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인로의 파한집2

卷上 2. 讀惠弘冷齋夜話 讀惠弘冷齋夜話, 十七八皆其作也。淸婉有出塵之想, 恨不得見本集。近有以筠溪集示之者, 大率多贈答篇。玩味之, 皆不及前詩遠甚。惠弘雖奇才, 亦未免瓦注也。 古語云, ‘見面不如聞名。’ 信矣。 因見潘大臨寄謝臨川一句, 今爲補之。 滿城風雨近重陽, 霜葉交飛菊半黃。 爲有俗雰來敗意, 唯將一句寄秋光。 大率 : 대체로. 대개. 대략. 대충. 瓦注 : 마음 먹고 잘 하려 하면 잘 되지 않는다는 말. 莊子에 나온다. 潘大臨 : 송(宋) 나라 때의 시인. 황정견(黃庭堅)을 종(宗)으로 삼는 강서시파(江西詩派)에 속한 시인. 반대림이 詩의 문구를 생각하느라 고심중에 있었는데 갑자기 방문을 여는 자가 있어 詩心이 날아가 버렸다. 후일 그러한 정황을 담아 臨川의 謝無逸에게 쓴 편지를 써 보냈는데 그 안에 「滿城風雨近重陽,」라는 구절이 있었음. .. 2019. 4. 4.
卷上 1. 晉陽古帝都 左諫議大夫秘書監寶文閣學士知制誥李仁老撰 晉陽古帝都, 溪山勝致爲嶺南第一。有人作其圖, 獻李相國之氐。 帖諸壁以觀之, 軍府參謀榮陽與齡往謁, 相國指之曰, 「此圖是君桑梓鄕也. 宜留一句。」 操筆立就云, 數點靑山枕碧湖, 公言此是晉陽圖。 水邊草屋知多少, 中有吾廬畵也無。 一座服其精敏。 氐 : 근본 저/땅이름 지. 근본. 근원. 낮다. 천하다. 근심하다. 번민하다. 숙이다. 대개, 대저. 땅이름. 桑梓 : 조상의 무덤이 있는 고향이나 고향의 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桑梓之鄕. 詩經의 「維桑與梓,必恭敬止。」란 구절에서 由來. 小雅/小旻之什/小弁 維桑與梓,必恭敬止。 부모가 심었다면 뽕나무나 가래나무도 반드시 공경하도다. 靡瞻匪父,靡依匪母。 부친 아니라면 우러러보지도 않고 모친 아니라면 의지하지도 않네. 不屬于毛,不離于裏, 이.. 2019. 4.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