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漢詩/杜甫

乾元中寓居同谷縣作歌七首

柳川 2022. 1. 5. 21:40

                                                 乾元中寓居同谷縣作歌七首

 

 

 

其 一。

 

有客有客字子美、                           나그네여, 나그네여, 자는 자미인데,
白頭亂髮垂過耳。                           흰 머리 헝크러져 귀 밑까지 드리웠네.
歲拾橡栗隨狙公、                           년말에 원숭이 좇아 도토리와 밤을 줍는데
天寒日暮山谷裏。                           추운 산 골짜기에 날이 저무는구나.

中原無書歸有得、                           중원에서 편지 없으니 돌아가지 못하고

手脚凍皴皮肉死。                           손발은 얼어터지고 피부에 감각이 없구나. 
嗚呼一歌兮歌已哀!                       오호라! 첫번째 노래여. 노래가 너무 슬프구나!
悲風爲我從天來。                           슬픈 바람 나를 향해 하늘에서 불어오네.

 

 

乾元 : 당 숙종肅宗의 연호(758~760)                    寓居 : (타향이나 남의 집에서) 얹혀살다(= 기거寄居, 교거僑居).

同谷 : 지명, 즉 동곡현을 가리킨다. 唐朝 때 秦州郡과 成州郡의 치소가 있던 곳. 두보가 동곡에 이르러 현령을 만나려 하였으나, 

        두보가 벼슬이 없고 생활이 곤궁한 것을 알고 있던 현령이 만나주지 않았다. 두보는 산밑에 움막을 틀고 식량도 떨어진

        상태에서 눈 쌓인 겨울을 나면서 이 시를 지었다.

有客 : 남의 집이나 타향에서 임시로 몸을 의탁해 지내는 것을 뜻하는 ‘寓居’를 쓴 것으로 보아 알 수 있듯이 두보는 스스로를 나그

        네로 불렀다. ‘子美’는 두보의 자이다. 두보는 이백과 마찬가지로 자신의 이름이나 자호를 자신의 작품 속에 쓰는 것을 좋아했다.

歲拾 : 여기서의 ‘歲’는 세밑(歲暮)을 가리킨다. 다음 구절에 오는 ‘天寒日暮’와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暮’를 생략한 것이다.

橡栗 : 상수리. 도토리. ‘橡’은 상수리나무를 이르는데 종류가 많고 이름도 각각 다르다. 중국의 南京에서는 ‘櫟樹’라 하고, 浙江과

        東北에서는 ‘橡樹’라고 하며, 四川에서는 靑紅樹라고 한다.

狙 : 원숭이 저. 원숭이. 개(犬). 교활하다. 속임. 노리다. 엿봄. 찾다.   

皴 : 주름 준. 주름. 살갗, 치마 따위에 잔줄이  트다. , 발등이 얼어터짐. 

 

 

 

其二。

 

長鑱長鑱白木柄、                           보습아 보습아 자루가  보습아,

我生托子以爲命。                           내가 너에게 기대 살아가는구나.

黃獨無苗山雪盛、                            산에 황독 싹은  보이고

短衣數挽不掩脛。                           짦  거듭 당겨도 정강이를  가리네

此時與子空歸來、                           오늘도 너와 함께  손으로 돌아오니

男呻女吟四壁靜。                           고요한  안에서 아이들만 앓고 있네

嗚呼二歌兮歌始放、                       오호라, 두번째 노래여! 노래를 시작하니,

閭里爲我色惆悵。                           이웃들도 나 때문에 안색이 어두워지네.

 

鑱 : 보습 참. 보습. 쟁기의 날. 침. 돌침. 송곳. 끌. 나무에 구멍을 파는 따위에 쓰는 연장. 파다. 뚫음. 날카롭다. 예리함. 찌르다. 

黃獨 : 야생 식물. 토란처럼 생겼으며 옛날에는 사람들이 구황식품으로 먹었다. 唐 詩人 戴叔倫은 시에서 “地瘦無黃獨”고 했다.

 

 

 

其三。

 

有弟有弟在遠方、                           아우들아 아우들아 멀리 있는 아우들아

三人各瘦何人强。                            사람 모두 여위었으니   누가 건강할까

生別展轉不相見、                           헤어져 떠돌며 사느라 서로 만나지도 못하고

胡塵暗天道路長。                           난리  어두운 세상에 길도 멀구나.

東飛駕鵝後鶖鶬、                           동쪽으로 날아가는 기러기 물수리가 따르는데

安得送我置汝旁。                           어찌하면 네 곁에 머물 수 있을까?

嗚呼三歌兮歌三發、                       오호라, 세번째 노래여! 노래를   불러보는데

汝歸何處收兄骨。                           너희가 오면 어디에서 형의 뼈를 거두겠느냐

 

 鶖 : 무수리 추. 무수리. 황새과 물새.               鶬 : 왜가리 창. 왜가리. 꾀꼬리. 백로과의 두루미.

 

 

 

其四。

 

有妹有妹在鐘離、                           누이야 누이야 종리 사는 누이야

良人早歿諸孤痴。                           남편이 일찍 죽어 아이들 모두 어리구나

長淮浪高蛟龍怒、                           회수의 물결이 높은 것은 교룡이 화났기 때문인가?

十年不見來何時。                            년동안 보지도 못했는데 어느 때나 보겠느냐?

扁舟欲往箭滿眼、                           작은  타고 가고 싶어도 화살이 날아들고

杳杳南國多旌旗。                           머나먼 남쪽 땅엔 군대 깃발 많도다

嗚呼四歌兮歌四奏、                       오호라, 네번째 노래여!   불러보는데

林猿爲我啼淸晝。                            속의 잔나비도 나를 위해 대낮에 우네.

 

痴 : 어리석을 치. 癡 → 稚.

 

 

其五。

 

四山多風溪水急、                            산마다 바람 많아 물살 급하고

寒雨颯颯枯樹濕。                            찬비까지 내려서 마른나무 적시네

黃蒿古城雲不開、                            개똥쑥 가득한  성에 운무가 자욱한데

白狐跳梁黃狐立。                             여우들 뛰어다니고 노랑 여우는 서있네

我生何爲在窮谷、                            내가 살아 무엇 하러 이곳까지 들어왔는지

中夜起坐萬感集。                            한밤중에 일어나 앉으니 만감이 일어나네

嗚呼五歌兮歌正長、                        오호라, 다섯째 노래 다섯  길게 불러보는데

魂招不來歸故鄕。                            혼을 불러도 오지 않고 고향으로 가버리네

 

 

 

其六。

 

南有龍兮在山湫、                            남쪽에  있는데 산속 연못이고

古木巃嵷枝相樛。                            고목들 모여 있어 가지 서로 휘었네

木葉黃落龍正蟄、                            나뭇잎 누렇게  용이  잠들었는데

蝮蛇東來水上游。                            동쪽에서  독사가  위에서 노니네

我行怪此安敢出、                            내가 가서 무서움 모르는 괴이한 뱀을

拔劍欲斬且復休。                            칼을 빼서 베어버리려다 그만 두었네

嗚呼六歌兮歌思遲、                        오호라, 여섯째 노래 생각 더디 나는데

溪壑爲我回春姿。                            산골짝도 나를 위해  모습으로 돌아오네         

 

 

 

其七。

 

男兒生不成名身已老、                    남자로 나서 이름     이미 늙었고

三年饑走荒山道。                            지난    주리며 거친 길을 지나왔네

長安卿相多少年、                            장안 사는 높은 이들 젊은이가 많은데

富貴應須致身早。                            부귀도 마땅히  젊을  이르러야지

山中儒生舊相識、                             속의 유생도 예전엔 서로 알았건만

但話宿昔傷懷抱。                            말하는  옛날 일뿐이라 맘만 다치네

嗚呼七歌兮悄終曲、                        오호라, 일곱째 노래 쓸쓸하게 마치고 나서

仰視皇天白日速。                            하늘을 바라보자니 세월  빠르네

 

 

弟 : 두보에게는 潁, 觀, 豊, 占 등 아우가 넷 있었는데 시를 지었을 때는 占 한 명만 그와 함께 있었다.

駕鵝 : 들새의 이름. 기러기처럼 크다.        鶖鶬 : 고서에 나오는 뱀 등을 잡아먹는 성질이 사나운 새를 가리킨다.

鐘離 : 지명. 淮水 남쪽에 있다.

黃蒿古城雲不開 : 同谷은 한나라 때 武都郡에 속해 있었는데 당 天寶 원년(742)에 同谷으로 이름을 바꿨다. 성에 개똥쑥(黃蒿)이 많이 

        자라 있어 古城이라 한 것이다. ‘雲不開’는 앞이 잘 안 보일 만큼 운무가 짙게 끼어있는 것을 가리킨다.

跳梁(도량): 뛰어오르다. 도약하다.    湫 : 용이 있는 연못.    巃嵷: 산이 험준한 모양. 김이 솟는 모양. 모여있는 모양. (정도가) 깊다.

蟄 : 엎드려 숨다(= 伏藏)            蝮蛇 : 살무사         身已老 : 이때 두보의 나이 48세였다.

▶ 三年 : 지덕 至德 2년(757)부터 건원 乾元 2년(759)까지의 3년을 가리킨다.       宿昔 : 이전. 지난날(=昔日).

 

 

 

[해설] 

이 시는 두보가 건원乾元 2년(759) 음력 11월에 지은 것이다.  이 해는 두보의 행로가 가장 많은 한 해이기도 했고 그런 만큼 그는 참담한 고생을 겪어야 했다.  그는 그렇게 비참한 한 해를 보내면서 피를 토하고 눈물을 쏟아내듯 이 시를 썼다.

첫 편에서는 나그네처럼 떠도는 자신의 곤궁한 신세를 노래했고,

둘째 시에서는 온 가족이 배를 곯다 병을 앓기에 이른 참담한 상황을 읊었으며,

셋째부터 다섯째 시까지는 형제와 누이를 그리워하고 안타까워하는 마음을,

여섯 번째 시에서는 한 사람, 한 가족에서부터 나라까지를 걱정하는 마음을,

그리고 마지막 일곱 번째 시에서는 이룬 것 없이 늙어버린 시인 자신의 쓸쓸한 처지를 노래했다.

 

우리나라에서는 조선 숙종때의 위항시인 홍세태(洪世泰 1653 ~ 1625)가 이 시의 형태를 빌어 염곡칠가(鹽谷七歌)를 지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