柳川 2021. 12. 14. 13:33

                                                 無   題

 

 

                                                                                                        鄭知常

 

이 시는 고려때의 문신 이인로(李仁老)의 파한집(破閑集 卷下 30)에 실린 정지상의 시이다. 이별을 안타까워하는 시인데 제목이 없다. 그래서 무제(無題)로 제목을 달았지만 내가 제목을 단다면 마지막 어휘인 이수(離愁)가 적절할 것으로 본다.

 

 

 

桃李無言兮、                                복숭아 꽃 오얏 꽃은 말이 없어도, 

蝶自徘徊。                                   나비 스스로 넘나든다.

梧桐蕭洒兮、                                오동나무 선명하니, 

鳳凰來儀。                                   봉황이 날아와 앉도다. 

無情物引有情物、                          무정한 사물도 유정한 사물을 이끄는데,

况是人不交相親。                          하물며 사람이 사귀었으니 친하게 지내야 하지 않겠는가.

君自遠方來此邑、                          그대 먼 곳에서 이 마을에 와,

不期相會是良因。                          기약도 없이 만나 좋은 인연이 되었도다.

七月八月天氣凉、                           7, 8월 서늘한 때에는,

同衾共枕未盈旬。                          한 이불, 한 벼게로 며칠 밤을 보냈도다.

我若陳雷膠漆信、                          나에게는 진중(陳重)과 뇌의(雷義)같은 우정과 믿음이 있는데,

君今棄我如敗茵。                          그대는 지금 나를 해진 돗자리처럼 버리려 하네.

父母在兮不遠遊、                          부모가 계시므로 멀리 가지 못해,

欲從不得心悠悠。                          따라가고 싶어도 갈 수 없어 마음 서글프도다.

簷前巢燕有雌雄、                          처마 밑 제비집에 암컷과 수컷이 있고,

池上鴛鴦成雙浮。                          연못 위에는 원앙이 짝을 이뤄 떠논다.

何人驅此鳥、                                누가 이 새들을 쫒아버리고,

使我解離愁。                                내 이별의 시름을 씻어줄건가.

 

 

陳雷膠漆 : 後漢시대의 陳重과 雷義의 우정을 말함. <後漢書 獨行傳>

 

후한의 진중은 자가 경공으로 예장 의춘사람인데 어려서 파(鄱) 출신인 뇌양과 벗이 되었다. 뇌의의 자는 중공이었다. 태수가 진중을 효렴으로 천거하자 진중은 사양하고 뇌의에게 양보하였다. 태수가 듣지 않았으나 뇌의가 다음해에 효렴으로 천거되어 함께 낭서(郞署)에서 근무하게 되었고 후에 함께 상서랑에 제수되었다. 뇌의가 당시 다른 사람을 대신하여 벌을 받아 쫒겨나게 되자 진중은 뇌의가 떠나는 것을 보고 자신도 병으로 벼슬을 떠났다. 뇌의가 후에 무재(茂才)로 천거되었는데 진중에게 양보하고 명을 받지 않았다. 

향리에서 그들을 가리켜 말했다. "아교와 칠이 견고하다고 하여도 진중과 뇌의만 못하다." 삼부에서 동시에 그들을 초빙하여 함께 어사가 되었다.

 

後漢陳重字景公 豫章宜春人. 少與鄱陽雷義爲友. 義字仲公. 太守擧重孝廉 重以讓義. 太守不聽. 義明年擧孝廉 俱在郞署. 後俱拜尙書郞. 義代同時人受罪 以此黜退 重見義去亦以病免. 義後擧茂才 讓於重不應命. 鄕里爲之語曰 膠漆自謂堅 不如陳與雷. 三府同時俱辟 竝至御史.