柳川 2021. 11. 29. 20:25

                                               贈別二首 

 

                                                                                                             杜牧

 

其一。

娉娉褭褭十三餘、                          예쁘고 가냘픈 열서너 살 아가씨,
荳蔻梢頭二月初。                          이월 초순 가지 끝 두구화(豆蔲花) 같구나
春風十里揚州路、                          봄바람 불어오는 양주(揚州)의 십릿길에
卷上珠簾總不如。                          주렴 걷고 보아도 모두 너만 못하구나.

 

娉 : 장가들 빙/예쁠 빙.      褭:간들거릴 뇨. 간들거리다. 또는, 그런 모양. 간들거리게하다. 말뱃대 끈.  말이름.

荳 : 豆.      蔲 : 두구 구.

荳蔻 : 荳蔲는 肉荳蔲의 준말로 이 꽃의 꽃봉오리를 含胎花라고 하여 나이어린 아가씨를 비유했다.

春風十里 : 양주(揚州)의 창루가관(倡樓歌館)이 있던 곳을 가리키니곧 揚州夢記에 이른바 九里三十步街이다장우(張祜)의 憶淮南 : 揚州〉 시에 십 리 먼 길에 시정(市井)이 이어져 있네.[十里長街市井連]’라고 한 것도 여기를 가리킨다.

 

 

 

其二。

 

多情卻似總無情,                          다정함이 도리어 무정함 같아

唯覺尊前笑不成。                          술잔 앞에서 웃지 못함을 알겠노라.

蠟燭有心還惜別,                          촛불도 마음 있는가,  이별이 아쉬워,

替人垂淚到天明。                          나 대신 새벽까지 눈물 흘려주는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