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의 漢詩/杜牧

宣州開元寺水閣, 閣下宛溪夾溪故人。

by 柳川 2016. 6. 6.

                                  宣州開元寺水閣, 閣下宛溪夾溪故人。                 

                                                                                                                               


六朝文物草連空、                      육조의 문물이 번성하던 곳이 풀밭으로 변해 허공에 연해 있고,
 
天淡雲閑今古同。                      하늘에 옅게 떠있는 구름은  예나 지금이나 변함이 없네.
 
鳥去鳥來山色裏、                      새는 숲속을 오가고
 
人歌人哭水聲中。                      사람들 노래소리 곡하는 소리 물 소리에 묻혔다.
 
深秋簾幕千家雨、                      깊은 가을, 주렴친 집들 위로 비가 내리는데,
 
落日樓臺一笛風。                      석양에 누대에서 한가닥 피리소리 바람결에 실려오네
 
惆悵無因見范蠡、                      범려를 만날 인연 없는 것이 섭섭한데
 

參差煙樹五湖東。                      오호의 동쪽에  뿌연 안개 속에 나무들이 보이네

 

 

宣州 :  현재의 안휘성 선성현
惆 : 실망할 추. 悵=한탄할 창, 원망할 창.
范蠡(범여) : 월나라 대부. 오나라 왕 부차와의 전쟁에서 승리후, 월나라 왕 구천(句踐)이 옛모습을 잃고 성정이 변하자 자세히 관상을

       본즉, 목이 길고 입은 새 주둥이처럼 튀어 나온 장경조훼형(長頸鳥喙型)임을 발견하고 환난을 같이 할 수 있어도 환락은 같이 할

       수 없음을 깨닫고 제나라로 건너가 치이자피라 이름을 바꾸고 농사를 짓고 살았다. 
       몇년 지나지 않아 그 특유의 치부술(致富 術)로 일약 거부가 되어 이름이 높아져 제왕(齊王)  정공(定公)으로부터 초빙을 받아 
       승상으로 재직타가, 이를 사직하고 재산을 백성들에게 나누어 준 후, 도(陶)나라로 이주한 후, 몇년후 다시 거부가 되자  사람들이
       그를 도주공(陶朱公)이라 불렀다.
 
水閣 : 물위나 물가에 세운 누각. 

☞六朝 

6조라는 용어는 이 시기에 중국 중부에 있는 도시 난징[南京]에 수도를 두고 흥망성쇠를 거듭했던 여섯 왕조에서 유래되었다.

이 여섯 왕조는 오(吳:222~280) · 동진(東晉:317~420) · 유송(劉宋:420~479) · 남제(南齊:479~502) · 남량(南梁:502~557) · 남진(南陳:557~589)을 말한다. 이와 같은 시기에 중국 북부에는 중앙 아시아에서 침입해온 유목민족이 세운 부족국가들이 있었다. 이들을 북조(北朝)라고 하는데, 중요한 국가를 들자면 뤄양[洛陽]에 도읍을 세웠던 북위(北魏:386~534/535), 안양[安陽]에 도읍을 세웠던 동위(東魏:534~550), 장안(長安)에 도읍을 세웠던 서위(西魏:535~556/557), 안양에 도읍을 세웠던 북제(北齊:550~577), 장안에 도읍을 세웠던 북주(北周:557~581)가 있었다.

 

 

'중국의 漢詩 > 杜牧' 카테고리의 다른 글

贈別二首  (0) 2021.11.29
遣興  (0) 2020.06.20
赤壁  (0) 2017.01.10
江南春節句  (0) 2016.06.06
山行  (0) 2016.06.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