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漢詩/其他

流民嘆 - 魚無迹

柳川 2020. 5. 8. 13:08

                         流民嘆

 

                                                                                                                   

                                                                                          魚無迹

 

蒼生難!                                                백성의 어려움이여!

蒼生難!                                                백성의 어려움이여!

年貧爾無食。                                      흉년이 들어 그대들은 먹을것이 없네

我有濟爾心、                                      나는 그대들을 구제하려는 마음은 있으나

而無濟爾力。                                      그대들을 구제할 힘이 없다네

蒼生苦!                                                백성의 괴로움이여!

蒼生苦!                                                백성의 괴로움이여!

天寒爾無衾。                                      날은 찬데 그대들은 이불조차 없네

彼有濟爾力、                                      저들은 그대들을 구제할 힘은 있으나

而無濟爾心。                                      그대들을 구제할 마음이 없다네

願回小人腹、                                      원하노니, 소인의 심보를 돌려

暫爲君子廬、                                      잠시라도 군자다운 생각을 하고

暫借君子耳、                                      잠시라도 군자의 귀를 빌려

試聽小民語。                                      가난한 백성의 말을 들어 보아라

 

小民有語君不知、                               백성들 할 말 있으나 임금은 알지 못하고

今世蒼生皆失所。                               올해 백성들 모두 살 곳을 잃었다네

北闕雖下憂民詔、                               대궐에선 비록 백성들 근심하는 조서를 내리건만

州縣傳看一許紙。                               고을에선 일개 빈 종이로 돌려보는구나

特遣京官問民瘼、                               특별히 중앙의 관원을 파견하여 민폐를 물어보지만

馹騎日馳三百里。                               역마타고 하루에 삼백리를 달려가 버리는구나

吾民無力出門限、                               우리 백성 문턱 나설 기력도 없는데

何暇面陳心內事。                               어느 겨를에 속사정 대면하여 하소연 하나

縱使一郡一京官、                               가령 고을마다 경관이 한 사람씩 간다해도

京官無耳民無口。                               경관은 귀가 없고 백성은 말할 힘이 없으니

不如喚起汲淮陽、                               회양을 다스린 급장유를 불러와서

未死孑遺猶可救。                               죽지않고 외롭게 살아남은 백성들 구제함만 못하리라.

 

 

汲長孺 : 漢武帝때 直臣이었던 급암(汲黯)의 字이다. 급암은 무제 때에 동해 태수 ‘회양’의 태수로 선정을 베푼 인물로 유명하다

와치회양(臥治淮陽)이라는 말도 생겼는데 ‘가만히 누워 있으면서도 회양을 잘 다스렸다’는 뜻이다.

 

 

 

魚無迹

조선 성종~연산군 시기의 시인(년도미상). 조선 전기의 문인. 자는 잠부(潛夫). 호는 낭선(浪仙). 김해에서 살았다. 사직(司直)을 지낸 효량(孝良)의 아들이며, 성종·연산군 연간에 관인으로 현달했던 세겸(世謙)·세공(世恭)과 재종형제간이다. 그러나 모친이 관비(官婢)였으므로 관노(官奴)로 등재되었다가 후에 면천(免賤)되었다.

어린시절 아버지를 따라 새벽에 절간을 지나면서 "청산이 손님이 오시매 예절을 차리어/백운의 갓을 머리에 썼도다"(靑山敬客至頭戴白雲冠)라는 시를 지을 정도로 뛰어난 시재(詩才)가 있었다. 신분상 과거에도 응시하지 못하고 불우한 생애를 살았다. 율려습독관이라는 서얼에게 주어지는 벼슬을 한 적도 있었다.

 

1501년(연산군 7) 김해에서 장문의 상소를 올렸는데 향락의 근절, 민생의 보호, 군주다운 자세 확립, 선비의 각성 및 언로(言路)의 창달을 간절히 소망하는 글이었다. 이 신유상소(辛酉上疏)는 〈조선왕조실록〉 연산군 7년 신유 7월 을해조(乙亥條)에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상소문은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김해의 원이 과일나무에까지 세금을 부과하자 한 농부가 매실나무를 도끼로 찍어 베는 것을 보고 〈작매부 斫梅賦〉를 지어 학정을 신랄하게 비판했다. 김해 원이 크게 노해 잡아 가두려 하자 도망하여 유랑하다가 어느 역사(驛舍)에서 객사했다. 〈속동문선〉·〈국조시산 國朝詩刪〉 및 중국의 〈명시종 明詩綜〉 등에 그의 시가 실려 있다. 〈유민탄 流民嘆〉·〈신력탄 新曆嘆〉·〈미인수 美人睡〉·〈봉설 逢雪〉 등의 시 가운데 〈유민탄〉은 3·5·7언의 고시(古詩)로서 유민을 바라보며 비통해하는 내용인데, 허균이 이 시를 가리켜 조선 전기의 최대 걸작이라고 격찬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