萬章 <上> 第 8章
第 8章
萬章問曰, 「或謂孔子於衛主癰疽, 於齊主侍人瘠環, 有諸乎?」 孟子曰, 「否。不然也。好事者爲之也。於衛主顔讎由。彌子之妻與子路之妻兄弟也。彌子謂子路曰, 『孔子主我, 衛卿可得也。』 子路以告, 孔子曰, 『有命。』 孔子進以禮, 退以義, 得之不得曰有命。而主癰疽與侍人瘠環, 是無義無命也。孔子不悅於魯衛, 遭宋桓司馬將要而殺之, 微服而過宋。是時孔子當阨, 主司城貞子爲陳侯周臣。吾聞, 觀近臣以其所爲主, 觀遠臣以其所主, 若孔子主癰疽與侍人瘠環, 何以爲孔子。」
만장이 물었다. "어떤 사람이 공자가 위나라에서는 옹저를 주인으로 하고, 제나라에서는 내시인 척환을 주인으로 섬겼다고 하는데 그런 일이 있습니까?"
맹자가 대답했다.
"아니 그렇지 않다. 호사사가 그렇게 말한 것이다. 위나라에서는 안수유를 주인으로 섬겼다. 미자의 아내와 자로의 아내가 형제였다. 미자가 자로에게 '공자가 나를 주인으로 섬기면 위나라의 경이 될 수 있다.' 고 하였는데, 자로가 가서 알리자 공자는 '명이 있었다.' 고 하였다. 공자가 예로써 나아가고 의로써 물러가며, 얻었거나 얻지 못한 것을 '명이 있었다.'고 하였다. 옹저와 내시 척환을 주인으로 섬겼다면 이것은 의도 없고 명도 없는 것이다. 공자가 노나라와 위나라에 머무는 것을 달갑게 여기지 않았는데, 송나라 환사마가 잠복하여 공자를 죽이여 한다는 소식을 접하여 허름한 옷을 입고 송나라를 지나갔다. 이때 공자가 고난을 당해 사성정자를 주인으로 섬겼는데 그는 진나라 제후인 주의 신하가 되었다. 내 듣건대, 가까이에 있는 신하는 주인이 되는 바를 보고, 멀리 있는 신하는 그 주인이 하는 바를 본다고 하였다. 공자가 옹저와 내시인 척환을 주인으로 섬겼다면 어찌 공자라고 하겠는가."
○主 舍於其家, 以之爲主人也. 癰疽 瘍醫也. 侍人 奄人也. 瘠 姓, 環 名, 皆時君所近狎之人也. 好事 謂喜造言生事之人也.
○주는 그 집에 머물면서 그로써 주인을 삼음이라. 옹저는 부스럼을 치료함이오, 시인은 엄인(내시)이라. 척은 성이오, 환은 이름이니 다 당시 인군이 가까이하고 친히 하는 바의 사람이라. 호사는 말을 지어 일 만들기를 좋아하는 사람을 이르니라.
於衛主顔讎由。彌子之妻與子路之妻兄弟也。彌子謂子路曰, 『孔子主我, 衛卿可得也。』 子路以告, 孔子曰, 『有命。』 孔子進以禮, 退以義, 得之不得曰有命。而主癰疽與侍人瘠環, 是無義無命也。
위나라에서는 안수유를 주인으로 섬겼다. 미자의 아내와 자로의 아내가 형제였다. 미자가 자로에게 '공자가 나를 주인으로 섬기면 위나라의 경이 될 수 있다.' 고 하였는데, 자로가 가서 알리자 공자는 '명이 있었다.' 고 하였다.
공자가 예로써 나아가고 의로써 물러가며, 얻었거나 얻지 못한 것을 '명이 있었다.'고 하였다. 옹저와 내시 척환을 주인으로 섬겼다면 이것은 의도 없고 명도 없는 것이다.
○顔讎由 衛之賢大夫也, 史記 作顔濁鄒, 彌子 衛靈公幸臣, 彌子瑕也. 徐氏曰, 禮主於辭遜故, 進以禮 義主於斷制故 退以義 難進而易退者也. 在我者有禮義而已, 得之不得 則有命存焉.
○안수유는 위나라의 어진 대부이니 사기에 안탁추로 지음이라. 미자는 위나라 영공이 총애하는 신하이니 미자하라. 서씨 가로대 예는 사양함을 주장하는 고로 나아감에 예로써 하고 의는 끊고 지음을 주장하는 고로 물러남에 의로써 하니, 나아감을 어렵게 하고 물러남을 쉽게 하니라. 나에게 있는 것은 예의일 뿐이요, 얻고 얻지 못함은 곧 명이 존함에 있느니라.
孔子不悅於魯衛, 遭宋桓司馬將要而殺之, 微服而過宋。是時孔子當阨, 主司城貞子爲陳侯周臣。
공자가 노나라와 위나라에 머무는 것을 달갑게 여기지 않았는데, 송나라 환사마가 잠복하여 공자를 죽이여 한다는 소식을 접하여 허름한 옷을 입고 송나라를 지나갔다. 이때 공자가 고난을 당해 사성정자를 주인으로 섬겼는데 그는 진나라 제후인 주의 신하가 되었다.
要 : 잠복하여 노리다.
○不悅 不樂居其國也. 桓司馬 宋大夫向魋也. 司城貞子 亦宋大夫之賢者也. 陳侯 名周. 按史記, 孔子爲魯司寇, 齊人饋女樂以間之, 孔子遂行適衛, 月餘 去衛適宋, 司馬魋 欲殺孔子, 孔子去至陳, 主於司城貞子. 孟子言, 孔子雖當厄難, 然 猶擇所主, 況在齊衛無事之時, 豈有主癰疽侍人之事乎!
○불열은 그 나라에 거처함을 즐거워하지 않음이라. 환사마는 송나라 대부 상퇴라. 사성정자는 또한 송나라 대부의 어진 자라. 진후는 이름이 주라. 사기를 살피건대 공자가 노나라의 사구가 되시니 제나라 사람이 여자 악사를 보내어 써 이간질하거늘 공자가 마침내 위나라로 가사 한달 남짓에 위나라를 떠나 송나라에 가시니, 사마퇴가 공자를 죽이려 하거늘 공자가 떠나 진나라에 이르사 사성 정자를 주인하시니라. 맹자가 공자가 비록 액난을 당하셨으나 그러나 오히려 주인할 바를 택하시니 하물며 제나라와 위나라에서 무사할 때에 어찌 옹저와 시인의 일이 있으리오 하시니라.
向魋 : 상퇴. 向 : 성 상. 魋 : 사람이름 퇴/복상투 추. 복상투. 아무렇게나 막 끌어 올려 짠 상투. 椎와 통함.
吾聞, 觀近臣以其所爲主, 觀遠臣以其所主, 若孔子主癰疽與侍人瘠環, 何以爲孔子。
내 듣건대, 가까이에 있는 신하는 주인이 되는 바를 보고, 멀리 있는 신하는 그 주인이 하는 바를 본다고 하였다. 공자가 옹저와 내시인 척환을 주인으로 섬겼다면 어찌 공자라고 하겠는가"
○近臣 在朝之臣, 遠臣 遠方來仕者. 君子小人 各從其類故, 觀其所爲主, 與其所主者, 而其人可知.
○근신은 조정에 있는 신하요, 원신은 먼 곳에서 와서 벼슬하는 자라. 군자와 소인이 각기 그 부류를 따르는 고로 그 주인되는 바와 다못 그 주인하는 바를 보면 그 사람을 가히 아니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