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明河篇

by 柳川 2019. 3. 8.

                                      明河篇 



                                                                                            宋之問



八月凉風天氣晶  (팔월량풍천기정) :           팔월 서늘한 바람 날씨는 맑고

萬里無雲河漢明  (만리무운하한명) :           만 리 저편 구름 한 점 없고 은하수는 밝다.

昏見南樓淸且淺  (혼견남루청차천) :           저녁 남쪽 누각을 보니 맑고도 가까워라

曉落西山縱復橫  (효락서산종복횡) :           새벽엔 서산으로 떨어져 세로와 가로가 바뀌었다

洛陽城關天中起  (낙양성관천중기) :           낙양성 궐문은 하늘 한가운데 나타나고

長河夜夜千門裏  (장하야야천문이) :           은하수는 밤마다 모든 문에서 보인다

複道連甍共蔽虧  (복도연맹공폐휴) :           복도와 연이은 지붕 용마루에 늘 조금 가려있고

畵堂瓊戶特相宜  (화당경호특상의) :           화려한 집 옥문과는 서로 잘 어울린다

雲母帳前初汎濫  (운모장전초범람) :           운모 장막 앞에 처음에는 넘치는 듯하다가

水精簾外轉逶迆  (수정렴외전위이) :           수정 발 밖에서 더욱 아득히 흐른다

倬彼昭回如練白  (탁피소회여련백) :           뚜렷이 저 밝게 굽은 것이 마치 흰 비단 같아

復出東城接南陌  (복출동성접남맥) :           다시 동쪽 성을 나가 남쪽 길까지 뻗혔다

南北征人去不歸  (남북정인거불귀) :           남북으로 떠난 병사 한번 가선 돌아오지 않는데

誰家今夜擣寒衣  (수가금야도한의) :           뉘 집에서 나는 오늘 밤 다듬이질 소리인가

鴛鴦機上疎螢度  (원앙기상소형도) :           원앙 무늬 짜는 베틀 위에는 반딧불이 넘나들고

烏鵲橋邊一雁飛  (오작교변일안비) :           오작교 다리에는 외기러기 날아간다

雁飛螢渡愁難歇  (안비형도수난헐) :           기러기 날고 반딧불 넘어가니 시름 가시기 어렵고

坐見明河漸微沒  (좌견명하점미몰) :           은하수 점점 멀어지는 것 앉아서 바라본다

已能舒卷任浮雲  (이능서권임부운) :           이미 펴고 말리는 것 뜬 구름에 맡겼으니

不惜光輝讓流月  (불석광휘양유월) :           밝은 빛 흐르는 달에 양보하여도 아깝지 않다

明河可望不可親  (명하가망불가친) :           은하수는 바로 볼 수 있으나 친할 수는 없으니

願得乘槎一問津  (원득승사일문진) :           뗏목 타고 옛사람처럼 한번 나루터를 찾고 싶어라

更將織女支機石  (갱장직녀지기석) :           다시 직녀가 베틀 고이던 돌을 가져다

還訪成都賣卜人  (환방성도매복인) :           성도의 점쟁이 찾아가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