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漢文基礎/漢詩의 基礎3

시문의 句式 시문의 句式 시문의 句式이라는 것이 있는데 이 연습을 많이 하면 어법에 대한 이해에 도움이 됩니다. 또한 어법에 맞는 작문을 할 수 있게 됩니다. 아래는 어래산님의 夏日이라는 시의 구식입니다. 견해에 따라 다를 수도 있는 것이 구식이므로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詩作에 있어서 스스로 구식을 만들 수 있어야 하며 특히 대장이 되는 련은 구식이 같아야 정교해집니다. 한자의 특성상 품사가 전용된 경우의 구식이 어렵습니다. 前山後水晴 (전산후수청) 평평측측평 앞산 뒷물에 비가 그치니 tN-tN-F 鳥囀片雲輕 (조전편운경) 측측측평평 새도 울고 구름 가볍구나. N-V-fN-F 綠葉深深暗 (녹엽심심암) 측측평평측 푸른 잎 깊어져 어둑하고 fN-DR-F 紅薔點點明 (홍장점점명) 평평측측평 붉은 장미 점점이 빛나네. .. 2019. 3. 17.
근체시의 평측보 근체시의 평측보 <범례> ○는 평성, ●는 측성, ◎는 압운을 나타낸다. ◐는 평성과 측성 어느 쪽이든 가능 [1]평기식: 1구의 2번째 글자가 평성으로 시작한다 평성 압운 측성 압운 오언 칠언 오언 칠언 절구 ◐ ○ ○ ● ● ◐ ● ● ○ ◎ ◐ ● ○ ○ ● ◐ ○ ◐ ● ◎◐ ○ ◐ ● ● ○ .. 2017. 8. 2.
漢詩의 出發 漢詩의 出發 1. 문사철 동양에서는 원래 문사철(文史哲)이라는 게 하나이다. 문학과 사학과 철학이 하나다. 문사철을 분리하면 학문이 안 된다. 그런데 다들 문학하는 사람은 문학만 하고, 철학하는 사람은 철학만 하고, 사학하는 사람들은 사학만 하는데, 이건 잘못된 학문이다. 문사철을 .. 2017. 8.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