泊秦淮
泊秦淮
煙籠寒水月籠沙、 안개는 차가운 강물을 덮고 달빛은 모래를 감쌌는데,
夜泊秦淮近酒家。 밤되어 진회하에서 묵었는데 술집이 가까웠도다.
隔江猶唱後庭花。 강(秦淮河)건너에서 아직도 후정화를 부르네.
秦淮 : 秦淮河를 말한다. 江蘇省 栗水縣 동북쪽에서 발원하여 서쪽으로 金陵(지금의 江蘇省 南京市)을 경유하여 長江으로 들어간다.
秦代에 鐘山을 뚫어, 淮水를 통하게 했는데 이 때문에 ‘秦淮河’라 이름했다고 전한다.
後庭花 :
〈玉樹後庭花〉라 하며, 후인들은 이를 ‘亡國之音’이라 칭한다. 남북조시대에 陳나라의 마지막 군주인 陳叔寶가 빈객을 맞아 貴妃 등과 즐겁게 잔치할 때마다 貴人과 女學士와 빈객들에게 시를 지어 서로 주고받게 하였다. 그중에 더욱 아름다운 시를 뽑아 가사로 삼고 노래를 지어 아름다운 궁녀 수백 명으로 하여금 노래 부르게 하였는데, 〈옥수후정화〉는 그 악곡 중의 하나이다. 우리나라에서는 《樂學軌範》에 後殿, 後庭花, 北殿이라 하여 고려 忠惠王이 뒤뜰에서 여자들과 어울려 불렀다고 전해지는데 조선 세종 때 폐지되었다고 한다. 이어 성종 때 成俔이 왕명에 의하여 樂歌를 改刪할 때, 조선 창업을 송축한 가사로 개작하였다. 《經國大典》에는 鄕樂工을 뽑을 때 시험곡으로 썼다는 기록도 있다.
〈玉樹後庭花〉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꽃숲에 묻혀 있는 귀비의 전각이 임춘 고각에서 바라보인다. 단장한 귀비 모습 경국의 미인이네. 창문에 어른거릴 뿐 나오지 않음은, 휘장 걷고 서로 만날 때 함박 웃는 뜻이겠지. 아름다운 너의 얼굴 이슬 머금은 꽃송이 같다. 만발한 玉樹에 흐르는 빛 뒤뜰을 비추네. 꽃은 피었다가 져 오래가지 않으리니, 땅 가득 떨어진 꽃잎 고요한 데로 돌아가겠지.[麗宇芳林對高閣 新妝豔質本傾城 映戶凝嬌乍不進 出帷含態笑相迎 妖姬臉似花含露 玉樹流光照後庭 花開花落不長久 落紅滿地歸寂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