第三十回. 秦晉大戰龍門山, 穆姬登臺要大赦.
第三十回. 秦晉大戰龍門山, 穆姬登臺要大赦.
話說管仲於病中,囑桓公斥遠易牙、豎刁、開方三人,薦隰朋爲政。左右有聞其言者,以告易牙。易牙見鮑叔牙謂曰:「仲父之相,叔所薦也。今仲病,君往問之,乃言叔不可以爲政,而薦隰朋,吾意甚不平焉。」 鮑叔牙笑曰:「是乃牙之所以薦仲也。仲忠於爲國,不私其友。夫使牙爲司寇,驅逐佞人,則有餘矣。若使當國為政,即爾等何所容身乎?」 易牙大慚而退。踰一日,桓公復往視仲,仲已不能言。鮑叔牙隰朋莫不垂淚。是夜,仲卒。桓公哭之慟,曰:「哀哉,仲父!是天折吾臂也!」使上卿高虎董其喪,殯葬從厚。生前采邑,悉與其子,令世爲大夫。易牙謂大夫伯氏曰:「昔君奪子駢邑三百,以賞仲之功。今仲父已亡,子何不言於君,而取還其邑?吾當從旁助子。」伯氏泣曰:「吾惟無功,是以失邑。仲雖死,仲之功尚在也。吾何面目求邑於君乎?」易牙嘆曰:「仲死猶能使伯氏心服,吾儕真小人矣!」
董 : 감독할 동/짧을 종/바로잡을 독. 감독하다. 거두다. 굳다. 견고하다. 묻다. 감추다. 움직이다. 연뿌리. 연근. [종]짧다. [독]바로잡다.
관중은 병석에서 환공에게 역아, 수조, 개방을 배척해 멀리하고 습붕을 추천해 정사를 맡기도록 부탁했었다. 좌우에서 그 말을 들은 자가 있어 역아에게 고했다.
역아가 포숙아를 만나 말했다.
"중부가 재상이 된 것은 포숙아의 천거 때문이었습니다. 지금 병중이라 주군께서 문병을 가셔서 후임을 물으시자 포숙아에게는 정사를 맡겨서는 안된다고 하시며 습붕을 천거하셨다고 하는데 제 생각으로는 매우 불공평합니다."
포숙아가 웃으며 말했다.
"이것이야 말로 내가 관중을 천거한 까닭입니다. 관중의 충심은 나라를 위하는데 있고 사사로이 우정에 있는 것이 아닙니다. 설사 나에게 사구(司寇)의 직을 맡겨서 아첨하는 자들을 물리치게 한다면 여유가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만약 나라의 정사를 맡게 한다면 그대 같은 사람들이 어찌 용납되겠소?"
역아가 크게 부끄러워 하며 물러갔다. 하루가 지나자 환공은 다시 관중을 보러 갔으나 관중은 이미 말을 할 수 없었다. 포숙아와 습붕은 흐르는 눈물을 금할 수 없었다.
그날 밤 관중이 사망했는데 환공은 크게 통곡하며 말했다. "슬프도다! 중부여! 이것은 하늘이 나의 팔을 자른 것이로다!"
그리고 상경인 고호(高虎)로 하여금 장례를 감독하게 하고 장례식을 후하게 치르도록 하였다. ㅡ리고 관중 생전의 채읍을 모두 그 아들에게 물려주고 대대로 대부로 삼게 했다.
역아가 대부 백씨(伯氏)에게 말했다.
"옛날 주군께서는 그대의 병읍(騈邑) 300호를 빼앗아 공을 세운 중부에게 상으로 주었습니다. 지금 중부가 이미 죽었는데 대부께서는 어찌 주군께 말씀드려 그 땅을 돌려받으려 하지 않으십니까? 제가 곁에서 돕겠습니다."
백씨가 울면서 말했다.
"나는 공을 세우지 못했기 때문에 식읍을 빼앗긴 것입니다. 중부가 이미 죽었지만 중부의 공은 아직도 존재합니다. 내가 무슨 명목으로 주군께 식읍을 돌려달라고 하겠습니까?"
역아가 탄식하며 말했다.
"중부는 죽어서도 백씨의 마음을 복종시키는구나. 우리같은 무리는 참으로 소인배로다."
且說桓公念管仲遺言,乃使公孫隰朋爲政。未一月,隰朋病卒。桓公曰:「仲父其聖人乎?何以知朋之用於吾不久也?」 於是使鮑叔牙代朋之位。牙固辭,桓公曰:「今舉朝無過於卿者,卿欲讓之何人?」 牙對曰:「臣之好善惡惡,君所知也。君必用臣,請遠易牙、豎刁、開方,乃敢奉命。」 桓公曰:「仲父固言之矣,寡人敢不從子!」 即日罷斥三人,不許入朝相見。鮑叔牙乃受事。時有淮夷侵犯杞國,杞人告急於齊。齊桓公合宋、魯、陳、衛、鄭、許、曹七國之君,親往救杞,遷其都於緣陵。諸侯尙從齊之令,以能用鮑叔,不改管仲之政故也。
환공은 관중의 유언을 생각하고 공손습붕으로 하여금 정사를 맡게 하였다. 그러나 한달도 채 지나지 않았는데 습붕이 병으로 죽었다.
환공이 말했다. "중부는 성인이 아닌가? 어찌 습붕이 나에게 기용되어도 오래 가지 못할 것을 알 수 있었는가?"
그리하여 포숙아에게 습붕의 지위를 이어받게 하였다.
포숙아가 고사하니 환공이 물었다. "지금 조정을 통털어 경보다 나은 자가 없는데 경은 누구에게 양보하려고 하시오?"
포숙아가 대답했다. "신이 선을 좋아하고 악을 미워한다는 것은 주군께서도 아시는 바입니다. 주군께서 꼭 신을 기용하려고 하신다면 역아(易牙), 수조(豎刁), 개방(開方)을 멀리 하셔야 명을 받들겠습니다."
환공이 말했다. "그 것은 중부가 한 말인데 과인이 어찌 그대의 말을 따르지 않겠는가!"
그날로 세 사람을 파면하고 조정에 들어와 알현하는 것을 금했다. 포숙아가 마침내 정사를 맡게 되었다.
그때 회이(淮夷)가 기(杞)나라를 침범하였는데 기나라 사람이 제나라에 급면을 고했다. 제환공은 송(宋), 노(魯), 진(陳), 위(衛), 정(鄭), 허(許), 조(曹)의 7개국의 군주와 연합하여 친히 기나라를 구원하고 그 도읍을 연릉(緣陵)으로 옮기게 하였다. 제후들이 아직도 제나라의 영을 따르는 것은 포숙아를 기용하여 관중의 정책을 바꾸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話分兩頭。卻說晉自惠公即位,連歲麥禾不熟,至五年,復大荒。倉廩空虛,民間絶食,惠公欲乞糴於他邦。思想惟秦毗鄰地近,且婚姻之國,但先前負約未償,不便開言。郤芮進曰:「吾非負秦約也,特告緩其期耳。若乞糴而秦不與,秦先絶我,我乃負之有名矣。」 惠公曰:「卿言是也。」 乃使大夫慶鄭,持寶玉如秦告糴。穆公集群臣計議:「晉許五城不與,今因饑乞糴,當與之否?」 蹇叔百里奚同聲對曰:「天災流行,何國無之,救災恤鄰,理之常也。順理而行,天必福我。」 穆公曰:「吾之施於晉已重矣。」 公孫枝對曰:「若重施而獲報,何損於秦?其或不報,曲在彼矣。民憎其上,孰與我敵?君必與之。」丕豹思念之仇,攘臂言曰:「晉侯無道,天降之災。乘其饑而伐之,可以滅晉。此機不可失!」 繇余曰:「『仁者不乘危以邀利,智者不僥倖以成功。』與之爲當。」 穆公曰:「負我者,晉君也。饑者,晉民也。吾不忍以君故,遷禍於民。」 於是運粟數萬斛於渭水,直達河、汾、雍、絳之間,舳艫相接,命曰:「泛舟之役」,以救晉之饑。晉人無不感悅。
史官有詩稱穆公之善云:
晉君無道致天災,
雍絳紛紛送粟來。
誰肯將恩施怨者?
穆公德量果奇哉!
毗 : 도울 비. 돕다. 두텁게 하다. 배꼽. 舳艫 : 배의 고물과 이물.
한편 당진은 혜공이 즉위한 때부터 5년이 되기까지 해마다 연이어 보리와 벼가 여물지 않고 다시 큰 흉년이 들었다. 창고와 곳간이 텅텅 비고 민간에서는 먹을 것이 떨어져 혜공은 다른 나라에서 양식을 구입하려고 하였다. 생각컨대 오직 섬진만이 지리적으로 가까운 이웃이고 또 혼인으로 맺어진 나라라 도움을 주기에 적합했다. 다만 예전에 5성을 할양해 주기로 한 약속을 어기고 넘겨주지 않아 입을 열기 어려웠다.
극예가 진언했다.
"우리가 섬진에 약속을 어긴 것이 아니라 특별히 그 기한을 늦추겠다고 한 것입니다. 만약 곡식을 팔라는 요청을 섬진에서 거절한다면 섬진에서 먼저 우리나라와의 국교를 끊은 것이니 우리나라가 약속을 어긴 일에 명분이 서게 됩니다."
혜공이 말했다.
"경의 말이 옳습니다."
그리하여 대부 경정(慶鄭)을 사자로 하여 예물로 보옥을 가지고 섬진에 가서 양식을 요청하게 하였다.
섬진에서는 목공이 신하들을 모아 계책을 논의했다.
"당진에서는 약속했던 5성을 넘겨주지도 않은 터에 이제 기근이 들어 양식을 요청하고 있는데 양식을 도와주어야 하겠습니까?"
건숙과 백리해가 한 목소리로 말했다.
"하늘의 재앙은 돌고 도는 것인데 어느나라인들 없겠습니까? 이웃 나라의 재난을 구휼하는 것은 마땅한 이치입니다. 이치에 따라 행한다면 하늘은 반드시 복을 내릴 것입니다."
목공이 말했다.
"내가 당진에게 베푼 것은 너무 후합니다."
공손지가 대답했다.
"거듭 베푼다면 보답해야 할 일도 생기는데 섬진에 무슨 손해가 있겠습니까? 당진이 혹 보답하지 않으면 잘못은 저쪽에 있게 됩니다. 백성들이 그 군주를 증오하는데 누가 우리에게 적대시 하겠습니까? 주군께서는 반드시 도우셔야 합니다."
비표가 원한을 생각하고 팔을 걷어부치며 말했다.
"당진의 군주가 무도하여 하늘이 재앙을 내리는 것입니다. 기근을 틈타 당진을 친다면 당진을 섬멸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 기회를 놓쳐서는 안됩니다!"
요여가 말했다.
"'인자(仁者)는 남의 위급함을 틈타 이득을 보려고 하지 않으며 지자(智者)는 요행으로 성공하려고 하지 않는다.'고 하였습니다. 그들을 돕는 것이 마땅합니다."
목공이 말했다.
"나에게 약속을 어긴 자는 당진의 군주이며 굶주리고 있는 자는 당진의 백성입니다. 내가 당진 군주의 허물을 참을 수 없지만 그 화를 백성들에게 전가할 수는 없습니다."
이리하여 양식 수만 석을 위수(渭水)가로 운반하고 그곳에서 물길을 타고 하수(河水), 분수(汾水), 옹(雍), 강(絳)의 주변으로 직송(直送)하니
배들이 꼬리를 물고 이어졌으며 이를 이름하여 '범주지역(泛舟之役)'이라고 하였다. 이로써 당진의 기근이 해결되니 당진 사람으로서 감격하고 기뻐하지 않는 자가 없었다.
사관이 시를 지어 목공의 선행을 칭찬했다.
당진의 군주가 무도하여 하늘의 재앙이 닥쳤는데,
옹성(雍城)과 강성(絳城)은 오가는 양식으로 분주했도다.
누가 원한이 있는 자에게 은혜를 베풀려 하겠는가?
목공의 너그럽고 어진 마음은 참으로 훌륭했도다.
明年冬,秦國年荒,晉反大熟。穆公謂蹇叔百里奚曰:「寡人今日乃思二卿之言也,豐凶互有。若寡人去冬遏晉之糴,今日歲饑,亦難乞於晉矣。」 丕豹曰:「晉君貪而無信,雖乞之,必不與。」 穆公不以爲然。乃使冷至亦賷寶玉,如晉告糴。惠公將發河西之粟,以應秦命。郤芮進曰:「君與秦粟,亦將與秦地乎?」 惠公曰:「寡人但與粟耳,豈與地哉?」 芮曰:「君之與粟爲何?」 惠公曰:「亦報其『泛舟之役』也。」 芮曰:「如以泛舟爲秦德,則昔年納君,其德更大。君舍其大而報其小,何哉?」 慶鄭曰:「臣去歲奉命乞糴於秦,秦君一諾無辭,其意甚美。今乃閉糴不與,秦怨我矣!」 呂飴甥曰:「秦與晉粟,非好晉也,爲求地也。不與粟而秦怨,與粟而不與地,秦亦怨,均之怨也,何為與之?」 慶鄭曰:「幸人之災,不仁。背人之施,不義。不義不仁,何以守國?」 韓簡曰:「鄭之言是也。使去歲秦閉我糴,君意何如?」 虢射曰:「去歲天饑晉以授秦,秦弗知取,而貸我粟,是甚愚也!今歲天饑秦以授晉,晉奈何逆天而不取?以臣愚意,不如約會梁伯,乘機伐秦,共分其地,是爲上策。」 惠公從虢射之言。乃辭冷至曰:「敝邑連歲饑饉,百姓流離,今冬稍稔,流亡者漸歸故里,僅能自給,不足以相濟也。」 冷至曰:「寡君念婚姻之誼,不責地,不閉糴,固曰:『同患相恤也。』寡君濟君之急,而不得報於君,下臣難以復命。」 呂飴甥郤芮大喝曰:「汝前與丕鄭父合謀,以重幣誘我,幸天破奸謀,不墮汝計。今番又來饒舌!可歸語汝君,要食晉粟,除非用兵來取!」 冷至含憤而退。慶鄭出朝,謂太史郭偃曰:「晉侯背德怒鄰,禍立至矣。」郭偃曰:「今秋沙鹿山崩,草木俱偃。夫山川國之主也,晉將有亡國之禍,其在此乎?」
史臣有詩譏晉惠公云:
泛舟遠道賑饑窮,
偏遇秦饑意不同。
自古負恩人不少,
無如晉惠負秦公。
稔 : 곡식익을 임. 곡식이 익다. 쌓다. 쌓임. 해. 벼가 한 번 익는 기간. 1년간.
除非 : ~한다면 몰라도(~않고서는), 오직 …하여야, 다만 …함으로써만이 비로소.
이듬해 겨울 섬진에 흉년이 들었는데 당진에는 반대로 대풍년이었다.
목공은 건숙과 백리해에게 말했다.
"과인은 지금 '풍년과 흉년은 돌고 돈다.' 고 했던 경들의 말이 생각납니다. 과인이 지난 겨울 당진의 구황곡(救荒穀)을 주지 못하게 막았다면 금일의 기근에 당진에 양식을 요청하기 어려웠을 것입니다."
비표가 말했다.
"당진의 혜공은 탐욕스럽고 신의가 없어 구황곡을 요청해도 반드시 주지 않을 것입니다."
목공은 그렇게 여기지 않고 냉지(冷至)로 하여금 예물로 보옥을 싣고 당진에 가서 양식을 요청하게 하였다. 혜공이 하서(河西)지방의 양식을 보내 섬진의 요청을 들어주려고 하였다.
그러자 극예가 나와 진언했다.
"주군께서 섬진에 구황곡을 보내시고 또 섬진에 5성도 넘겨주시려고 하십니까?"
혜공이 대답했다.
"과인은 구황곡을 보낼 뿐이오. 어찌 땅을 넘겨 주겠소?"
극예가 물었다.
"주군께서는 무엇때문에 양식을 주려고 하십니까?"
혜공이 대답했다.
"범주지역(泛舟之役)에 대한 보답이오."
극예가 말했다.
"범주지역으로 섬진에서 덕을 행하였다면 섬진이 옛날 주군을 도와 군주가 되게 한 덕행을 다시 크게 한 것입니다. 주군께서는 섬진이 행한 큰 덕행은 버리고 작은 덕행에는 보답하시려고 하시는데 어째서입니까?"
경정(慶鄭)이 말했다.
"신이 지난해 주군의 명을 받들어 섬진에 구황곡을 요청했을 때 섬진의 목공께서는 단번에 승락하시고 아무 요구도 없었으며 그 뜻이 참으로 아름다웠습니다. 지금 창고를 폐쇄하고 구황곡을 주지 않는다면 섬진에서는 우리에게 원한을 품게 될 것입니다."
여이생이 말했다.
"섬진에서 우리에게 구황곡을 보낸 것은 당진에 호의가 있어서가 아니라 땅을 받으려는 것 때문이었습니다. 양식을 주지 않아도 섬진에서는 원망할 것이고, 양식을 보내고 땅을 주지 않는다면 섬진은 역시 원망할 것이니 이러나 저러나 원망을 듣는데 어째서 양식을 줍니까?"
경정이 말했다.
"남의 재앙을 기뻐하는 것은 불인(不仁)이며, 남이 베푼 것을 배신하면 불의(不義)입니다. 불의와 불인인데 무엇으로 나라를 지킵니까?"
한간(韓簡)이 말했다.
"경정의 말이 옳습니다. 지난해 섬진에서 양식을 도와주지 않았다면 주군께서는 어찌 생각하셨겠습니까?"
괵석이 말했다.
"지난해의 흉년은 당진을 섬진에 준 것이었는데 섬진에서는 받을 줄을 몰라 우리에게 양식을 빌려준 것이니 이는 참으로 어리석은 짓이었습니다. 올해의 흉년은 섬진을 우리 당진에 준 것이니 당진에서 어찌 하늘의 뜻을 거스르고 취하지 않겠습니까? 신의 어리석은 소견으로는 양(梁)나라의 군주와 회동하여 이 기회를 틈타 섬진을 정벌하고 그 땅을 함께 나누어 갖는 것이 상책이라 봅니다."
혜공은 괵석의 말을 좇아 곧바로 냉지에게 거절의 뜻을 밝혔다.
"우리나라에서는 수년간 연이어 기근이 일어 백성들은 유랑중인데 올겨울 조금 농사가 되어 유랑자들이 고향으로 점차 돌아오고 있는 중이지만 가까스로 자급할 수 있을 뿐이라 남을 돕기에는 부족합니다."
냉지가 말했다.
"저희 군주께서는 혼인의 정분으로 땅문제를 묻지도 않고 곳간도 잠그지 않았으며 진실로 말씀하시기를 '환난은 함께 하고 구휼하여야 한다.'고 하셨습니다. 저희 군주께서 당진의 위급함을 구제해 주셨는데 군주로부터 그 보답을 받을 수 없게 된다면 신이 돌아가 복명하기가 어렵습니다."
여이생과 극예가 큰소리로 꾸짖었다.
"너는 전에 비정보와 공모하여 후한 예물로 우리를 유인해 죽이려 했었다. 다행하게도 하늘의 도움으로 너의 간악한 음모를 간파할 수 있어 계책에 빠지지 않았다. 이번에 또 와서 잔소리를 늘어놓느냐! 귀국하면 너희 군주에게 말해야 한다. 당진의 곡식을 먹으려면 군사들을 몰고 와야만 할 것이다."
냉지는 분노를 머금고 물러갔다.
경정이 조정을 나서자 태사 곽언에게 말했다.
"당진의 혜공이 덕행을 배반하고 이웃나라를 분노하게 만들었으니 화가 곧 닥치게 될 것입니다."
곽언이 말했다.
"올 가을에 사록산(沙鹿山)이 무너져 초목이 모두 쓰러졌습니다. 산천은 나라의 근본인데 당진은 장차 망국의 재앙을 맞이하게 될 것이오. 그 조짐이 이에 있지 않습니까?"
사신(史臣)이 시를 지어 당진의 혜공을 꾸짖었다.
섬진에서는 배 띄워 먼 곳의 굶주린 백성들 구휼했는데,
섬진이 기근을 당하니 당진의 뜻은 같지 않구나.
옛부터 은혜를 저버리는 자 적지 않지만,
섬진의 목공의 은혜를 배신한 당진의 혜공같은 자는 없었도다.
冷至回復秦君,言:「晉不與秦粟,反欲糾合梁伯,共興伐秦之師。」 穆公大怒曰:「人之無道,乃至出於意料若此!寡人將先破梁,而後伐晉。」 百里奚曰:「梁伯好土功,國之曠地,皆築城建室,而無民以實之,百姓胥怨,此其不能用眾助晉明矣。晉君雖無道,而呂郤俱疆力自任,若起絳州之眾,必然震驚西鄙。《兵法》云:『先發制人。』 今以君之賢,諸大夫之用命,往聲晉侯負德之罪,勝可必也。因以餘威,乘梁之敝,如振槁葉耳!」 穆公然之。乃大起三軍,留蹇叔繇余輔太子罃守國,孟明視引兵巡邊,彈壓諸戎。穆公同百里奚親將中軍,西乞術白乙丙保駕。公孫枝將右軍,公子縶將左軍,共車四百乘,浩浩蕩蕩,殺奔晉國來。
出於意料 : 出乎意料. 예상을 벗어나다. 예상이 빗나가다. 뜻밖이다.
냉지가 돌아와 섬진의 목공에게 복명했다.
"당진에서는 섬진에 구황곡을 주기는 커녕 양(梁)나라 군주를 규합하여 섬진을 칠 군사를 일으키고 있습니다. "
목공이 대로하여 말했다.
"사람의 무도함이 이와같이 예측을 벗어나기에 이르렀도다! 과인이 먼저 양나라를 깨뜨린 후 당진을 정벌하리라!."
백리해가 말했다.
"양나라 군주는 땅을 가지고 다투기를 좋아하여 국토를 넓히면서 모두 성을 쌓고 집을 지었으나 백성으로 그 안을 채우지 않아 백성들이 모두 원한을 품고 있습니다. 이리하여 양나라에서는 병사들로 당진을 도울 수 없음이 분명합니다. 당진의 혜공이 무도하지만 여이생과 극예은 모두 강성하다고 스스로 믿는터이라 강주의 병사를 일으킨다면 반드시 서쪽 변방이 진동할 것입니다. 병법에 이르기를 '먼저 움직여야 상대를 제압한다.'고 하였습니다. 지금 주군께서는 현명하시니 대부들을 기용하시고 명을 내리시어 당진의 혜공이 덕행을 배신한 것을 성토하러 가신다면 승리할 수 있습니다. 그 여세를 몰아 양나라의 피폐함을 친다면 마른 잎이 진동하는 것과 같이 쉽게 떨어질 것입니다."
목공이 그렇게 여기고 삼군을 크게 일으켰는데 건숙과 요여는 남아서 태자를 도와 도읍을 지키게 하고 맹명시는 병사들을 이끌고 변방을 순찰하면서 융족(戎族)을 억누르게 하였다. 목공은 백리해와 함께 친히 중군장이 되어 서걸술(西乞術)과 백을병(白乙丙)으로 하여금 어가를 호위하게 하고 공손지는 우군의 장수로, 공자 집은 좌군의 장수로 삼고 공히 병거 400대를 이끌고 호호탕탕 당진을 향해 빠르게 달려갔다.
晉之西鄙,告急於惠公。惠公問於群臣曰:「秦無故興兵犯界,何以禦之?」 慶鄭進曰:「秦兵爲主上背德之故,是以來討,何謂無故?依臣愚見,只宜引罪請和,割五城以全信,免動干戈。」 惠公大怒曰:「以堂堂千乘之國,而割地求和,寡人何面目爲君哉?」 喝令:「先斬慶鄭,然後發兵迎敵!」 虢射曰:「未出兵,先斬將,於軍不利。姑赦令從征,將功折罪。」 惠公准奏。當日大閱車馬,選六百乘。命郤步揚、家僕徒、慶鄭、蛾晰分將左右,己與虢射居中軍調度,屠岸夷爲先鋒。離絳州望西進發。晉侯所駕之馬,名曰「小駟」,乃鄭國所獻。其馬身材小巧,毛鬣潤澤,步驟安穩,惠公平昔甚愛之。慶鄭又諫曰:「古者出征大事,必乘本國出產之馬。其馬生在本土,解人心意,安其敎訓,服習道路,故遇戰隨人所使,無不如志。今君臨大敵,而乘異產之馬,恐不利也。」惠公叱曰:「此吾慣乘,汝勿多言!」
鬣 : 갈기렵. 갈기. 발갈기. 머리털이 치솟는 모양. 수염. 턱수염. 옆지느러미. 새의 머리털. 뱀의 비늘. 비. 빗자루. 솔잎.
平昔 : 평소, 지난 날. 원래. 평(상)시.
당진의 서쪽 변방에서 혜공에게 급박한 상황을 보고했다.
혜공이 신하들에게 물었다.
"섬진에서 까닭없이 군대를 일으켜 우리나라를 침공해왔는데 그들을 어떻게 하면 막을 수 있겠소?"
경정이 진언했다.
"섬진의 군대는 주상께서 섬진이 베푼 덕행을 배신하였기 때문에 이렇게 토벌하러 온 것인데 어찌 까닭이 없다고 하십니까? 신의 어리석은 소견으로는 죄를 인정하고 강화를 청하는 것이 마땅하며, 5성을 할양해주어 신의를 온전히 회복해야 병화를 면할 수 있다고 봅니다."
혜공이 대로하여 말했다.
"당당한 천 승의 나라에서 땅을 할양해 주면서까지 강화를 청한다면 과인은 무슨 면목으로 군주노릇을 하겠는가?"
그리고 큰 소리로 영을 내렸다.
"먼저 경정을 참하고 연후에 군사들을 출동시켜 적을 맞으리라!"
괵석이 말렸다.
"출병하지도 않았는데 먼저 장수부터 참한다면 군대의 사기에 이로울 것이 없습니다. 잠시 용서하였다가 전쟁에 참여하게 한 후 공을 세우게 하여 죄를 속죄하도록 하십시오."
혜공이 그에 따랐다. 당일로 거마를 대대적으로 사열하고 600승을 선발하였다. 그리고 명을 내려 극보양(郤步揚), 가복도(家僕徒), 경정(慶鄭), 아석(蛾晰)을 나누어 좌우군의 장수로 삼고 혜공 자신은 괵석과 더불어 중군에서 지휘하며 도안이를 선봉으로 삼았다.
그리하여 강주를 떠나 서쪽을 향해 진발하였다. 당진의 혜공의 수레를 끄는 말은 이름을 '소사(小駟)' 라 하였는데 정(鄭)나라에서 바친 것이었다. 그 말들은 체구가 작지만 날렵하고 털과 갈기에 윤택이 있으며 걷거나 달릴 때에도 편안하고 조용하여 혜공이 평소에 매우 사랑했다.
정경이 또 간했다.
"옛날에는 전쟁터에 나갈 때에는 반드시 본국에서 생산된 말을 탔습니다. 말이 본토에서 태어나야 사람의 마음을 이해하고 교육과 훈련 받을 때에도 편안하며 나라 안의 도로에도 익숙하기 때문에 전시에도 부리는 사람을 따르는데 뜻대로 되지 않는 일이 없었습니다. 지금 주군께서는 큰 적을 앞에 두고 다른 나라에서 태어난 말을 타시니 이롭지 않을까 두렵습니다."
혜공이 꾸짖으며 말했다.
"이 말들은 나에게 익숙해진 말이니, 잔소리 하지 말라."
卻說秦兵已渡河東,三戰三勝,守將皆奔竄。長驅而進,直至韓原下寨。晉惠公聞秦軍至韓,乃蹙額曰:「寇已深矣,奈何?」 慶鄭曰:「君自招之,又何問焉?」 惠公曰:「鄭無禮,可退!」 晉兵離韓原十里下寨,使韓簡往探秦兵多少。簡回報曰:「秦師雖少於我,然其鬥氣十倍於我。」 惠公曰:「何故?」 簡對曰:「君始以秦近而奔梁,繼以秦援而得國,又以秦賑而免饑,三受秦施而無一報。君臣積憤,是以來伐,三軍皆有責負之心,其氣銳甚,豈止十倍而已!」 惠公慍曰:「此乃慶鄭之語,定伯亦爲此言乎?寡人當與秦決一死敵!」 遂命韓簡往秦軍請戰曰:「寡人有甲車六百乘,足以待君。君若退師,寡人之願:若其不退,寡人即欲避君,其奈此三軍之士何!」 穆公笑曰:「孺子何驕也?」 乃使公孫枝代對曰:「君欲國,寡人納之。君欲粟,寡人給之。今君欲戰,寡人敢拒命乎?」 韓簡退曰:「秦理直,吾不知死所矣!」 晉惠公使郭偃卜車右,諸人莫吉,惟慶鄭爲可。惠公曰:「鄭黨於秦,豈可任哉?」 乃改用家僕徒爲車右,而使郤步揚御車,逆秦師於韓原。百里奚登壘,望見晉師甚眾,謂穆公曰:「晉侯將致死於我,君其勿戰。」 穆公指天曰:「晉負我已甚,若無天道則已,天而有知,吾必勝之!」 乃於龍門山下,整列以待。
車右 : 車右將. 군주가 타는 병거에서 마부의 오른 쪽에 타는 장수. 왼쪽에는 군주가 탄다.
한편 섬진의 군대는 이미 하수의 동쪽을 건너 세 번 싸워 세 번 모두 이겼는데 수비하는 당진의 장수들은 모두 도망쳤다. 섬진군은 먼 길을 달려 나아가 바로 한원(韓原)에 도착하여 하채했다.
당진의 혜공은 섬진의 군대가 한원에 도착했다는 보고를 받고 이마를 찌푸리며 말했다.
"적이 이미 깊숙히 들어 왔으니 어떻게 해야 하나?"
경정이 말했다.
"주군이 자초하신 일인데 어찌 묻습니까?"
혜공이 말했다.
"너는 무례하구나! 물러가라!"
당진의 군대는 한원에서 10리 떨어진 곳에 하채하고 한간(韓簡)으로 하여금 섬진 군대의 상황을 알아보게 하였다.
한간이 돌아와 보고했다.
"섬진의 군대는 비록 우리보다 병력은 적지만 사기는 우리보다 10배나 높습니다."
혜공이 물었다.
"무슨 까닭인가?"
한간이 대답했다.
"주군께서는 애초에 섬진에 가까운 양(梁)나라로 망명하셨으며 섬진의 도움으로 나라를 얻었습니다. 또 섬진의 구휼로 굶주림을 면했으니 섬진으로부터 세차례나 은혜를 받았으면서도 단 한번도 보답을 하지 않았습니다. 신하들의 분노가 누적되어 이렇게 정벌하러 오게 되었으니 삼군이 모두 당진의 배반을 응징하고자 하는 마음 뿐이라 그 예기가 몹시 날카로우니 어찌 10배뿐이겠습니까?"
혜공이 화를 내며 말했다.
"네 말은 바로 경정이 한 말이다. 정백(定伯 : 韓簡의 字)도 이런 말을 하는가? 과인이 섬진과 더불어 죽기로 한 번 싸워보리라!"
마침내 한간에게 명을 내려 섬진 군영에 가서 싸움을 청하게 하였다.
"과인이 갑거(甲車 : 兵車) 600승을 거느리고 있으니 군주를 대적하기에 족할 것이다. 군주가 군대를 물리기를 원하지만 군대를 물리지 않는다면 과인이 군주를 피하려고 해도 어쩔 수 없이 싸우게 될 것인데 삼군의 군사는 어찌할 것인가?"
목공이 웃으며 말했다.
"어린 아이가 어찌 이리 방자한가?"
그리하여 공손지로 하여금 답서를 보내게 했다.
'군주가 나라를 원했을 때 과인이 도와 군주가 되게 하였고 군주가 구황곡을 원했을 때 과인이 양식을 주었다. 지금 군주가 싸우고자 하니 과인이 감히 명을 어기겠는가?"
한간이 물러나며 말했다.
"섬진의 도리가 바르니 내가 죽을 곳을 모르겠구나!"
당진의 혜공은 태사 곽언으로 하여금 거우장(車右將)을 누구로 하면 좋을지 점을 치게 하였는데 점괘는 모두 길하지 않으며 오직 경정만이 좋다고 나왔다.
혜공이 말했다.
"경정은 섬진을 편드는 무리인데 어찌 맡길 수 있겠는가?"
그리고는 가복도(家僕徒)로 바꿔 우거장으로 삼고 극보양(郤步揚)으로 하여금 병거를 몰게하며 한원으로 가서 섬진군을 맞이하게 하였다.
백리해가 망루에 올라 당진의 군사들이 너무 많은 것을 보고 목공에게 말했다.
"당진의 혜공이 우리에게 결사항전을 하려고 하니 주군께서는 싸우려 하지 마십시오."
목공이 하늘을 가리키며 말했다.
"당진에서 내가 베푼 은덕을 배반한 것이 너무나도 심한데 하늘에 도가 없다면 모를까 하늘이 알고 있으니 나는 반드시 승리할 것입니다."
마침내 용문산(龍門山)아래로 가서 부대를 정열하고 당진군을 기다렸다.
須臾,晉兵亦布陣畢,兩陣對圓,中軍各鳴鼓進兵。屠岸夷恃勇,手握渾鐵槍一條,何止百斤之重,先撞入對陣,逢人便刺,秦軍披靡。正遇白乙丙,兩下交戰,約莫五十餘合,殺得性起,各跳下車來,互相扭結。屠岸夷曰:「我與你拚個死活,要人幫助的,不爲好漢!」 白乙丙曰:「正要獨手擒拿你,方是英雄!」吩咐眾人:「都莫來!」 兩個拳搥腳踢,直扭入陣後去了。晉惠公見屠岸夷陷陣,急叫韓簡梁繇靡,引軍沖其左,自引家僕徒等沖其右,約於中軍取齊。穆公見晉分兵兩路沖來,亦分作兩路迎敵。且說惠公之車,正遇見公孫枝,惠公遂使家僕徒接戰。那公孫枝有萬夫不當之勇,家僕徒如何鬥得過?惠公敎步揚:「用心執轡,寡人親自助戰。」 公孫枝橫戟大喝曰:「會戰者一齊上來!」 只這一聲喝,如霹靂震天,把個國舅虢射嚇得伏於車中,不敢出氣。那小駟未經戰陣,亦被驚嚇,不繇御人做主,向前亂跑,遂陷於泥濘之中。步揚用力鞭打,奈馬小力微,拔腳不起。正在危急,恰好慶鄭之車,從前而過。惠公呼曰:「鄭速救我!」 慶鄭曰:「虢射何在?乃呼鄭耶?」 惠公又呼曰:「鄭速將車來載寡人!」 鄭曰:「君穩乘小駟,臣當報他人來救也!」 遂催轅轉左而去。步揚欲往覓他車,爭奈秦兵圍裹將來,不能得出。
扭 : 묶을 뉴/수갑 추. 묶다. 체포하다. 잡다. 붙잡다. 굴리다. 거스르다.
拚 : 칠 변/날 반/쓸 분. (손뼉을)치다. 때리다. [반] 날다. 나는 모양. [분] 쓸다. 청소하다. 搥 : 칠 추. 치다. 던지다.
踢 : 찰 척/당황할 삭. 차다. 발로 참. [삭] 당황하다. 그 모양.
沖 : 빌 충. 비다. 공허함. 사이, 중간. 깊다. 화하다. 온화함. 조화되다. 이르다. 도달함. 오르다. 솟아오름. 어리다. 순진함.
跑 : 허빌 포. 허비다. 새, 짐승이 발톱으로 땅을 긁어 팜. 차다. 발로 참. 달리다. 濘 ; 진창녕. 진창. 물이 끓는 모양. 작은 시내.
잠시 후 당진의 군사들도 포진하기를 마지고 양진이 원형으로 대치했는데 중군에사 각 북을치며 진병했다. 도안이가 용력을 믿고 손에 혼철창(渾鐵槍) 한 자루를 들고 - 어찌 백근의 무게에 그치겠는가? - 먼저 섬진의 진영으로 쳐들어가 닥치는대로 찌르니 섬진의 군사들이 뿔뿔이 흩어졌다. 바로 백을병(白乙丙)과 마주쳐 두 사람이 교전하게 되었는데 대략 50여 합을 싸우다가 서로 성질을 이기지 못하고 수레에서 뛰어내려 서로 붙잡고 싸웠다.
도안이가 말했다.
"우리 사생결단하자. 남의 도움을 구한다면 사내가 아니다."
백을병도 맞장구 쳤다.
"너를 손으로 사로잡아 영웅임을 보이리라!"
그리고 병사들에게 분부했다.
"모두 나오지 말라."
두 사람이 주먹으로 치고 발로 차면서 진으로 들어갔다 나왔다를 거듭했다. 당진의 혜공은 도안이가 함정에 빠질까봐 급히 한간과 양요미에게 소리쳐 군사를 이끌고 좌측으로 가라고 명하고 자신은 가복도등을 이끌고 오른쪽으로 들어가 섬진의 중군을 향해 일제히 돌진하려고 했다. 목공은 당진에서 부대를 나누어 양로로 쳐들어 오는 것을 보고 병사들을 둘로 나누어 양로의 적을 맞게 하였다.
한편 혜공의 수레는 바로 공손지와 마주치게 되자 혜공은 가복도로 하여금 공손지와 싸우게 하였다. 공손지는 만부부당지용이 있는 자인데 가복도가 어찌 그와 싸울 수 있겠는가?
혜공이 극보양(郤步揚)에게 지시했다.
"고삐를 단단히 잡아라! 과인이 친히 싸움을 도우리라!"
공손지가 극을 비켜들고 소리쳤다.
"싸우려면 일제히 덤벼라!"
그가 한번 외치자 벼락소리가 진동하는 듯 하여, 국구 괵석이 놀라 수레 안에 엎드려 감히 싸울 엄두를 낼 수 없었다. 혜공의 수레에 맨 소사(小駟)는 싸움터를 경험한 적이 없어 역시 공손지의 고함소리에 놀라 마부가 통제할 수 없을 정도로 날뛰며 앞으로 어지럽게 달리다가 마침내 진흙탕에 빠지고 말았다. 극보양이 힘을 다해 채찍질을 하였지만 말들이 작고 힘이 부족해 빠져나오지를 못했다. 그야말로 위급한 상황인데 때마침 경정의 수레가 앞으로 지나갔다.
혜공이 소리쳤다. "경정아! 빨리 나를 구하라!"
경정이 말했다. "괵석은 어디에 있는데 저를 부르십니까? "
혜공이 또 외쳤다. "경정아, 빨리 수레를 몰고 와서 과인을 태우고 가라!"
경정이 말했다. "주군께서는 소사가 끄는 수레를 편하게 타고 다니셨으니 신은 다른 사람에게 알려 와서 구원하라고 하겠습니다."
그리고는 수레를 재촉하여 좌측으로 돌려 가버렸다. 극보양이 가서 다른 수레를 찾아보았으나 섬진군에 포위당해 빠져나갈 수 없었다.
再說韓簡一軍沖入,恰遇著秦穆公中軍,遂與秦將西乞術交戰,三十餘合,未分勝敗。蛾晰引軍又到,兩下夾攻,西乞術不能當,被韓簡一戟刺於車下。梁繇靡大叫:「敗將無用之物,可協力擒捉秦君!」 韓簡不顧西乞術,驅率晉兵,逕奔戎輅,來捉穆公。穆公嘆曰:「我今日反爲晉俘,天道何在?」 纔嘆一聲,只見正西角上,一隊勇士約三百餘人,高叫:「勿傷吾恩主!」 穆公抬頭看之,見那三百餘人,一個個蓬首袒肩,腳穿草履,步行如飛,手中皆執大砍刀,腰懸弓箭,如混世魔王手下鬼兵一般。腳蹤到處,將晉兵亂砍。韓簡與梁繇靡慌忙迎敵。又見一人飛車從北而至,乃慶鄭也。高叫:「勿得戀戰,主公已被秦兵困於龍門山泥濘之中,可速往救駕!」 韓簡等無心廝殺,撇了那一夥壯士,逕奔龍門山來救晉侯。誰知晉惠公已被公孫枝所獲,並家僕徒、虢射、步揚等,一齊就縛,已歸大寨去了。韓簡頓足曰:「獲秦君猶可相抵,慶鄭誤我矣!」梁繇靡曰:「君已在此,我輩何歸?」遂與韓簡各棄兵仗,來投秦寨,與惠公做一處。再說那壯士三百餘人,救了秦穆公,又救了西乞術。秦兵乘勝掩殺,晉兵大潰。龍門山下屍積如山,六百乘得脫者,十分中之二三耳。慶鄭聞晉君見擒,遂偷出秦軍,遇蛾晰被傷在地,扶之登車,同回晉國。
髯翁有詩,詠韓原大戰之事。詩曰:
龍門山下嘆輿屍,
只為昏君不報施。
善惡兩家分勝敗,
明明天道豈無知!
混世魔王 : 세상을 어지럽히고 사람들에게 해를 끼치는 대악당. 撇 : 별. 던지다. 뿌리다. 내던지다. 잊어먹다. 내팽개치다.
한간은 한 떼의 군마를 이끌고 섬진의 진영으로 들어가 때마침 섬진의 목공이 이끄는 중군과 마주쳤다. 마침내 섬진의 장수 서을술과 교전 하게 되었는데 삼십여합을 싸웠는데도 승부가 가려지지 않았다. 아석(蛾晰)이 군사들을 이끌고 도착하여 양군이 섬진의 목공을 협공하니 서을술이 당해내지 못하고 한간의 창에 찔려 수레에서 떨어졌다.
양요미가 큰 소리로 외쳤다.
"패한 장수는 무용지물이니 협력하여 섬진의 군주를 사로잡아야 한다!"
그러자 한간은 서을술을 돌아보지도 않은채 당진의 군사를 휘몰아 곧바로 목공이 타고 있는 융로(戎輅)를 향해 달려갔다.
목공이 탄식했다.
"내가 오늘 거꾸로 당진의 포로가 되는구나! 천도(天道)는 어디에 있는가?"
막 탄식하고 있는 중에 바로 서쪽 구석에서 대략 300명정도의 한 무리의 용사들이 나타나 큰 소리로 외쳤다.
"우리 은혜로운 주인을 해치지 말라!"
목공이 머리를 들어 바라보니 300여명으로 개개인이 머리를 산발한 채 어깨를 드러냈으며 풀로 만든 신을 신고 나는 듯이 달려오는데 손에는 큰 갈을 들고 허리에는 활과 화살을 매고 있어 마치 혼세마왕이 거느리는 귀신으로 된 군대 같았다. 그들이 이르는 곳마다 당진의 군사들이 어지러이 칼에 베어 쓰러졌다. 한간과 양요미가 황망히 그들과 대적했다.
그때 또 한사람이 북쪽에서 수레를 몰고 나는 듯이 달려왔는데 바로 경정이었다. 경정이 큰 소리로 외쳤다.
"싸움에 연연하지 마십시오. 주공이 이미 섬진군에게 패하시어 용문산 밑 진흙탕에 빠져 곤경을 겪고 계십니다. 빨리 가서 어가를 구하셔야 합니다."
한간등은 싸울 마음이 없어져 그 한 무리의 장사들을 팽개치고 곧바로 용문산 아래로 당진의 군주를 구하러 달려갔다.
누가 알았으랴? 당진의 혜공은 이미 공손지에게 사로잡혔으며 아울러 가복도, 괵석, 극보양등을 모두 결박하여 섬진의 대채로 끌고 갔다. 한간이 발을 구르며 말했다.
"섬진의 군주를 사로잡았다면 주군이 사로잡히는 것을 막을 수 있었을 터인데 경정이 우리를 그르치게 했구나!"
양요미가 말했다. "주군께서 이미 이곳에 사로잡혀 계시는데 우리가 어찌 돌아가겠는가?"
마침내 한간과 더불어 각각 병장기를 버리고 섬진의 군영으로 가서 항복하였으며 혜공과 한 곳에 갇혔다.
한편 장사 300여명은 섬진의 목공을 구한 후 서을술마저 구했다. 섬진의 군사들이 승세를 틈타 급히 치자 당진의 군사들이 크게 무너졌다. 용문산 아래에 시신이 산처럼 쌓였으며 병거 600승 중 살아남은 것은 열에 둘이나 셋 뿐이었다. 경정은 당진의 혜공이 사로잡혔다는 소식을 듣고 섬진의 포위망을 뚫고 탈출한 것처럼 가장하여 돌아가다가 아석이 부상을 당해 땅에 쓰러져 있는 모습을 보고 그를 부축하여 수레에 태우고 당진으로 돌아갔다.
염옹이 한원대전의 일을 시로 지어 읊었다.
용문산 아래 수많은 시체를 보고 탄식하나니,
단지 어리석은 군주가 은혜를 갚지 않았기 때문이었도다.
선악이 두 나라의 승패로 구분되었으니,
밝고도 밝은 천도를 어찌 몰랐던가!
卻說秦穆公還於大寨,謂百里奚曰:「不聽井伯之言,幾爲晉笑。」 那壯士三百餘人,一齊到營前叩首。穆公問曰:「汝等何人,乃肯爲寡人出死力耶?」 壯士對曰:「君不記昔年亡善馬乎?吾等皆食馬肉之人也。」 原來穆公曾出獵於梁山,夜失良馬數匹,使吏求之。尋至岐山之下,有野人三百餘,群聚而食馬肉。吏不敢驚之,趨報穆公:「速遣兵往捕,可盡得。」穆公嘆曰:「馬已死矣,又因而戮人,百姓將謂寡人貴畜而賤人也。」 乃索軍中美酒數十甕,使人賷往岐下,宣君命而賜之曰:「寡君有言:『食良馬肉,不飮酒傷人。』今以美酒賜汝。」 野人叩頭謝恩,分飮其酒,齊嘆曰:「盜馬不罪,更慮我等之傷,而賜以美酒,君之恩大矣。何以報之!」 至是,聞穆公伐晉,三百餘人,皆舍命趨至韓原,前來助戰。恰遇穆公被圍,一齊奮勇救出。
眞個是:
種瓜得瓜,種豆得豆。
施薄報薄,施厚報厚。
有施無報,何異禽獸!
眞個 : 정말로. 실로. 확실히.
한편 섬진의 목공이 대채로 돌아오자 백리해에게 말했다.
"정백(= 백리해의 자)의 말을 듣지 않았다가 하마터면 당진의 웃음거리가 될뻔 했습니다."
그 장사 300여명이 일제히 군영앞으로 와서 머리를 조아리며 인사를 하자 목공이 물었다.
"그대들은 어떤 사람들인데 위험에 빠진 과인을 살리기 위해 죽을 힘을 다했는가?"
한 장사가 대답했다.
"주군께서는 옛날 좋은 말을 잃어버렸던 일을 기억하십니까? 저희들은 모두 말고기를 먹은 사람들입니다."
원래 목공은 양산으로 사냥을 나간 적이 있었는데 밤에 훌륭한 말 여러 마리를 잃어버려 관리를 시켜 찾도록 하였다. 기산(岐山)아래까지 찾아 다니다가 야인 300여명이 모여 말고기를 먹고 있는 것을 발견했다.
관리는 감히 그들을 놀라게 할 수 없어 목공에게 달려가 보고했다.
"속히 병사들을 보내면 모두 사로잡을 수 있습니다."
그러자 목공이 탄식했다.
"말이 이미 죽었는데 또 그로 인해서 사람을 죽인다면 백성들은 과인이 말을 귀하게 여기고 사람을 천하게 여긴다고 할 것이다."
그리고 군중에 있는 맛좋은 술 수십 통을 가져오라고 하여 사람을 시켜 기산 아래로 술을 싣고 가서 군명을 전하고 그들에게 하사하게 했다.
"과인은 '좋은 말고기를 먹고 술을 마시지 않는다면 사람을 상하게 한다.'고 해서 지금 맛좋은 술을 그대들에게 하사하노라!"
야인들은 머리를 조아리며 은혜에 감사드리고 술을 나누어 마시며 모두 탄식했다.
"말을 훔친 것을 죄로 삼지 않고 또 우리가 몸을 상할까 염려 하시고 맛좋은 술을 내리시니 주군의 은혜가 크도다. 무엇으로 보답하여야 하는가!"
이때 목공이 당진을 친다는 소식을 듣고 삼백 여 명이 모두 목숨을 걸고 한원으로 달려가 싸움을 도우려 하였었다. 때마침 목공이 당진군에게 포위를 당한 것을 보고 일제히 용력을 떨쳐 목공을 구하게 된 것이었다.
정말 다음과 같았으니,
오이를 심으면 오이가 나고, 콩심으면 콩이 난다.
박하게 베풀면 박하게 보답하고, 후하게 베풀면 후하게 보답한다.
베푼 은혜가 있는데도 보답이 없다면 금수와 무엇이 다르랴!
穆公仰天嘆曰:「野人且有報德之義,晉侯獨何人哉?」 乃問眾人中:「有願仕者,寡人能爵祿之。」 壯士齊聲應曰:「吾儕野人,但報恩主一時之惠,不願仕也!」 穆公各贈金帛,野人不受而去。穆公嘆息不已,
後人有詩云:
韓原山下兩交鋒,
晉甲重重困穆公。
當日若誅牧馬士,
今朝焉得出樊籠?
목공이 하늘을 올려다 보며 탄식했다.
"야인들조차도 은덕을 갚으려는 의기가 있는데 당진의 혜공은 도대체 어떤 사람이란 말인가!"
그리고 그 장사들에게 말했다.
"벼슬을 원하는 자가 있다면 과인이 벼슬과 봉록을 내릴 수 있노라."
장사들이 일제히 대답했다.
"저희들은 야인이라 단지 은혜로운 주군께 한때 베푸신 은혜에 보답한 것일 뿐 벼슬을 원하지 않습니다."
그러자 목공은 각각 금과 비단을 내렸으나 야인들은 받지도 않고 가버렸다. 목공은 탄식을 그치지 못했다.
후인이 시를 지었다.
한원의 산 아래에서 두 나라가 싸우면서,
당진의 군사들이 목공을 겹겹이 포위했었다.
당시에 만일 말도둑들을 죽였다면,
오늘날 어찌 포위망을 벗어날 수 있었을까?
穆公點視將校不缺,單不見白乙丙一人。使軍士遍處搜尋,聞土窟中有哼聲,趨往視之,乃是白乙丙與屠岸夷相持滾入窟中,各各力盡氣絶,尙扭定不放手。軍士將兩下拆開,抬放兩個車上,載回本寨。穆公問白乙丙,已不能言。有人看見他兩人拚命之事,向前奏知如此如此。穆公嘆曰:「兩人皆好漢也!」 問左右:「有識晉將姓名者乎?」 公子縶就車中觀看,奏曰:「此乃勇士屠岸夷也。臣前弔晉二公子,夷亦奉本國大臣之命來迎,相遇於旅次,是以識之。」 穆公曰:「此人可留爲秦用乎?」 公子縶曰:「弑卓子,殺里克,皆出其手。今日正當順天行誅。」 穆公乃下令將屠岸夷斬首。親解錦袍,以覆白乙丙,命百里奚先以溫車載回秦國就醫。丙服藥,吐血數斗,半年之後,方纔平復。此是後話。
哼 : 겁낼 형. 겁내다. 신음하다. 코고는 소리. 溫車 : 누워서 탈 수 있게 만든 수레. 운구용으로도 쓰인다.
목공이 장수들을 점검해보니 오직 백을병 한 사람이 보이지 않았다. 군사들을 시켜 두루 찾아보게 하였는데 토굴속에서 신음소리가 들려 달려가 보았더니 바로 백을병과 도안이가 서로 붙잡고 싸우다가 굴속으로 굴러 들어간 것으로 모두 힘이 다하여 기절하였으나 아직도 서로 붙잡은채 손을 놓지 않고 있었다. 군사들이 두 사람을 떼어놓아 수레에 싣고 본채로 돌아갔다.
목공이 백을병에게 연유를 물었으나 기진하여 거의 말을 할 수 없었다. 그 두 사람이 싸우는 모습을 본 자가 있어 본대로 자세히 아뢰었다.
목공이 탄식하며 말했다.
"두 사람 모두 장부로다!"
그리고 좌우에 물었다. "이 당진 장수의 성명을 아는 자가 있는가?"
공자 집이 나아가 수레 안을 보고 아뢰었다.
"이 사람은 바로 당진의 용사 도안이입니다. 신이 지난 날 당진에서 망명한 두 공자들을 문상했을 때 도안이는 본국 대신들의 명을 받들어 공자 중이를 맞이하러 왔었으며 그때 제가 여각에서 만난 적이 있어 알아보게 된 것입니다."
목공이 물었다.
"이 사람을 머무르게 하여 섬진에서 기용할 수 있겠는가?"
공자 집이 말했다.
"탁자를 시해하고 이극을 살해한 일이 모두 그 자의 손으로 이루어졌습니다. 오늘 순리에 따라 죽이는 것이 마땅합니다."
목공이 마침내 영을 내려 도안이를 참수하였다. 그리고 친히 비단 전포를 벗어 백을병을 덮어주고 백리해로 하여금 먼저 온거에 싣고 섬진으로 돌아가 치료를 받게 했다. 백을병은 약을 복용하고 피를 몇 말이나 토한 끝에 반년이 지나 겨우 평소의 모습을 되칮았다. 이것은 후일의 이야기이다.
再說穆公大獲全勝,拔寨都起,使人謂晉侯曰:「君不欲避寡人,寡人今亦不能避君,願至敝邑而請罪焉!」 惠公俛首無言。穆公使公孫枝率車百乘,押送晉君至秦。虢射、韓簡、梁繇靡、家徒僕、郤步揚、郭偃、郤乞等,皆披髮垢面,草行露宿相隨,如奔喪之狀。穆公復使人弔諸大夫,且慰之曰:「爾君臣謂要食晉粟,用兵來取。寡人之留爾君,聊以致晉之粟耳,敢爲已甚乎?二三子何患無君?勿過戚也!」 韓簡等再拜稽首曰:「君憐寡君之愚,及於寬政,不爲已甚,皇天后土,實聞君語。臣等敢不拜賜!」 秦兵回至雍州界上,穆公集群臣議曰:「寡人受上帝之命,以平晉亂,而立夷吾。今晉君背寡人之德,即得罪於上帝也。寡人欲用晉君,郊祀上帝,以答天貺,何如?」 公子縶曰:「君言甚當。」
俛 : 숙일 부/힘쓸 면. 숙이다. 굽히다. [면] 힘쓰다. 노력하다. 그 모양. 貺 : 줄 황. 주다. 하사하다. 선사하다. 베풀다. 선사품. 하사품.
한편 목공은 전승을 거두고 영채를 뽑아 출발하면서 사람을 보내 당진의 혜공에게 말을 전했다.
"그대가 과인을 피하려고 하지 않아 과인도 그대를 피할 수 없었소. 섬진에 귀국하여 그대의 죄를 물으리라!"
혜공은 고개를 숙인채 말이 없었다.
목공은 공손지로 하여금 병거 100승을 인솔하여 당진의 혜공을 섬진으로 압송하게 하였다. 괵석(虢射)、한간(韓簡)、양요미(梁繇靡)、가복도(家僕徒)、극보양(郤步揚)、곽언(郭偃)、극걸(郤乞)등은 모두 머리를 풀어헤친채 때묻은 얼굴로 들판을 걷고 노숙하면서 따르는 모습이 마치 먼 곳에서 부모상을 당해 급히 집으로 돌아가는 것 같았다.
목공은 또 사람을 보내 대부들을 위로하며 말했다.
"그대들의 군신들은 '당진의 곡식을 먹으려면 군대를 몰고 와서 가져가라.'고 하였다. 과인이 그대들의 군주를 잡아두는 것은 애오라지 당진의 곡식을 받으려고 하는 것일 뿐이니 감히 너무 심하다고 할 수 있겠는가? 여러분들은 어찌 군주가 없는 것을 근심하는가? 너무 슬퍼하지 말지어다!"
한간등은 재배하고 머리를 조아리며 말했다.
"군주께서 저희 군주의 어리석음을 가련하게 여기시고 관대하게 처리해 주셨으니 너무 심하다고 할 수 없습니다. 황천후토가 진실로 군주의 말씀을 들었는데 신등이 감히 받들지 않겠습니까?"
섬진의 군대가 회군하여 도읍인 옹의 경계에 도착했을 때 목공이 신하들을 모아 의논했다.
"과인이 상제의 명을 받아 당진의 어지러움을 평정하고 이오를 군주로 세웠소. 지금 당진의 군주인 혜공은 과인의 덕행을 배신하여 상제께 죄를 지었소. 과인은 당진의 군주를 죽여 교외에서 상제께 제사를 지내 하늘이 내리신 은혜에 보답하려고 하는데 어떻소?"
공자 집이 대답했다.
"주군의 말씀이 진실로 합당합니다."
公孫枝進曰:「不可。晉大國也,吾俘虜其民,已取怨矣。又殺其君,以益其忿,晉之報秦,將甚於秦之報晉也!」 公子縶曰:「臣意非徒殺晉君已也,且將以公子重耳代之。殺無道而立有道,晉人德我不暇,又何怨焉?」 公孫枝曰:「公子重耳,仁人也。父子兄弟,相去一間耳。重耳不肯以父喪爲利,其肯以弟死爲利乎?若重耳不入,別立他人,與夷吾何擇?如其肯入,必且爲弟而仇秦。君廢前德於夷吾,而樹新仇於重耳,臣竊以爲不可。」 穆公曰:「然則逐之乎?囚之乎?抑復之乎?三者孰利?」 公孫枝對曰:「囚之,一匹夫耳!於秦何益?逐之,必有謀納者。不如復之。」 穆公曰:「不喪功乎?」枝對曰:「臣意亦非徒復之已也。必使歸吾河西五城之地,又使其世子圉留質於吾國,然後許成焉。如是,則晉君終身不敢惡秦,且異日父死子繼,吾又以爲德於圉。晉世世戴秦,利孰大乎?」 穆公曰:「子桑之算,及於數世矣!」 乃安置惠公於靈臺山之離宮,以千人守之。
不暇 : (…할) 시간이 없다. 겨를이 없다. 應接不暇 : 접대하느라 바빠 틈이 없다. 즉 접대하느라 매우 바쁘다.
공손지가 진언했다.
"불가합니다. 당진은 대국으로 우리가 그 백성을 사로잡아 이미 원성을 샀습니다. 또 그 군주를 죽인다면 그들은 더욱 분노하여 섬진에 복수하려고 할 것인데 장차 섬진이 당진에게 보복당하게 된다면 그 수위는 더욱 심하게 될 것입니다. "
공자 집이 말했다. "신의 뜻은 함부로 당진의 군주를 죽이자는 것이 아니라 공자 중이로 바꾸자는 것입니다. 무도한 군주를 죽이고 도가 있는 자를 군주로 세운다면 당진 사람들이 우리에게 고마워하느라 바쁠 것인데 어찌 원망을 하겠습니까?"
공손지가 다시 말했다.
"공자 중이는 어진 사람입니다. 부모형제는 떨어져 있어도 한 칸의 차이일 뿐입니다. 중이는 부친상을 당했을 때에도 이득을 보려하지 않았었는데 동생의 죽음으로 이득을 보려고 하겠습니까? 공자 중이가 귀국하지 않는다면 다른 사람을 세우게 될 것인데 이오와 무슨 차이가 있겠습니까? 중이가 들어온다 해도 반드시 동생을 위하여 섬진을 원수로 여길 것입니다. 그렇다면 주군께서 이오에게 전에 베푼 은덕을 폐하고 중이에게 새로운 원한을 심어주는 것이니 신의 소견으로는 이오(혜공)를 죽여서는 안됩니다."
목공이 물었다. "그렇다면 그를 쫒아낼까? 가두어 둘까? 아니면 복권시킬까? 셋 중에서 어느 것이 우리에게 유리할까?"
공손지가 대답했다. "가둔다 해도 일개 필부일 뿐인데 섬진에 무슨 이득이 있겠습니까? 또 쫒아낸다 해도 반드시 복귀하려고 음모를 꾸밀 것이니 복귀시키는 것이 낫습니다."
목공이 물었다. "힘들게 세운 공이 없어지지 않는가?"
공손지가 대답했다. "신의 뜻도 한갓 그를 복귀시키자는 것 뿐이 아닙니다. 반드시 하서(河西)의 5성의 땅을 우리에게 돌아오게 하여야 합니다. 또 당진의 세자 어(圉)를 우리 나라에 인질로 머무르게 해야 합니다. 그런 연후에 화의(和議)를 허락해야 합니다. 이렇게 한다면 당진의 군주는 죽을 때까지 감히 섬진을 미워하지 못할 것이고 훗날 당진의 군주가 죽어 그 아들이 계승한다면 우리는 세자인 어에게도 덕행을 베푼 것이 됩니다. 그러므로 당진에서는 대대로 섬진을 받들게 될 것인데 어느쪽이 이득이 더 큽니까?"
목공이 말했다. "자상의 헤아림은 여러 대에 미치겠도다!"
마침내 당진의 혜공을 영대산(靈臺山)의 이궁에 안치시키고 병사 천명으로 지키게 하였다."
穆公發遣晉侯,方欲起程。忽見一班內侍,皆服衰絰而至。穆公意謂有夫人之變,方欲問之。那內侍口述夫人之命,曰:「上天降災,使秦晉兩君,棄好即戎。晉君之獲,亦婢子之羞也。若晉君朝入,則婢子朝死,夕入,則婢子夕死!今特使內侍以喪服迎君之師。若赦晉侯,猶赦婢子,惟君裁之!」 穆公大驚,問:「夫人在宮作何狀?」 內侍奏曰:「夫人自聞晉君見獲,便攜太子服喪服,徒步出宮,至於後園崇臺之上,立草舍而居。臺下俱積薪數十層,送饔飱者履薪上下。吩咐:『只待晉君入城,便自殺於臺上。縱火焚吾屍,以表兄弟之情也。』」 穆公嘆曰:「子桑勸我,勿殺晉君。不然,幾喪夫人之命矣!」於是使內侍去其衰絰,以報穆姬曰:「寡人不日歸晉侯也。」 穆姬方纔回宮。內侍跪而問曰:「晉侯見利忘義,背吾君之約,又負君夫人之託,今日乃自取囚辱,夫人何為哀痛如此?」 穆姬曰:「吾聞『仁者雖怨不忘親,雖怒不棄禮。』若晉侯遂死於秦,吾亦與有罪矣!」內侍無不誦君夫人之賢德。
婢子 : 고대 부녀자들의 자기에 대한 겸칭. 첩. 하녀. 不日 : 불일간(不日間). 며칠 안에. 머지않아.
方纔 : 겨우. …해서야 비로소. 방금. 이제 막. 지금.
목공이 당진의 혜공을 떠나 보내고 막 출발하려고 하였다. 갑자기 한 무리의 내시들이 나타났는데 모두 상복(喪服)을 입고 왔다. 목공은 부인에게 변고가 있는가 생각하고 물으려고 하였다.
그 내시중 하나가 구두로 부인의 명을 전했다.
"하늘에서 재앙을 내려 섬진과 당진의 두 군주가 그 간의 우호관계를 버리고 전쟁을 하였습니다. 당진의 군주가 사로잡힌 것은 곧 첩의 수치입니다. 만약 당진의 군주가 아침에 들어온다면 첩도 아침에 죽을 것이고, 저녁에 들어온다면 첩도 저녁에 죽을 것입니다! 지금 특별히 내시들에게 상복을 입고 주군의 군대를 맞이하게 하였습니다. 만약 당진의 군주를 용서하신다면 첩이 용서를 받은 것과 같으니 오직 주군께서는 헤아리소서!"
목공이 크게 놀라 물었다.
"부인은 궁에서 어떤 모습으로 있는가?"
내시가 아뢰었다.
"부인께서는 당진의 군주가 사로잡히셨다는 소식을 듣고 바로 태자의 손을 잡고 상복으로 갈아입으신 후 걸어서 궁을 나가 후원의 숭대(崇臺)위로 가셔서 풀로 집을 짓고 그곳에서 지내고 계십니다. 숭대 아래에 장작을 수십 층으로 쌓고 장작을 밟고 오르내리며 아침 저녁으로 식사를 가져다 드리고 있습니다. 분부하시기를 '당진의 군주가 입성하기를 기다려 곧 대 위에서 자살하리라. 장작에 불을 붙이고 내 시신을 태우므로써 형제의 정을 드러낼 것이다.' 라고 하셨습니다."
목공이 탄식했다.
"자상이 나에게 권하여 당진의 군주를 죽이지 말라고 하였었다. 그렇지 않았더라면 부인의 생명을 잃을뻔 했도다!"
그리하여 내시에게 상복을 벗게 하고 목희에게 전하게 하였다.
"과인이 불일간에 당진의 혜공을 귀국시킬 것이오."
목희가 비로소 궁으로 돌아갔다.
내시가 무릎꿇고 물었다.
"당진의 혜공은 이익 앞에 의를 버리고 우리 주군과의 약속도 저버렸으며, 군부인의 부탁도 어겼습니다. 오늘날 스스로 자초하여 갇히는 수모를 당하고 있는데 부인께서는 어찌 이렇게 애통해 하십니까?"
목희가 대답했다.
"내가 듣기로 '인자(仁者)는 원한을 품을지라도 부모형제를 잊지 않으며, 노여워 해도 예를 버리지 않는다.'고 하였소, 만약 당진의 군주가 섬진에서 죽게 된다면 나도 죄를 짓게 되는 것이오."
내시가 부인의 현명함과 덕이 있음을 칭송하지 않을 수 없었다.
畢竟晉侯如何回國,且看下回分解。
필경 당진의 혜공은 어떻게 당진으로 돌아갔는가, 다음회를 보면 분명히 알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