節義傳/魯孝義保, 楚成鄭瞀, 晉圉懷嬴
魯孝義保
孝義保者,魯孝公稱之保母,臧氏之寡也。初,孝公父武公與其二子長子括、中子戱朝周宣王,宣王立戱爲魯太子。武公薨,戱立,是爲懿公。孝公時號公子稱,最少。義保與其子俱入宮,養公子稱。括之子伯御與魯人作亂,攻殺懿公而自立。求公子稱於宮,將殺之。 義保聞伯御將殺稱,乃衣其子以稱之衣,臥於稱之處,伯御殺之。義保遂抱稱以出,遇稱舅魯大夫於外。舅問稱死乎,義保曰:「不死,在此。」舅曰:「何鎰免?」義保曰:「以吾子代之。」 義保遂梨。十一年,魯大夫皆知稱之在保。於是請周天子殺伯御立稱,是爲孝公。魯人高之。論語曰:「可以託六尺之孤。」其義保之謂也。
頌曰:伯御作亂,由魯宮起,孝公乳保,臧氏之母,逃匿孝公,易以其子,保母若斯,亦誠足恃。
효의보(孝義保)는 노(魯)나라 효공(孝公) 칭(稱)의 보모(保母)이며 장씨(臧氏)집안의 과부이다. 애초에 효공(孝公)의 부친인 무공(武公)은 두 아들인 장자(長子) 괄(括), 둘째 아들인 희(戱)을 데리고 조정에 들어가 주(周)나라 선왕(宣王)을 알현하였는데 선왕은 희를 노나라의 태자로 삼았다. 무공이 세상을 떠나자 희가 군주가 되니 이 사람이 바로 의공(懿公)이다. 효공(孝公)은 당시 공자 칭(稱)이라 불리었는데 가장 어렸다. 의보(義保)는 아들을 데리고 궁에 들어가 공자 칭을 양육하였다.
공자 괄(括)의 아들 백어(伯御)가 노나라 사람들과 더불어 난을 일으켜 의공을 공격하여 살해하고 스스로 군주가 되었다. 또 궁에서 공자 칭을 찾아 죽이려 하였다. 의보는 백어가 칭을 죽이려 한다는 소식을 듣고 그녀의 아들에게 칭의 옷을 입혀 칭의 처소에 눕혀 놓았는데 백어가 칭으로 알고 그 아들을 죽였다.
의보가 마침내 칭을 품에 안고 탈출하여 밖에서 칭의 외숙부인 노나라 대부를 만났다. 칭의 외숙부가 칭의 생사를 묻자 의보가 말했다. "죽지 않았습니다. 여기 계십니다."
"어떻게 죽음을 면하였소?"하고 물으니,
"제 아들을 칭으로 위장하였는데 제 아들이 대신 죽었습니다."
의보가 그 외삼촌을 따라 갔다. 11년이 지난 후 노나라 대부들은 모두 공자 칭이 의보에게 있음을 알게 되었다.
그리하여 대부들이 주나라 천자에게 백어를 죽이고 공자 칭을 옹립해줄 것을 청하여 칭이 군주가 되니 바로 효공(孝公)이다. 노나라 사람들이 그녀를 훌륭하게 여겼다.
논어(論語)에, "6척의 외로운 사람을 맡길 수 있다.(論語/泰伯/六章)"함은 의보를 말하는 것이다.
송에, "백어가 난을 일으킨 것은 노나라 궁에서 일어났는데 효공의 유보(乳保 : 유모겸 보모)인 장씨 집안의 어머니가 효공을 피하게 하여 숨기고 그 아들로 바꿔놓아 대신 죽게 했으니 보모가 이와 같다면 진실로 믿을만 하다."고 하였다.
楚成鄭瞀
鄭瞀者,鄭女之嬴媵,楚成王之夫人也。初成王登臺,臨後宮,宮人皆傾觀,子瞀直行不顧,徐步不變。王曰:「行者顧。」子瞀不顧,王曰:「顧,吾以女爲夫人。」子瞀復不顧,王曰:「顧,吾又與女千金而封若父兄子。」瞀遂行不顧。於是王下臺而問曰:「夫人,重位也。封爵,厚祿也。壹顧可鎰之,而遂不顧,何也?」子瞀曰:「妾聞婦人以端正和顔爲容。今者,大王在臺上而妾顧,則是失儀節也。不顧,告以夫人之尊,示以封爵之重,而後顧,則是妾貪貴樂利以忘義理也。苟忘義理,何以事王?」
瞀 : 어두울 무. 어둡다. 눈이 흐리다. 어리석다. 눈을 내리뜨고 공손히 보다. 정면으로 보지 않는 모양. 흐트러지다. 눈이 흐리다. 번민하다.
정무(鄭瞀)는 정나라 여인으로 아름다운 시녀이며 초(楚)나라 성왕(成王)의 부인이다. 처음에 성왕이 누대(樓臺)에 올라 후궁을 내려다 보는데 궁인들이 모두 올려다 보고 있음에도 자무(子瞀)는 직진(直進)하며 돌아보지도 않고 천천히 걸어가는데 변함이 없었다.
왕이, "걸어가는 자는 나를 돌아보라." 하는데도 자무는 돌아보지 않았다.
왕이, "나를 보라. 내가 너를 부인으로 삼겠다."고 해도 자무는 또 돌아보지 않았다.
왕이, "나를 보라. 내가 또 너에게 천금을 내리고 너의 부형(父兄)과 그 아들이 있다면 벼슬을 내리겠다." 자무는 느긋하게 걸어가면서도 돌아보지 않았다. 그리하여 왕이 누대에서 내려와 물었다.
"부인(夫人)은 귀중한 자리이다. 벼슬에 봉하면 녹봉(祿俸)이 후하다. 한번 돌아 보면 그것들을 받게 되는데 결국 돌아보지 않은 것은 어째서인가?"
자무가 대답했다. "제가 듣기로 여인은 단정하고 온화한 얼굴로 몸가짐을 갖는다 하였습니다. 지금 대왕께서 누대 위에서 저에게 돌아보라 하셨는데 이것은 제가 예의(禮儀)와 법도(法道)를 잃게 하시는 것입니다. 제가 돌아보지 않으니 부인으로 높여 주시겠다 하시고, 저의 부형(父兄)을 벼슬에 봉하여 무겁게 쓰시겠다고 하셨는데, 그 후에 돌아 본다면 이는 제가 귀한 신분을 탐하고 이로운 것을 즐겨 의리를 잊게 되는 것입니다. 의리를 잊는다면 무엇으로 왕을 섬기겠습니까?"
王曰:「善。」遂立以爲夫人。處期年,王將立公子商臣以爲太子。王問之於令尹子上,子上曰:「君之齒未也,而又多寵子。旣置而黜之,必爲亂矣。且其人蜂目而豺聲,忍人也,不可立也。」王退而問於夫人子瞀,曰:「令尹之言信可從也。」王不聽,遂立之。其後商臣以子上救蔡之事譖子上而殺之。子瞀謂其保曰:「吾聞婦人之事在於饋食之間而已。雖然,心之所見,吾不能藏。夫昔者,子上言太子之不可立也,太子怨之,譖而殺之。王不明察,遂辜無罪。是白黑顚倒,上下錯謬也。王多寵子,皆欲得國。太子貪忍,恐失其所。王又不明,無以照之。庶嫡分爭,禍必興焉。」
왕은, "훌륭하다." 하고는 마침내 부인으로 삼았다.
1년이 지나자 왕은 공자 상신(商臣)을 세워 태자로 삼으려 하였다. 왕이 영윤(令尹) 자상(子上)에게 의견을 물은 바,
자상이 대답했다.
"군주께서는 연세가 아직 젊으시고 총애하는 아들들이 많습니다. 태자로 세웠다가 내치시면 반드시 난이 일어날 것입니다. 또 그 사람(商臣)은 벌(蜂)의 눈과 목소리가 승냥이(豺)의 소리로 잔인한 사람입니다. 태자로 세워서는 안됩니다."
왕이 퇴궐하여 부인 자무에게 물으니 자무가 대답했다.
"영윤의 말이 믿을만 하니 따르는 것이 좋겠습니다."
왕이 듣지 않고 상신을 태자로 세웠다. 그 후 상신은 자상을 채(蔡)나라를 구원한 일로 참소하여 자상을 죽였다.
이를 본 자무가 보모에게 말하였다.
"내가 듣기로 아녀자의 일은 부엌일에만 있을 뿐이라 하였소. 그렇다 할지라도 마음속의 소견을 나는 감출 수가 없소.
지난 날 자상이 그를 태자로 세워서는 안된다고 하였는데 태자가 원한을 품고 자상을 참소하여 죽였소. 왕이 밝게 살피지 않고 죄없는 신하를 죽인 것이오. 이것은 흑과 백이 뒤바뀌고 위아래가 뒤집힌 것이오. 왕에게는 총애하는 아들이 많고 모두 나라를 차지하려 하고 있소. 태자는 탐욕스럽고 잔인하여 그 소임을 잃을까 두렵소. 왕 또한 현명치 못하니
그 사실들을 알아차릴 수 없을 것이오. 결국 적자와 서자간에 분쟁이 일어날 것이니 화(禍)가 반드시 닥칠 것이오."
後王又欲立公子職。職,商臣庶弟也。子瞀退而與其保言曰:「吾聞信不見疑,今者王必將以職易太子,吾懼禍亂之作也。而言之於王,王不吾應。其以太子爲非吾子,疑吾譖之者乎!夫見疑而生,衆人孰知其不然。與其無義而生,不如死以明之。且王聞吾死,必寤太子之不可釋也。」遂自殺。保母以其言通於王。是時太子知王之欲廢之也,遂興師作亂,圍王宮。王請食熊蹯而死,不可得也,遂自經。
君子曰:「非至仁,孰能以身誡。」
詩曰:「舍命不渝。」此之謂也。
頌曰:子瞀先識,執節有常,興於不顧,卒配成王,知商臣亂,言之甚强,自嫌非子,以殺身盟。
蹯 : 짐승의 발바닥 번. 짐승의 발바닥. 짐승의 발자국.
그 후 왕은 또 공자 직(職)을 태자로 세우려고 하였다. 직은 태자인 상신의 서제(庶弟 : 서자인 동생)이다.
자무가 물러나와 보모에게 말하였다.
"내가 듣기로 신의(信義)는 의심을 보이지 않는 것이오. 지금 왕은 반드시 직(職)으로 태자를 바꾸려 할 것인데 내가 두려워하는 바는 화난(禍亂)이 일어나는 것이오. 왕께 말을 하였으나 왕은 내 말에 응답이 없소. 왕께서는 태자는 내 아들이 아니라 하시니 내가 태자를 참소한 자가 아닌가 의심할 것이오! 의심을 받으면서 산다 해도 많은 사람들 중 누가 그렇지 않다는 것을 알겠소. 의(義)가 없이 사는 것 보다는 죽어서 그것을 밝히는 것만 같지 못하오. 또 왕께서 내가 죽은 것을 알게 되면 반드시 태자를 폐하여서는 안된다는 것을 깨닫게 될 것이오." 그리고는 마침내 자살하고 말았다.
보모가 그 말을 왕에게 알렸다. 이때 태자는 왕이 자신을 폐하려 한다는 것을 알고 군사를 동원하여 난을 일으켜 왕궁을 포위하였다. 왕은 곰의 발바닥 요리를 먹고 죽겠다고 청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스스로 목매어 죽었다.
군자는, "지극한 인(仁)이 아니면 누가 능히 몸으로써 경계할 것인가."라 하였다.
시에, "받은 명 변치 않네.(國風/鄭風/羔裘)."라 함은 이를 말한 것이다.
송에, "자무는 앞서 알고 있는 것으로 법도를 지켜 떠떳함이 있어 돌아보지 않은 것에서 일어나 마침내 성왕의 배필이 되었는데 태자인 상신이 난을 일으킬 것을 알고 그것을 매우 강경하게 간하였으나 스스로 자식이 아니라고 참언했다는 혐의를 꺼려 자신의 죽음으로 결백을 밝혔다."고 하였다.
晉圉懷嬴
懷嬴者,秦穆之女,晉惠公太子之妃也。圉質於秦,穆公以嬴妻之。六年,圉將逃歸,謂嬴氏曰:「吾去國數年,子父之接忘,而秦晉之友不加親也。夫鳥飛反鄕,狐死首邱,我其首晉而死,子其與我行乎?」嬴氏對曰:「子,晉太子也。辱於秦,子之欲去,不亦宜乎!雖然,寡君使婢子侍執巾櫛以固子也。今吾不足以結子,是吾不肖也。從子而歸,是棄君也。言子之謀,是負妻之義也, 三者無一可行。雖吾不從子也, 子行矣。吾不敢泄言,亦不敢從也。子圉遂逃歸。
君子謂懷嬴善處夫婦之間。
頌曰:晉圉質秦,配以懷嬴,圉將與逃,嬴不肯聽,亦不泄言,操心甚平,不告所從,無所阿傾。
圉 : 마부 어. 마부, 마굿간. 감옥. 변방, 국경. 막다. 방어함.
회영(懷嬴)은 진(秦)나라 목공(穆公)의 딸로 진(晉)나라 혜공(惠公)의 태자 어(圉)의 비이다. 어가 진(秦)나라에 볼모로 가 있을 때 진(秦)나라 목공은 딸 영(贏)을 어(圉)에게 출가시켰다. 6년이 지났을 때 어는 진(秦)나라에서 탈출하여 고국인 진(晉)나라로 돌아가려고 부인 영씨(嬴氏)에게 말했다.
"내가 고국을 떠난지 몇년이 지나 아들로써 부친을 만나 뵌 것도 기억이 가물가물한데, 진(秦)나라와 진(晉)나라와의 우호관계가 더 친밀해지는데 도움도 되지 않소. 무릇 새도 고향으로 날아 돌아가고 여우도 죽을 때는 머리를 고향언덕을 향한다고 하는데, 나 역시 머리를 진(晉)나라로 향하여 죽을 것이니 그대는 나와 함께 진(晉)나라로 돌아가지 않겠소?"
영씨가 대답했다.
"그대는 진(晉)나라의 태자입니다. 진(秦)나라에서 욕을 당하고 있으니 그대가 고국으로 돌아가려 하는 것 또한 당연하지 않겠습니까! 그렇다 해도 저희 나라 군주께서는 자식인 저로 하여금 그대의 수발을 들어 그대를 붙잡아두게 하였습니다. 지금 제가 그대와 함께 행동하기에 족하지 않으니 이는 제가 모자란 탓입니다. 그대를 따라가면 제 부친이신 군주를 버리게 되는 것입니다. 또 제가 그대에게 계책을 말하고도 함께 하지 못하는 것은 아내의 도리를 버리는 것이니 세 가지 중 한 가지도 행할 수 없습니다. 지금 내가 그대를 따라가지 못한다 해도 그대는 떠나십시오. 저는 감히 누설하지도 않고 또 그대를 감히 따라가지도 못할 것입니다."
태자 어(圉)는 마침내 진(秦)나라에서 도망하여 고국인 진(晉)나라로 돌아갔다.
군자는, "회영(懷嬴)이 부부간의 문제에 잘 처신하였다."고 하였다.
송에, "진(晉)나라 태자 어(圉)가 진(秦)나라에 볼모로 가 있을 때 진(秦)나라 군주가 딸 회영(懷嬴)을 어와 짝지워 주었는데 어가 함께 도망하여 고국인 진(晉)나라로 돌아가자 하였으나 영이 듣지 않고 누설도 하지 않으면서 마음을 다잡아 매우 평온하게 태도를 유지했고 따라가겠다 하지도 않고 아첨하는 바도 없었다."고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