지 못하였으며, 벼슬하는 일이 이렇게 급하다면, 군자가 벼슬하는 것을 어렵게 여기는 까닭은 무엇입니까?"
맹자가 대답했다.
"사내를 낳으면 그가 실가를 이루기를 바라고, 여자아이를 낳으면 그녀가 가정을 이루는 것을 바라는 것이 부모의 마음입니다. 사람들이 모두 그런 마음을 가지고 있지만, 부모의 명과 매파의 말을 기다리지 않고 구멍과 틈을 뚫고 서로 엿보며 담장을 넘어 서로 제멋대로 한다면 부모와 나라사람들이 모두 천하게 여길 것입니다. 옛날 사람들이 벼슬을 하지 않으려고 한 적은 없지만 도를 따르자 않는 것을 싫어하였는데, 도를 따르지 않고 벼슬길에 나가는 것은 구멍과 틈을 뚫는 부류인 것입니다."
質 : 바탕 질, 여기서는 ‘폐백 지’로 벼슬할 때 가져가는 것으로 옛날에는 꿩을 가져감.
○周宵 魏人. 無君 謂不得仕而事君也. 皇皇 如由求而不得之意, 出疆 謂失位而去國也. 質 所執以見人者, 如士則執雉也. 出疆載之者 將以見所適國之君而事之也.
○주소는 위나라 사람이라. 무군은 벼슬을 얻어서 인군을 섬기지 못함이오, 황황은 구함이 있는데 얻지 못하는 것과 같은 뜻이오, 출강은 벼슬자리를 잃어 나라를 떠나감을 이름이라. 지는 잡아서(갖고서) 써 사람을 보는 바이니 선비 같으면 꿩을 집음이라. 국경을 나가는데 폐백을 갖고 간다는 것은 장차 써 가는 바의 나라 인군을 보고 섬기려 함이라.
「三月無君則弔不以急乎?」
"석 달동안 군왕이 없다고 조문하는 것은 너무 급하지 않습니까?"
○周宵 問也. 以 已, 通, 太也. 後章 放此
○주소가 물음이라. 이는 ‘말 이’로 통하니 ‘너.무’라. 후장도 이를 모방하니라.
曰, 「士之失位也, 猶諸侯之失國家也, 禮曰, 『諸侯耕助, 以供粢盛, 夫人蠶繅, 以爲衣服。犧牲不成, 粢盛不潔, 衣服不備, 不敢以祭, 惟士無田則亦不祭。』 牲殺器皿衣服不備, 不敢以祭則不敢以宴, 亦不足弔乎!」
맹자가 대답했다. "선비가 지위를 잃는 것은 제후가 나라를 잃는 것과 같습니다. 예(禮)에 '제후는 농사일을 도와 제사지낼 곡식을 마련하고 부인은 누에치고 고치를 켜서 의복을 짓는다. 제사에 바칠 짐승이 살찌지 않고 제사지낼 곡식이 정결하지 못하며, 의복이 갖추어지지 않으면 감히 제사를 지내지 못하며, 오직 선비가 제전(祭田)이 없다면 또한 제사를 지내지 않는다.'고 하였습니다. 제사에 바칠 짐승을 죽인 고기와 제기, 의복이 갖추어지지 않으면 감히 제사지내지 못하고 감히 잔치도 벌이지 못하는데 조문하는 것이 또한 족하지 않겠습니까!"
粢 : 기장 자/술 제. 기장. 육곡의 총칭. 제수(祭需)로 바치는 곡물(穀物). 떡. 쌀떡. 술.
繅 : 고치켤 소/무늬 조. 고치를 켜다. [조]무늬, 관에 드리우는 끈. 가죽 옥받침. 규벽(圭璧)이 떨어지지 않게 매는 끈.
○禮曰 諸侯爲藉百畝, 冕而靑紘, 躬秉耒以耕, 而庶人助以終畝, 收而藏之御廩, 以供宗廟之粢盛, 使世婦 蠶于公桑蠶室, 奉繭以示于君, 遂獻于夫人, 夫人副褘受之, 繅三盆手, 遂布于三宮世婦, 使繅以爲黼黻文章, 而服以祀先王先公. 又曰, 士有田則祭, 無田則薦, 黍稷曰粢, 在器曰盛. 牲殺牲必特殺也. 皿 所以覆器者.
○예에 가로대 제후가 (호)적에 백묘를 만들어 면류관을 쓰고 끈을 푸르게 하고 몸소 쟁기를 잡아서 써 갈거든 서인이 도와서 써 두둑의 일을 마치고 거두어 나라곳집에 수장하여 써 종묘의 자성을 장만하고, 세부[宗婦]로 하여금 공상 잠실에서 누에를 쳐서 고치를 받들어서 써 인군에게 보여드리고, 드디어 부인에게 드리거든 부인이 예복으로(예복을 입고) 받아서 동이에 손을 넣어 세 번 적시고 마침내 삼궁 세부에게 펴서 하여금 고치를 켜서 써 보불 문장을 만들게 하여, 입고서 써 선왕 선공에게 제사를 지낸다 하고, 또 가로대 선비가 제전이 있은즉 제사를 지내고 제전이 없은즉 천신한다고 하니라. 서직은 가로대 자라 하고, 그릇에 있는 것을 가로대 성이라. 생살은 희생을 반드시 특별히 죽임이라. 명은 그릇을 덮는 바이라.
紘 : 끈 굉. 褘 : 폐슬 휘/향낭 위. 폐슬(蔽膝). 꿩을 그린, 왕후의 제복(祭服). 향낭(香囊). 손수건, 아름답다. 副褘는 祭服을 말함
盆 : 동이분. 동이, 물동이, 피를 담는 그릇, 술동이. 밥짓는 그릇. 목욕통. 적시다. 덮다. 주먹을 움켜쥐다. 물이 솟다. 黼 : 수 보 黻 : 수 불.
[해설]
윗 글은 『禮記』「祭義」에 나오는 글로 구체적으로 보면 다음과 같다.
天下之禮 致反始也, 致鬼神也. 致和用也, 致義也, 致讓也. 致反始 以厚其本也, 致鬼神 以尊上也, 致物用 以立民紀也, 致義 則上下不悖逆矣, 致讓以去爭也. 合此五者, 以治天下之禮也, 雖有奇邪而不治者 則微矣.
“천하의 예는 처음을 되돌아보니 귀신에 이르며, 화합과 쓰임에 이르며, 의리에 이르며, 겸양에 이름이라. 처음을 되돌아봄은 그 뿌리를 두텁게 하며, 귀신에 이름은 위를 높이는 것이며, 물건의 쓰임에 이름은 백성의 기강을 세우는 것이며, 의리에 이름은 상하가 서로 거슬리는 일이 없는 것이니 겸양에 이르러 다툼이 없어질 것이라. 이 다섯 가지를 합하여 천하를 다스리는 예로써 하면 비록 이상하고 삿되며 다스려지지 않는 자가 있더라도 곧 적어질 것이라.
○宰我曰, 吾聞鬼神之名, 不知其所謂. 子曰, 氣也者 神之盛也, 魄也者 鬼之盛也, 合鬼與神, 敎之至也. 衆生必死 死必歸土, 此之謂鬼, 骨肉 斃于下, 陰爲野土, 其氣發揚于上 爲昭明, 焄蒿悽愴 此百物之精也, 神之著也. 因物之精, 制爲之極, 明命鬼神, 以爲黔首則, 百衆 以畏, 萬民以服.
焄 : 김쐴 훈. 김쐬다. 태워서 연기나 냄새가 피게 함. 훈자(熏炙). 향기. 냄새 나는 채소. 파·마늘 따위. 훈채(葷菜).
焄蒿悽愴 : 향기가 올라가 귀신의 분위기가 서림을 형상적으로 이르는 말.
○재아 가로대 저는 귀신의 이름을 듣기는 했으나 그 이르는 바는 알지 못하니이다. 공자 가라사대, 기라는 것은 신의 성함이요, 백이라는 것은 귀의 성함이니 귀와 더불어 신이 합하여야 교의 지극함이니라. 살아있는 무리는 반드시 죽고 죽으면 반드시 흙으로 돌아가나니 이것이 귀라 이름이라. 골육이 땅 아래로 묻혀 썩어 음이 야토가 되고 그 기는 위로 발양하여 밝게 되나니 쑥을 태워 처창해짐은 이 백물의 정으로 신의 나타남이니라. 물건의 정으로 인하여 하옴의 끝을 지으사 귀신을 밝혀 백성의 법칙으로 삼으시니 온 무리가 두려워하며 만민이 복종하니라
○聖人以是爲未足也, 築爲宮室, 設爲宗祧, 以別親疎遠邇, 敎民反古復始, 不忘其所由生也, 衆之服自此. 故 聽且速也. 二端旣立, 報以二禮, 建設朝事, 燔燎羶薌, 見以蕭光, 以報氣也, 此 敎衆反始也. 薦黍稷 羞肝肺首心, 見閒以俠甒, 加以鬱鬯, 以報魄也. 敎民相愛 上下用情, 禮之至也.
祧 : 조묘(祧廟). 원조(遠祖)를 합사(合祀)한 사당. 조묘로 옮기다. 5대조(代祖)부터 그 위의 먼 조상의 신주를 조묘로 합사(合祀)함.
燔 : 구울 번. 굽다. 불에 쬔 제물이나 구운 고기. 燎 : 화톳불 료. 화톳불, 태우다. 밝다. 횃불. 불에 쬐다. 들불.
羶 : 누린내 전/향기향. 누린내. 수육의 냄새, 그 냄새가 남. 냄새. [향] 향기.
薌 : 향기 향. 곡기(穀氣). 향기, 향내. 소리. 나무가 바람에 흔들리는 소리. 甒 : 술단지 무.
○성인이 이로써 족하지 못하사 궁실을 지으시며 종조(종묘와 조묘)를 만드시어 친소원이를 분별하시며 백성들에게 옛 것을 돌이키고 처음을 회복(反古復始)하게 가르치사 그 나는 바의 연유를 잊지 않게 하시니 백성들이 복종함이 이로부터 함이라. 그러므로 듣고 또 빨리 함이니라. 이단(귀와 신의 단서)이 이미 세워졌거든 두 가지 예로써 하나니 아침 제례를 정하여 牲의 피와 기름을 쑥과 함께 태워 향기와 빛으로써 보게 하여서 써 기를 보답함이니 이는 백성에게 처음을 돌아보게 가르침이라. 서직을 올리고 牲의 간 폐 머리 심장을 삶아서 바치며 술병을 준비하여 울창주를 더하는 것은 백에 보답함이라. 백성이 서로 사랑하고 상하가 정다워짐을 가르치니 예의 지극함이니라.
○君子反古復始, 不忘其所由生也. 是以 致其敬, 發其情, 竭力從事, 以報其親. 不敢弗盡也, 是故 昔者天子 爲籍千畝, 冕而朱紘, 躬秉耒. 諸侯爲籍百畝, 冕而靑紘, 躬秉耒. 以事天地山川社稷先古, 以爲醴酪齊盛, 於是乎取之, 敬之至也. 古者 天子諸侯, 必有養獸之官, 及歲時 齊戒沐浴而躬朝之, 犧牷祭牲, 必於是取之, 敬之至也. 君 召牛納而視之, 擇其毛而卜之, 吉然後養之, 君皮弁素積, 朔月月半, 君巡牲. 所以致力, 孝之至也.
牷 : 희생 전. 희생. 순색(純色)의 소. 털이 순색이며 몸이 온전한 것. 온전하다.
皮弁 : 평상시에 임금이 조회 때 쓰던 관. 사슴 가죽으로 만들고 금으로 꾸민 양(梁)을 달았다.
○군자가 反古復始하는 것은 그 생함의 말미암은 바를 잊지 않음이라. 이로써 그 공경함에 이르고 그 뜻을 발하며, 힘을 다하여 일을 좇아서 써 그 어버이를 보답하나니라. 이런 고로 옛날에 천자는 적에 천묘를 두고 면류관에 붉은 끈을 달고 몸소 쟁기를 잡았느니라. 제후는 적에 백묘를 두고 면류관에 푸른 끈을 달고 몸소 쟁기를 잡았느니라. 천지산천 사직선조를 섬김으로써 예락(술과 우유음료)을 정갈하고 성대하게 해서 써 이에서 취하니, 공경의 지극함이라. 옛날에 천자제후는 반드시 짐승을 기르는 관리를 두었으며 세시에 미쳐 재계 목욕하고 몸소 조회하고 희전(천지 종묘에 제물로 쓰는 짐승)은 생을 제물로 함에 반드시 이에서 취하니 공경의 지극함이라. 인군이 소를 불러 들여 보고 그 털을 선택하여 점을 쳐서 길한 연후에 기르고, 인군이 흰색 테두리의 피변복을 입고 매월 삭과 보름에 인군이 생을 순시하나니 써한 바 힘을 다함은 효의 지극함이라.
○古者 天子諸侯 必有公桑蠶室, 近川而爲之, 築宮仞有三尺, 棘牆而外閉之. 及大昕之朝, 君皮弁素積, 卜三宮之夫人世婦之吉者, 使入蠶于蠶室. 奉種浴于川, 桑于公桑, 風戾以食之, 歲旣單矣, 世婦卒蠶, 奉繭以示于君, 遂獻繭于夫人. 夫人曰, 此所以爲君服與, 遂副褘而受之, 因少牢以禮之, 古之獻繭者, 其率用此與. 及良日 夫人繅. 三盆手, 受布于三宮夫人世婦之吉者, 使繅. 遂朱綠之, 玄黃之, 以爲黼黻文章, 服其成君服, 以祀先王先公, 敬之至也.
昕 : 아침 흔. 아침. 해뜰무렵. 밝은 모양. 처마(昕天). 單 : 다하다. 나머지가 없음. <歲旣單矣 禮記>
○옛날에 천자 제후는 반드시 공상 잠실을 두되 시냇가에 두며 궁을 짓되 일인삼척(1인은 7척으로 인유삼척은 1丈이다. 약2.25m)으로 가시 담장을 두르고 밖에서 잠궜느니라. 삼월 삭일의 아침에 인군이 흰빛 테두리를 한 피변복을 입고 삼궁부인과 세부의 점을 쳐 길한 사람을 잠실에 들여보내 누에를 치게 했느니라. 누에 씨를 받들어 냇물에 씻기고 공상에서 딴 뽕잎을 바람에 쐬어 먹이며 때(초여름쯤)가 되면 세부가 누에치기를 마치고 누에고치를 받쳐 들고 인군에게 보이고 드디어 부인(왕비)에게 누에고치를 받치느니라. 부인이 가로대 이는 써한 바 인군의 옷을 만들인저. 곧 부휘(副는 머리를 장식하는 천, 褘는 부인의 예복)를 입고 받아 인하여 소뢰(양과 돼지의 두 희생을 갖춘 제사 음식)로써 예를 하니 옛적에 누에를 받치는 자는 그 이러한 방식으로 하였음인저. 좋은 날에 부인이 누에고치를 켜니라. 세 번 항아리에 손을 담그고 삼궁부인과 제부 가운데 길한 자에게 천을 짜게하여 누에고치를 켜느니라. 드디어 빨강과 초록 물을 들이고, 검정과 노랑 물을 들여 보불 문장을 수놓고 옷이 다 되면 인군이 입고 선왕 선공에게 제사를 드리니 공경의 지극함이니라.
☞ 參考
청색실과 적색실로 수놓은 것을 文, 적색과 백색실로 수놓은 것을 章이라 하며, 보(黼)는 흰 실과 검은 실로 자루가 없는 도끼 모양을 수놓아 권위를 상징하고, 불(黻)은 검정 실과 청색실로 두 개의 弓자가 서로 등대고 있는 亞자 모양으로 無始無終의 영원성을 상징하며, 오채색으로 수놓은 것을 綉라 한다. 종묘에 제사를 지낼 때 제후는 黼를, 대부는 黻의 옷을 입고, 왕은 9개의 무늬가 수놓인 九章服(검은 색 바탕에 산, 용, 꿩, 술그릇, 물풀, 불, 쌀, 보, 불이 수놓인 옷) 천자는 12장복(9장에 해 달 별이 더 들어감)을 입는다.
「出疆必載質, 何也?」
"국경을 나갈 때 반드시 폐백을 싣고 가는 것은 무슨 까닭입니까?"
○周宵 問也.
○주소가 물음이라.
曰, 「士之仕也, 猶農夫之耕也。農夫豈爲出疆舍其耒耜哉!」 曰, 「晉國亦仕國也, 未嘗聞仕如此其急, 仕如此其急也, 君子之難仕何也?」 曰, 「丈夫生而願爲之有室, 女子生而願爲之有家, 父母之心。人皆有之, 不待父母之命媒妁之言, 鑽穴隙相窺, 踰牆相從, 則父母國人皆賤之。古之人未嘗不欲仕也, 又惡不由其道, 不由其道而往者, 與鑽穴隙之類也。」
맹자가 대답했다.
"선비가 벼슬하는 것은 농부가 경작하는 것과 같습니다. 농부가 어찌 국경을 나가면서 쟁기와 보습을 버리겠습니까?"
그러자 다시 물었다. "진나라도 또한 벼슬을 하는 나라인데, 벼슬하는 일이 이와 같이 급하다는 것을 들어보지 못하였으며, 벼슬하는 일이 이렇게 급하다면, 군자가 벼슬하는 것을 어렵게 여기는 까닭은 무엇입니까?"
맹자가 대답했다.
"사내를 낳으면 그가 실가를 이루기를 바라고, 여자아이를 낳으면 그녀가 가정을 이루는 것을 바라는 것이 부모의 마음입니다. 사람들이 모두 그런 마음을 가지고 있지만, 부모의 명과 매파의 말을 기다리지 않고 구멍과 틈을 뚫고 서로 엿보며 담장을 넘어 서로 제멋대로 한다면 부모와 나라사람들이 모두 천하게 여길 것입니다. 옛날 사람들이 벼슬을 하지 않으려고 한 적은 없지만 도를 따르자 않는 것을 싫어하였는데, 도를 따르지 않고 벼슬길에 나가는 것은 구멍과 틈을 뚫는 부류인 것입니다."
妁 : 중매 작
○晉國 解見首篇. 仕國 謂君子遊宦之國. 霄意以孟子不見諸侯, 爲亂仕. 故 先問古之君子仕否然後, 言此以風切之也. 男 以女爲室, 女 以男爲家. 妁 亦媒也. 言爲父母者非不願其男女之有室家, 而亦惡其不由道, 蓋君子雖不潔身而亂倫, 而亦不徇利而忘義也.
○진국은 해석이 전편에 나타나니라. 사국은 군자가 벼슬에 유하는 나라를 이름이라. 소의 뜻은 맹자가 제후를 보지 않음으로 벼슬하기 어려움을 삼느니라. 그러므로 먼저 옛 군자가 벼슬을 했는지의 여부를 물은 연후에 이를 말하여 써 풍절(풍자)함이라. 사내는 여자로써 실을 삼고 여자는 남자로써 가를 삼느니라. 작은 또한 중매라. 말하되 부모가 된 자 그 남녀의 실가를 둠을 원하지 아니치 아니하되 또한 그 도를 말미암지 않음을 미워하나니, 대개 군자가 비록 몸을 깨끗이 해서 써 윤리를 어지럽히지 않더라도(내 몸만 깨끗이 하면 된다는 생각으로 어지러운 세상을 피하는 것은 오륜을 어지럽히는 일이다) 또한 이를 따르고 의를 잊어버리는 짓은 아니니라.
[해설]
‘蓋君子 雖不潔身而亂倫’은 『論語』「微子」편에 다음과 같이 나온다.
하루는 자로가 공자를 수행하다가 뒤쳐졌는데 마침 지팡이에 대삼태기를 짊어진 노인을 만나 선생님을 보았는지를 물었다. 그랬더니 노인이 사지를 움직이지 않고 오곡을 나눠먹지 않으며, 유세를 한답시고 돌아다니는 그대들이 누구를 선생이라고 하느냐며, 지팡이를 땅에 꽃아 놓고 풀을 매었다. 자로가 공손히 손을 모아잡고 서 있자, 노인이 자로를 집에 데리고 가서 닭을 잡고 기장밥을 지어 대접하고 그의 두 아들을 보여주었다. 이튿날 자로가 공자를 만나 고하니, 공자는 은자라 하면서 다시 찾아보게 했지만 노인은 이미 어디론가 가버리고 없었다. 그러자 자로는 그의 아들에게 공자의 뜻을 전하며 이렇게 말했다.
不仕無義, 長幼之節不可廢也, 君臣之義如之何其廢之. 欲潔其身而亂大倫. 君子之仕也, 行其義也. 道之不行, 已知之矣.
벼슬하지 아니하면 의가 없다 해도 장유의 절도를 가히 버릴 수 없거늘 군신의 의를 어찌 같이 폐하리오? 그 몸을 깨끗이 하고자 큰 인륜을 어지럽힘이로다. 군자가 벼슬함은 그 의를 행하는 것이니, 도가 행해지지 않음은 이미 아노라.<微子 7.>
인륜에 크게 다섯 가지가 있음은 앞서 滕文公章句上 제4장에서 나왔듯이 父子有親 君臣有義 夫婦有別 長幼有序 朋友有信이다. 그중 君臣之義를 지키기 위해서도 出仕를 해야 한다. 천하가 혼란하니 나만 깨끗이 하면 된다는 생각으로 은둔하는 것은 결과적으로 대륜을 흐리게 하는 것이다. 옳지 못하다는 것이다. 군자가 벼슬자리에 나서는 것은 혼란한 세상을 바로잡기 위한 것이다. 이는 개인의 名利를 위하여 출사하는 것이 아니라 그 義를 행하려는 것이다. 오히려 자기 한 몸을 깨끗이 하고자 은둔하는 것은 곧 徇利忘義인 것이다. 君臣之義란 인군과 신하가 대의를 행하고자 결합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