說苑序 - 曾鞏
說苑序
劉向所序說苑二十篇, 崇文總目云, 「今存者五篇, 餘皆亡。」 臣從士大夫間得之者, 十有五篇, 與舊爲二十篇。正其脫謬, 疑者闕之, 而叙其篇目 曰,
向采傳記百家所載行事之迹, 以爲此書奏之, 欲以爲法戒。然其所取或有不當於理, 故不得而不論也。夫學者之於道, 非知其大略之難也, 知其精微之際 固難矣。孔子之徒三千, 其顯者七十二人, 皆高世之材也。然獨稱, 『顔氏之子, 其殆庶幾乎。』 及回死, 又以爲, 『無好學者。』 而回亦稱夫子曰, 『仰之彌高, 鑽之彌堅。』 子貢又以謂, 『夫子之言性與天道, 不可得而聞也。』 則其精微之際 固難知久矣。是以 取舍不能無失於其間也。故曰, 『學然後知不足。』 豈虛言哉!
向之學博矣, 其著書及建言, 尤欲有爲於世, 忘其枉己而爲之者有矣。何其徇物者多, 而自爲者少也? 蓋古之聖賢, 非不欲有爲也。然而曰, 『求之有道, 得之有命。』 故孔子所至之邦, 必聞其政。而子貢以謂, 『非夫子之求之也。』 豈不求之有道哉!
子曰, 『道之將行也歟命也, 道之將廢也歟命也。』 豈不得之有命哉! 令向知出此, 安於行止, 以彼其志能擇其所學, 以盡乎精微, 則其所至未可量也。是以夫子稱, 『古之學者爲己。』 孟子稱, 「君子欲其自得之, 自得之, 則取諸左右逢其原。』 豈汲汲於外哉!
向之得失如此, 亦學者之戒也。故見之叙論, 令讀其書者, 知考而擇之也。然向數困於讒, 而不改其操, 與夫患失之者異矣。可謂有志者也。
編校書籍臣曾鞏上。
崇文總目 : 北宋 때 편수한 서적 목록. 仁宗이 翰林學士 張觀‧李淑‧宋祁 등에게 명하여 三館(昭文‧史館‧集賢)과 秘閣에 소장된 서적을
정리하여 펴낸 서목이다. 經籍 3,445部, 30,669卷의 목록을 집대성한 것으로, 北宋時代 最大의 目錄書이다.
顔氏之子, 其殆庶幾乎 : 《周易》 〈繫辭下傳〉의 5章에 보인다. “안회는 거의 도에 가까울 것이다. 선하지 못한 점이 있으면 알지 못한
적이 없고, 알면 다시는 하지 않았다. [顔氏之子, 其殆庶幾乎. 有不善 未嘗不知 知之 未嘗復行也]”
無好學者 : 論語(雍也 第 2章)에 나온다. 哀公問, 「弟子孰爲好學?」 孔子對曰, 「有顔回者好學, 不遷怒不貳過, 不幸短命死矣。今也則亡,
未聞好學者也。」
仰之彌高 ~ : 論語(子罕 第10章)에 나온다. 顔淵喟然歎曰, 「仰之彌高, 鑽之彌堅, 瞻之在前, 忽然在後。.... 」
夫子之言性與天道 : 論語(公冶長 第12章)에 나온다. 子貢曰, 「夫子之文章, 可得而聞也, 夫子之言性與天道, 不可得而聞也。」
學然後知不足 : 《禮記》 〈學記〉에 “지극한 도가 있더라도 배우지 않으면 그것이 좋음을 알지 못한다. 이 때문에 배운 뒤에야 부족함을
알고 가르친 뒤에야 모자람을 안다.[雖有至道 弗學不知其善也 是故學然後知不足 敎然後知困]”라고 보인다.
求之有道, 得之有命。: 孟子(盡心上 第3章)에 보인다. 孟子曰, 「求則得之, 舍則失之, 是求有益於得也, 求在我者也。求之有道, 得之有命,
是求 無益於得也, 求在外者也。」
有爲 : 능력이나 쓸모가 있음. 徇物者 : 여기에서의 物은 남의 일 또는 의견.
孔子所至之邦, 必聞其政 : 論語(學而 第10章)에 나온다. 子禽問於子貢曰, 「夫子至於是邦也, 必聞其政, 求之與? 抑與之與?」 子貢曰, 「夫
子溫良恭儉讓以得之, 夫子求之也, 其諸異乎人之求之與。」
道之將行也歟命也 : 논어(憲問 第39章)에 보인다. 子曰, 「...... 道之將行也與 命也, 道之將廢也與 命也, 公伯寮其如命何?」
古之學者爲己 : 論語(憲問 第26章)에 보인다. 子曰, 「古之學者 爲己, 今之學者 爲人。」
君子欲其自得之 : 孟子(離婁下 第14章)에 나온다. 孟子曰, 「君子深造之以道, 欲其自得之也。自得之則居之安, 居之安則資之深, 資之深
則取之左右 逢其原。故 君子欲其自得之也。」
유향(劉向)이 서술한 설원(說苑) 20편에 대해 숭문총목(崇文總目)에는 “지금 남아 있는 것은 5편이고 나머지는 모두 없어졌다.”라 하였습니다.
신이 사대부들 사이에서 찾은 것이 15편이니, 구본(舊本)과 합하면 20편이 됩니다. 그중 빠지고 잘못된 부분을 바로잡으면서 의심스러운 것은 놔두고 그 편목에 서문을 써서 다음과 같이 말씀드립니다.
유향이 전기(傳記)와 제자백가서(諸子百家書)에 기재된 행사(行事)의 자취를 채집하여 이 책을 만들어 천자에게 올렸으니, 이는 전범(典範)과 감계(鑑戒)로 삼고자 한 것이다. 그러나 그가 골라 모은 것이 더러 이치에 맞지 않은 것이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해 말하지 않을 수 없다. 배우는 사람이 도에 있어서 그 대략적인 것을 아는 게 어려운 것이 아니라, 그 정미(精微)한 부분을 아는 것이 참으로 어려운 것이다.
공자의 문도가 3천 명이나 되지만 그 가운데에서 드러난 사람이 72명이며 모두 당대의 재주가 뛰어난 인재들이다.
그러나 공자는 “안씨(顔氏)의 아들은 아마 도(道)에 가까울 것이다.”라 하여 안회(顔回)만을 칭찬하였고, 안회가 죽었을 때에는 또 “학문을 좋아하는 사람이 없다.”고 하셨다.
그리고 안회도 공자를 칭송하여 “우러러볼수록 더욱 높고 뚫을수록 더욱 견고하다.” 하였고, 자공(子貢)도 “선생님께서 인간의 본성과 천도(天道)에 대해 말씀하시는 것은 들을 수가 없다.” 고 하였다. 그러니 그 정미한 부분은 진실로 알기 어려운 지가 오래되었다. 그러므로 취사선택을 함에 있어서 그 사이에 실수가 없을 수는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배운 뒤에야 부족함을 안다.” 하였으니, 이 말이 어찌 빈말이겠는가.
유향은 학문이 넓고 그가 저술한 책과 건의한 말들은 더욱 세상을 위해 좋은 일을 하려고 한 것이었으나, 자신은 바르지 않으면서 세상을 위한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망각한 점이 있었다. 어찌 남의 의견을 따른 것은 많은데 자기가 한 일은 적은가? 옛 성현이 세상을 위해 좋은 일을 하려고 하지 않은 것은 아니었다. 그러나 “구하는 데에 도가 있고 얻는 데에 명(命)이 있다.” 고 하였다. 그 때문에 공자는 찾아간 나라에서 반드시 그 나라의 정사(政事)를 들었다. 그러나 자공(子貢)은 “선생님께서 요구하여 들은 것이 아니다.”라 하였는데, 어찌 구하는 것이 도에 있는 것이 아니겠는가?
공자께서 “도가 장차 행해지는 것도 명(命)이며, 도가 장차 폐해지는 것도 명이다.” 하셨는데, 어찌 얻는 것이 명에 있는 것이 아니겠는가?
가령 유향이 이 도리를 따라 나갈 줄을 알아, 나오고 그치는 것을 천명(天命)이라 편안히 여기면서 저와 같은 좋은 뜻으로 배운 바를 잘 선택하여 정미함을 다하였다면 그가 이룬 경지를 헤아릴 수 없었을 것이다.
그러므로 공자는 “옛날의 배우는 사람들은 자신을 위한 공부를 하였다.”고 하셨고, 맹자는 “군자는 (도로써 깊이 나아가는 것은) 스스로 깨우쳐 터득하고자 하기 때문이니, 스스로 깨우쳐 터득하였다면 좌우에서 취하여 그 근원을 만난다.” 고 하셨다. 그러니 어찌 자신이 아닌 외물(外物)을 추구하는 일을 급하게 여기겠는가.
유향의 잘잘못이 이와 같으니 이 또한 배우는 사람들이 경계해야 할 점이다. 그 때문에 서론에서 이 점을 드러내어 이 책을 읽는 사람들이 잘 고찰하여 선택해야 함을 알게 하려 하였다. 그렇지만 유향이 여러 차례 참소를 당하는 곤경을 겪었으나 그 지조를 바꾸지 않았다. 이는 〈얻은 부귀를〉 잃을까 근심하는 사람들과는 다르니, 훌륭한 뜻이 있는 사람이라고 이를 만하다.
사관(史館)에서 서적을 편교(編校)하는 신(臣) 증공(曾鞏)이 올립니다.
[번역및 注 동양고전종합DB 의 내용을 참고및 인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