柳川 2022. 2. 26. 23:03
                                                        釣名諷
 

 

釣魚利其肉、                                          물고기를 낚는 것은 고기를 먹는 이로움이 있지만 
釣名何所利?                                          이름(명성)을 낚는 것은 무슨 이로움이 있는가?
名乃實之賓、                                          이름이란 곧 실상(實像)의 손님이라, 
有主賓自至。                                          실상인 주인이 있으면 손님은 저절로 온다. 
無實享虛名、                                          실상이 없이 헛되이 명성만 누리려 한다면
適爲身所累。                                          마침내 그 신상에 연루되는 일이 생긴다.
龍伯釣六鼇、                                          용백의 거인은 여섯 마리 큰 자라 낚았는데,
此釣眞壯矣。                                          그 낚시는 참으로 장한 일이었도다.
太公釣文王、                                          태공이 낚시를 하다가 문왕을 만났지만,
其釣本無餌。                                          그 낚시에는 본래 미끼가 없었도다.
釣名異於此、                                          명성을 낚는 것은 이와는 다르니,
僥倖一時耳。                                          한때의 요행일 뿐이로다. 
有如無鹽女、                                          그것은 무염 고을 종리춘(鍾離春)같이 추한 여자가 
塗飾暫容媚。                                          단장하여 잠시 아름답게 꾸민 것일 뿐이다.
粉落露其眞、                                          분이 지워지면 참 모습이 드러나 
見者嘔而避。                                          보는 사람이 구역질이 나서 피하는 것과 같도다.
釣名作賢人、                                          명성을 낚아 어진 사람이 된다면 
何代無顔子?                                          어느 시대인들 안자(顔子 : 顔回)가 없겠는가?
釣名作循吏、                                          명성을 낚아 큰 관원이 된다면 
何邑非龔遂?                                          어느 고을엔들 공수같은 관리가 없겠는가?  
鄙哉公孫弘、                                          비열하도다, 공손홍이여 !
爲相乃布被。                                          정승이 되어 베로 된 이불을 덮었도다.
小矣武昌守、                                          소심하도다, 무창태수여 !
投錢飮井水。                                          돈을 주고서 우물 물을 마셨도다.
淸畏人之知、                                          청백하면서도 남이 알까 두려워 했으니,
楊震眞君子。                                          양진은 진정한 군자였도다.
吾作釣名篇、                                          내 조명편을 지어서 
以諷好名士。                                          명성을 좋아하는 선비를 풍자하노라

 

                                                                                              [東文選  卷4.]

 

龍伯 : 龍伯國의 거인. 발해(渤海)의 동쪽에 대여(岱輿), 원교(圓嶠). 방호(方壺), 영주(瀛州), 봉래(蓬萊)의 다섯 선산(仙山)을 떠

        받치고 있는 여섯마리의 큰 자라를 용백국의 거인이 한꺼번에 모두 낚아 그 나라로 돌아가자 대여와 원교 두 산이         

        북극으로 흘러가서 바다아래로 갈아앉았다고 한다. 

          而龍伯之國有大人舉足不盈數千而暨五山之所一釣而連六鼇合負而趣歸其國灼其骨以數焉於是岱輿員嶠

          二山流於北極沈於大海仙聖之播遷者巨億計帝憑怒侵減龍伯之國使阨侵小龍伯之民使短<列子 湯問>

 

無鹽女 : 劉向의 列女傳(辨通傳/齊鍾離春)에 나오는 齊나라의 鍾離春을 말함. 그 용모가 아주 추해 용모가 추한 여자로 자주 인

          용된다.

顔子 : 공자의 제자 顔回. 공자의 제자에는 학자 · 정치가 · 웅변가로서 뛰어난 사람이 많았으나 안회는 덕의 실천에서 가장 뛰

          어났다.  그는 가난하고 불우한 생활에도 불구하고 오로지 연구와 수덕에만 전념하여, 공자가 가장 사랑하는 제자가 되

          었으며, 공자의  제자 가운데 겸허한 구도자의 상징이 되었다.

龔遂 : 자는 소경(少卿), 산양(山陽) 남평현(南平陽) 출신이다. 창읍(昌邑)의 낭중령(郞中令)을 지냈다. 창읍왕 유하(劉賀)의 행동

          이 올바르지 않자 간쟁을 하다가 눈물을 흘릴 정도로 강직하며 절개를 지킨 인물로 순리열전(循吏列傳)에 실려있다.

          전한 선제(BC74~BC49)시대에 발해군 태수가 되어 기근을 다스렸다.          <한서 권89, 공수열전>

公孫弘 : BC199 ~ 121, (나라 사람자는 계재(季齋), 한 무제(漢武帝때 승상(丞相)이 되어 평진후(平津侯)에 봉해졌고

          동각(東閣)을 열어 사류(士流)를 연접하여 그 봉록이 모두 빈객 접대에 들어갔으며자신은 현미(玄米밥을 먹고 베 이불

          을 덮었다.   <前漢書 公孫弘傳>

武昌守 : 남북조시대 梁나라 武昌太守 하원(何遠)이 여름에 마실 물이 나쁘므로 사람을 시켜 민가의 우물에서 물을 길어다 마시

          며 물값을 주었다고 한다. 또 前漢시대 안릉(安陵)의 항중산(項仲山)과 東漢시대 영천(穎川)의 황자렴(黃子廉)은 말에 물을

          먹일 때 엽전 서푼을 물 속에 던져 물값으로 삼았다고 함. 

楊震 : 후한시대(54년 ~ 124년)의 관료로, 자는 백기(伯起)이며 홍농군 화음현(華陰縣) 사람. 전한의 개국공신 양희의 8세손으로,

           고조부  양창은 전한의 승상이었다. 젊어서부터 학문을 좋아하여 관서공자(關西孔子)라는 미명이 있었으며 형주자사를 

           비롯 사도, 태위 등 요직을 두루 역임하였다. 그가 태위로 있을때 안제의 유모인 왕성(王聖) 및 중상시 번풍(樊豊)등의

           세력이 강하여 조정의 부패가  만연하였으므로 양진은 여러 차례 상소를 올려 간절이 간언하였다. 번풍의 모함으로 파면당하자

           울분을 참지 못하고 자결하였다.   

           그가 동래태수 부임중 창읍현령으로부터 금품을 제공받고 거절하며 남긴 말은 「楊震의  四知」라 하여 오늘 날까지

             회자되고 있다.            (天知神知我知子知, 何謂無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