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파한집3

卷下30. 西都古高句麗所都也 西都古高句麗所都也。控帶山河, 氣像秀異, 自古奇人異士多出焉。睿王時有俊才, 姓鄭者忘其名。 垂髫時送友人詩云, 雨歇長堤草色多, 送君千里動悲歌。 大同江水何時盡, 別淚年年添作波。 又作詩云, 桃李無言兮, 蝶自徘徊。 梧桐蕭洒兮, 鳳凰來儀。 無情物引有情物, 况是人不交相親。 君自遠方來此邑, 不期相會是良因。 七月八月天氣凉, 同衾共枕未盈旬。 我若陳雷膠漆信, 君今棄我如敗茵。 父母在兮不遠遊, 欲從不得心悠悠。 簷前巢燕有雌雄, 池上鴛鴦成雙浮。 何人驅此鳥, 使我解離愁。 其後赴上都擢高第, 出入省闥, 謇謇有古諍臣風。嘗扈從長源亭題詩云, 風送客帆雲片片, 露凝宮瓦玉鱗鱗。 綠楊閉戶八九屋, 明月倚樓三兩人。 其語飄逸出塵皆類此。 及作東山齋眞靜先生祭文, 上亦命作東山齋記, 作表云, 鶴背登眞, 乘白雲於杳漠。 螭頭紀事, 披紫詔之丁寧。 又云, 年踰七十, 不離.. 2020. 11. 3.
卷上 3. 文房四寶 文房四寶, 皆儒者所須, 唯墨成之最艱。 然京師萬寶所聚, 求之易得。故人人皆不以爲貴焉。及僕出守孟城, 承都督府符, 造供御墨五千挺。趁春月首納之, 乘遽到孔巖村. 驅民採松烟百斛, 聚良工躬自督役, 彌兩月云畢. 凡面目衣裳皆有烟煤之色, 移就他所, 洗浴良苦然後還城. 是後見墨雖一寸, 重若千金不敢忽也. 因念世人所受用, 如剡藤·蘄竹·蜀錦·吳綾, 皆類此. 古人云, “憫農詩, ‘誰知盤中飡, 粒粒皆辛苦.’ 誠仁者之語也.” 僕始得孟城作一絶云, 稚川腰綬白雲邊, 手採丹砂欲學仙。 自笑驚蛇餘習在, 左符猶管碧松烟。 符 : 문서. 挺 : 정. 총, 연장등을 세는 단위. 剡 : 날카로울 염/땅이름 섬. 날카롭다. 깎다. 삭제하다. 뾰족하다. 침범하다. 범하다. 천거하다. 추천하다. 들다. 들어올리다. 잣다. 실을 뽑다. 빛나는 모양. 일어서는 모양.. 2019. 4. 4.
卷上 1. 晉陽古帝都 左諫議大夫秘書監寶文閣學士知制誥李仁老撰 晉陽古帝都, 溪山勝致爲嶺南第一。有人作其圖, 獻李相國之氐。 帖諸壁以觀之, 軍府參謀榮陽與齡往謁, 相國指之曰, 「此圖是君桑梓鄕也. 宜留一句。」 操筆立就云, 數點靑山枕碧湖, 公言此是晉陽圖。 水邊草屋知多少, 中有吾廬畵也無。 一座服其精敏。 氐 : 근본 저/땅이름 지. 근본. 근원. 낮다. 천하다. 근심하다. 번민하다. 숙이다. 대개, 대저. 땅이름. 桑梓 : 조상의 무덤이 있는 고향이나 고향의 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桑梓之鄕. 詩經의 「維桑與梓,必恭敬止。」란 구절에서 由來. 小雅/小旻之什/小弁 維桑與梓,必恭敬止。 부모가 심었다면 뽕나무나 가래나무도 반드시 공경하도다. 靡瞻匪父,靡依匪母。 부친 아니라면 우러러보지도 않고 모친 아니라면 의지하지도 않네. 不屬于毛,不離于裏, 이.. 2019. 4.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