柳川 2021. 2. 27. 10:26

                                              白頭吟

 

 

 

一.

 

錦水東北流、                                금수는 동북으로 흘러,           

波蕩雙鴛鴦。                                원앙 한 쌍을 갈라놓았네.                

雄巢漢宮樹、                                수컷은 한나라 궁전에 둥지를 틀고,                                   

雌弄秦草芳。                                암컷은 진나라 풀밭에서 놀고 있네.        

寧同萬死碎綺翼、                        만번 죽고 아름다운 날개가 찢기더라도,        

不忍雲間兩分張。                        차마 구름사이에서 둘로 나뉘어지지는 못하겠네.

此時阿嬌正嬌妒、                        이 때 아교는 질투에 빠져,                            

獨坐長門愁日暮。                        장문궁에 홀로 앉아 날이 저물도록 시름에 잠겨있네.         

但願君恩顧妾深、                        바라는 것은 황제가 깊이 보살피는 은총뿐, 

豈惜黃金買詞賦。                        어찌 황금으로 사부를 사들이는 것을 아끼겠는가!                                     

 

 

錦水 : 蜀지방에 있는 錦江으로 두 갈래로 흐른다. 지금의 四川省 成都市에 있는 濯錦江 또는 蜀江이라고도 하는 강.

波蕩 : 흔들리다. 출렁거리다란 뜻인데 여기에서는 각 문자의 뜻을 살려야 될 듯.   波 : 분규, 갈등, 물따라 가다.   蕩 : 흩어지다.

阿嬌 : 漢武帝의 후비 陳皇后의 이름이다. ⟪한무고사漢武故事⟫에 다음 글이 있다.

         膠東王數歲, 公主抱置膝上問曰: 兒欲得婦否? 長主指左右長御百餘人, 皆云不用, 指其女: 阿嬌好否? 笑對曰: 好, 若得阿嬌作婦, 

         當作金屋貯之.

長門 :  陳皇后가 한무제의 사랑을 잃은 뒤에 지낸 長門宮을 가리킨다.

買詞賦 : 陳皇后가 한무제의 총애를 잃고 장문궁으로 들어간 뒤, 司馬相如에게 천금을 주고 산 「長門賦」 덕분에 한무제의 총애를

         다시 받게 되었다고 전한다. ‘將買賦’라고도 한다.

 

 

 

相如作賦得黃金、                        사마상여가 부를 지어 황금을 득하고는,    

丈夫好新多異心。                        장부가 새로운 것을 좋아하여 다른 마음이 많았네.

一朝將聘茂陵女、                        하루아침에 무릉여인을 맞아들이려 하자,          

文君因贈白頭吟。                        탁문군은 「백두음」이란 시를 지어 상여에게 보냈다네.

東流不作西歸水、                        동으로 흐르는 물은 서로 되돌리자 못하고,

落花辭條羞故林。                        떨어진 꽃잎은 나무가지에 숲이 부끄럽다 하네.

兔絲固無情、                                토사덩굴은 본디 무정하여,                             

隨風任傾倒。                                바람이 부는대로 휩쓸린다네.              

誰使女蘿枝、                                누가 여라덩굴로 하여금,       

而來强縈抱。                                나무가지에 와서 강제로 둘러싸네 하였는가.

 

 

辭條 : 가지를 떠나는 것을 가리킨다.  南齊書⋅王儉傳에 귀향을 바라는 왕검이 황제에게 사직을 청하며 다음같은 글을 올렸다.

        秋葉辭條, 不假風飆之力, 太陽躋景, 無俟螢燭之輝.

        가을에 나뭇잎이 가지에서 떨어지는 것은 바람이 사나워 그런 것이 아니고 아니고,  아침에 해가 환하게 떠오르는 것은 희미한

        불빛을 기다리지 못해서가 아닙니다.

縈 : 얽힐 영. 얽히다. 두름. 굽다.

 

 

 

兩草猶一心、                                토사와 여라는 한 마음인데,

人心不如草。                                사람의 마음은 풀만도 못하네. 

莫卷龍鬚席                                용수 돗자리 치우지 말고 

從他生網絲。                                거미줄을 쳐도 놔둘지어다.

且留琥珀枕、                                또 호박벼개도 놔두어라.   

或有夢來時。                                혹 꿈에라도 찾아오리라.

覆水再收豈滿杯、                        엎지른 물 다시 담아도 어찌 원래로 돌아가랴,

棄妾已去難重回。                        저를 버리고 이미 떠났으니 다시 되돌리기 어렵도다.

古來得意不相負、                        옛날부터 뜻을 이루고도 서로 버리지 않은 사람은,

祗今惟見青陵台。                        오로지 청룡대에서나 볼 뿐이로다.

 

 

龍鬚席 : 용수초(龍鬚草), 즉 도롱이풀 또는 골풀로 짠 자리를 가리킨다.

靑陵臺 : 육조 때 쓴 郡國志에 다음 글이 전한다.  宋王納韓憑之妻, 使憑運土筑靑陵臺, 至今臺迹依約.

            송왕이 한빙의 아내를 붙잡아놓고 한빙을 시켜 흙을 날라 청릉대를 쌓게 했는데 지금도 그 흔적이 흐릿하게 남아 있는

            것 같다.

            한빙이 자살하고 한빙의 아내도 청릉대에서 몸을 던져 죽은 이후 청릉대는 변치 않는 사랑을 나타내는 전고가 되었다.

            太平寰宇記에도 河南道 濟州 鄆城縣에 청릉대가 있다고 한다.

 

 

 

 

二.

 

錦水東流碧、                                금수가 동으로 흐르며 푸른데,         

波蕩雙鴛鴦。                                원앙 한 쌍을 갈라 놓았네.

雄巢漢宮樹、                                수컷은 한나라 궁전에 둥지를 틀고, 

雌弄秦草芳。                                암컷은 진나라 풀밭에서 놀고 있네.     

相如去蜀謁武帝、                        상여는 촉을 떠나 무제를 알현하고,

赤車駟馬生輝光。                        관리가 되어 네 말이 끄는 수레가 빛났도다.      

一朝再覽大人作、                        어느 아침 재차 대인부를 보신 후,

萬乘忽欲凌雲翔。                        천자(무제)는 홀연히 구름위로 날아오른 듯 하였다.

聞道阿嬌失恩寵、                        듣자니 아교가 천자의 은총을 잃고,

千金買賦要君王。                        천금으로 부를 사 황제의 마음을 돌리려 했다네.

 

赤車駟馬 : 한나라 때 관리들이 타고 다니던 수레를 가리킨다. 華陽國志⋅蜀志에 다음 글이 있다.

              城北十里有升仙橋, 又送客觀. 司馬相如初入長安, 題市門曰: 不乘赤車駟馬, 不過汝下也.

              성도성 북쪽 십 리 되는 곳에 승선교와 송객관이 있는데, 사마상여가 처음 장안으로 떠날 때 성도성 문에 ‘말들이 끄는

              붉은 칠이 된 수레를 타지 않고서는 네 밑을 지나가지 않을 것’이라고 써두었다.

大人作 : 신선이 되기를 바라는 한무제를 위해 사마상여가 쓴 大人賦를 가리킨다. 한무제가 보고 飄飄有凌雲之氣, 似遊天地之間意

           (구름 위를 가볍게 날아다니는 기운을 갖고 하늘과 땅 사이에서 노니는 뜻을 닮았다)’라고 하며 좋아했다고 한다.

 

 

 

相如不憶貧賤日、                        상여는 옛 어려웠던 시절을 모두 잊고,

位高金多聘私室。                        지위가 높고 부해지자 소실을 들이려 하였네.

茂陵姝子皆見求、                        무릉의 미인들 모두 보고 찾으니,

文君歡愛從此畢。                        문군의 기쁨과 사랑은 이로써 끝났다네.

淚如雙泉水、                                두줄기 눈물이 샘솟듯 하고,

行墮紫羅襟。                                눈물이 흘러 자주 비단 옷깃에 떨어졌네.   

五更雞三唱、                                오경에 닭이 세번 울때 일어나,

淸晨白頭吟。                                새벽녘에 백두음을 지었네.

長吁不整綠雲鬢、                        장탄식하며 흐트러진 머리도 다듬지 않고, 

仰訴青天哀怨深。                        하늘을 우러러 하소연하는데 슬픔과 원망이 사무쳤다. 

城崩杞梁妻、                                기량의 아내의 눈물로 성이 무너졌는데,

誰道土無心。                                누가 흙이 무심하다고 말하겠는가.

東流不作西歸水、                        동으로 흐르는 물은 서로 되돌리자 못하고,

落花辭枝羞故林。                        떨어진 꽃잎은 나무가지에 숲이 부끄럽다 하네.

 

 

綠雲 : (中)아름다운 검은 머리. 윤기 흐르는 검은 머리.      鬢 : 살쩍 빈. 살쩍, 귀밑 털. 

杞梁妻 : 齊나라 기량식(杞梁殖)의 아내. 제나라 장공(莊公)의  거(筥)나라를 공격때 기량식이 전사하였는데 슬하에 자녀도 없을뿐아니라

           일가친척도없어 남편의 시신을 성아래에 놓고 통곡을 하니 성안에 있는 사람들은 감동을 하고 길을 가는 행인들이 눈물을

           뿌리지 않는 자가 없었는데 10일이 지나자 성(城)이 무너졌다.  <劉向 列女傳 貞順傳>

 

 

 

頭上玉燕釵、                                마리에 꽂은 옥비녀,

是妾嫁時物。                                내가 시집올때 가져온 것이네. 

贈君表相思、                                그대에게 사랑의 표시로 주었는데,

羅袖幸時拂。                                비단소매 어쩌다 스칠 때가 있으려나.     

莫卷龍鬚席、                                용수 돗자리 치우지 말고,

從他生網絲。                                거미줄 쳐도 내버려둘지어다.

且留琥珀枕、                                또 호박 벼개도 내버려두세요.

還有夢來時。                                꿈에라도 돌아오려나.

鷫鸘裘在錦屏上、                        비단병풍에 걸려 있는 숙상 갓옷,

自君一掛無由披。                        그대가 걸어놓은 이래 입은 일이 없었네.

妾有秦樓鏡、                                나에게는 진루경이 있어, 

照心勝照井。                                마음을 비춰보는데 우물보다 낫다네.

愿持照新人、                                가져다가 새 사람 비춰보고,

雙對可憐影。                                가련한 내 모습과 비교해 볼지어다. 

覆水卻收不滿杯、                        엎지른 물 다시 담아도 원래대로 채우지 못하고,

相如還謝文君回。                        상여가 돌아와 사과하면 내 마음 돌아설까.

古來得意不相負、                        옛부터 뜻을 이루고도 서로 버리지 않은 사람은, 

祗今惟有青陵台。                        오직 청릉대에 있는 사람뿐이리라.

 

 

鷫 : 새이름 숙. 새 이름. 서쪽을 지킨다는 신조(神鳥).            鸘 : 鷞과 同字. 새 이름. 서방(西方)을 지키는 신조(神鳥). 매.

鷫鸘 : 【說文】鷫鷞也。五方神鳥,東發明,南焦明,西鷫爽,北幽昌,中央鳳皇。一作鷫鸘。 【司馬相如·上林賦】鴻鷫鵠鴇。

        【西京雜記】司馬相如還成都,居貧,以所著鷫鸘裘,就市人貰酒,與文君爲歡。

秦樓鏡 : 옛날에 함양궁咸陽宮에 있었다고 전해지는 사람의 몸과 마음속까지도 비쳐볼 수 있었다는 거울.

 

 

[解說]

 

이백의 초기 작품으로 그가 고향 촉을 떠나기 전 성도를 유람할 때, 옛사람 사마상여와 탁문군, 두사람의 고사를 접하고 성공한 뒤 첩을 들이려는 사마상여를 원망하며 탁문군이 지었다는 「백두음」에 관한 이야기를 듣고 사랑을 잃은 여인의 슬픔과 변함없는 사랑을 원하는 여인의 마음에 대해 시를 지어 읊은 것이다. 

 

 

☞ 司馬相如 [BC179? ~ BC118]

 

촉군() 성도() 출신으로 자()는 장경()이다. 학업을 마치자 명재상 인상여()의 사람됨을 흠모해 이름을 상여()라고 고쳤다. 돈을 내고 낭관()이 되었고, 경제()를 섬겨기다가 무기상시()로 올랐으나, 경제는 사부()를 좋아하지 않아 그를 달가워하지 않았다.

이때 마침 양효왕()이 조정으로 들어와 황제를 알현했는데, 당대의 문장가들인 제()나라의 추양(), 회음()의 매승(), 오현()의 장기() 부자등의 유세객들이 따라왔다. 사마상여는 그들을 보고 좋아해서 병을 빌미로 관직을 버리고 양나라로 가서 양효왕의 문객이 되었는데 이들과 몇 년 동안 함께 지내며 「자허부()」를 지었다. 양효왕이 죽은 후 고향에 돌아왔으나 집안이 가난하고 할 일이 없어 불우하게 지냈는데 평소 지기인 임공()의 현령인 왕길()의 도움을 받아 지냈다. 그 때 임공의 부호인 탁왕손()의 연회에 참석했는데 그 곳에서 탁왕손의 딸인  탁문군()과 알게 되고 첫눈에 서로 마음이 통한 두 사람은 사랑의 도피행각을 벌인다. 처음에는 고생을 하였으나 결국 처가의 도움을 받아 무제(武帝)가 자허부를 읽은 것을 계기로 발탁되었다.  <史記 司馬相如列傳>

 

탁문군과 나눈 사랑 이야기로 오랜 세월 인구에 회자되었다. 루쉰(魯迅)은 《한문학사강요漢文學史綱要》에서 ‘武帝時文人, 賦莫若司馬相如, 文莫若司馬遷(무제 때 문인 중에 부에서는 사마상여를 따를 사람이 없었고, 문장에서는 사마천을 따를 사람이 없었다).’고 했다. 

 

 

☞ 卓文君

 

이름은 문후(文後), 사마상여의 아내로 잘 알려진 인물이다. 四川 臨邛의 거부였던 탁왕손의 딸로 음률에 밝고 문장에도 뛰어나 채문희(蔡文姬), 상관완아(上官婉兒), 이청조(李淸照)와 함께 중국의 고대 4대재녀四大才女 중 한 사람으로 꼽히는 인물이다. 

16세에 결혼했으나 바로 남편이 세상을 떠나 친정으로 돌아와 지내던 중, 17세이던 때 집에서 열린 연회에서 사마상여를 만났고, 사마상여가 연주한 「봉구황(鳳求凰)」이란 곡을 듣고 마음을 빼앗겨 그날 밤으로 두 사람이 사랑의 도피행각을 벌인 뒤 사천에서 술집을 열어 연명하였다. 나중에 소문을 들은 탁왕손이 주위의 권고로 두 사람을 후원한 뒤로 형편이 좋아졌다. 한무제 때 이름이 알려진 사마상여가 무릉에서 첩을 맞이하려는 것을 알아챈 탁문군이 「백두음」을 지었고, 이것을 본 상여가 마음을 돌려 부인에게 돌아왔다고 전하지만 사랑을 끝내 회복하였는지는 설이 갈린다.

 

 

 

※ 此際에 두 사람과 관련된 당사자의 시를 모두 올린다.

 

鳳求凰

 

鳳兮鳳兮歸故鄕、                           봉이여! 봉이여!  고향에 돌아왔도다,
遊四海求其凰。                           천하를 날아다니며 황을 찾았도다.
時未遇兮無所將、                           때를 만나지 못해 찾지 못했느나,
何悟今夕升斯堂。                           오늘밤 여기에 올 지 누가 알았으랴.

    
有艶淑女在閨房、                           아름다운 여인이 규방에 있어,
室邇人遐毒我腸。                           방은 가까운데 사람은 멀어 애간장을 태우는구나
何緣交頸爲鴛鴦、                           무슨 인연으로 목 비비는 원앙이 될까.
胡頡頏兮共
翔。                           어찌 함께 하늘을 날아다닐까!


凰兮凰兮從我棲、                           황이여 황이여, 나를 따라와 살자꾸나,
得托
尾永爲妃。                           꼬리 비비며 영원한 짝을 삼으리라.
交情通體心和諧、                           정을 나누고 몸을 통하고 마음이 화합하여,
中夜相從知者誰。                           깊은 밤 서로 다가간다 해도 그 누가 알리오.
雙翼俱起翻高飛、                           두 날개를 활짝 펴고 높이 날아올라,
無感我思使於悲。                           내 마음 감응 못해 나를 슬프게 하지마오.

 

孳 : 부지런할 자. 부지런하다. 불다. 우거지다. 낳다. 

 

 

 

<卓文君> 白頭吟   

                                                  

春華競芳五色素, 琴尙在御, 而新聲代故。錦水有鴛, 漢宮有木彼物而新。嗟世之人兮!  瞀于淫而不悟。 朱弦斷明鏡缺。朝露晞芳時歇, 白頭吟傷離別。努力加餐勿念妾。錦水湯湯, 與君長訣。

 

봄날의 꽃은 오색을 바탕으로 다투어 향기를 뿜는데, 거문고는 아직 연주되어 새로운 곡이 옛 곡을 대신하네. 금수의 원앙 수컷은 한나라 궁궐의 나무에 둥지를 틀고 새로운 사람을 찾네. 오 ! 세상 사람들아 !  여색에 눈이 멀어 깨닫지 못하는가. 거문고 줄 끊어지고 거울에 흠집이 생겼네. 아침이슬 마르고 꽃 향기도 없을 때 백두음을 지어 상한 마음으로 헤어지려 하도다. 식사 잘 하고 나를 생각하지 마시라.

넓고 세차게 흐르는 금수에 맹세하나니 그대에게 영원한 이별을 고하노라. 

 

 

皚如山上雪,皎若雲間月。    희기는 산위의 눈같고 밝기는 구름 사이의 달과 같네. 

聞君有兩意,故來相決絕。    듣건대 그대에게 두 마음이 있다는데 그래서 결별하려 하노라.

 

今日斗酒會,明旦溝水頭。    오늘 술자리를 마치면 내일 아침에는 개울가에 있을 것.  

躞蹀御溝上,溝水東西流。    개울가에 나아가서는 물 따라 동서로 헤어지겠지.

 

淒淒復淒淒,嫁娶不須啼。    슬프고 슬프도다. 결혼을 하면 모름지기 우는 일이 없어야지.

得一心人,白頭不相離。    한결같은 마음의 사람과 맺어져 늙도록 헤어지는 일이 없어야 하리.

 

竹竿何嫋嫋,魚尾何簁簁。    대나무가지는 어찌 하늘거리고 물고기 꼬리는 어찌 퍼덕거리는가.

男兒重意氣,何用錢刀爲。    남아는 의기를 중히 여기는데 어찌 돈쓰기를 위하는 것인가.

 

 

白頭吟 : 樂府詩集 相和歌辭 楚調曲에 실린 시 제목西京雜記에 다음 글이 나온다.

          司馬相如將聘茂陵人女爲妾, 卓文君作白頭吟以自絶, 相如乃止.

 

瞀 : 어두울 무. 어둡다. 어리석다. 눈이 흐리다. 눈을 내리뜨고 공손히 보다. 정면으로 보지 않는 모양번민하다. 현기증. 

皚 : 흴 애. (서리나 눈빛이) 희다.              躞 : 걸을 섭. 걷다. 걸어가는 모양.     蹀 : 밟을 접. 밟다. 잔걸을 으로 걷다. 그 모양. 

 

 

☞ 參考

 

사마상여가 벼슬을 하고 형편이 좋아진 후 기생집에 드나들고 첩을 맞아들일 생각을 하면서 탁문군을 버리려고 했다. 사마상여는 아내한테 「一二三四五六七, 八九十百千萬。」이란 13자의 편지를 보냈다.

본래 칠언시니까 14글자가 돼야 하는데 그러려면 순서대로 봤을때  만(万) 다음 숫자 억(億) 이  빠져 있다. 억이 없으니까  무억(無億)이고, 이 중국어 발음은 '우이'로 '뜻이 없다'는 무의(無意, 無憶)와  발음이 같다. 탁문군이 이걸  간파하고 바로 이 숫자들을 넣어 남편을 꾸짖는 시를 쓴 것이다. 그래서 숫자시라고도 하고 낭군을 원망하는 시라는 뜻으로 怨郎詩 라고도 하는데 사마상여는 이 시를 받아보고 탁문군 재주에 놀라고 자신의 행실을 부끄럽게 생각해서 아내를 버릴 계획을 취소했을 뿐아니라 다시는 첩을 들이려 하지 않았다고 한다.  

 

 

怨郞詩

 

一别之後、                                  한 번 이별 후,

二地相懸。                                  두 곳에 서로 떨어져 있다.

只道是三四月、                          3,4개월이면 된다 했는데,

又誰知五六年。                          5,6년이 될지 누가 알았나.

七弦琴無心彈、                          칠현금 탈 마음 없고,

八行書無可傳。                          여덟줄 서신도 전할수 없다.

九連環從中折斷、                      구련환은 중간에 끊기고, 

十里長亭望眼欲穿。                  십리 장정을 뚫어질 듯 쳐다본다.

百思想、                                      백번 생각하고 

千系念。                                      천번 그리워한다

萬般無奈把郞怨。                      만반의 준비를 했는데 어찌 그대를 원망하리오.

 

 

萬語千言說不盡、                      만마디, 천마디 다 말할 수 없고,

百無聊、                                      모두 무료해

賴十倚欄。                                  십난간에 기대어 본다

重九登高看孤雁、                       9월9일 중양절 높은데 올라 외로운 기러기 보고,

八月仲秋月圓人不圓。               8월 중추 달은 둥근데 사람은 둘러앉지 않네.

七月半秉燭燒香問蒼天、            7월  중순 초를 잡고 향을 피워들고 창천에 묻는다.

六月伏天人人搖扇我心寒。       6월 더위에 사람마다 부채질 하건만 내 마음은 춥고나.

五月石榴紅勝火、                       5월 석류는 불꽃보다 붉은데, 찬비가 많이 내려 꽃을 적시네.

偏遇陳陳冷雨澆花端。

四月枇杷未黃、                           4월 비파는 아직 여물지 않아 거울을 보니 마음은 심란하고 마음만 급하네.

我欲對鏡心愈亂。忽匆匆。

三月桃花隨水轉、飄零零、        3월 복숭아꽃은 비에 몸을 맡겨 흔들리다  거센 바람에 휘날려 떨어진다.

二月風筝線兒斷。                       2월  풍쟁은 줄이 끊어졌다 아 님아 님아 간절히 바란다

噫! 郞呀郞、巴不得。

下一世你爲女來我做男。        다음 생에는 그대는 여자, 나는 남자이기 바라노라.

 

偏 : 한쪽, 한편. 기어코, 일부러, 꼭. 마침, 공교롭게도, 뜻밖에. 조차, 마저도.   陳陳 : 많다. 
巴不得 : 갈망하다. 간절히 바라다.        아주 바란다. 정도의 느낌

恨不得 : ~ 못하는 것이 한이다. 간절히 바라다.  바라는데 실현 가능성이 없어서 아쉽다의 느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