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 漢詩/其他

桐千年老恒藏曲 - 申欽

by 柳川 2019. 3. 16.

                                桐千年老恒藏曲

 

 

                                                                申欽  ( 1566~ 1628)

 

桐千年老恒藏曲、                         오동나무 천년이 지나도 제 가락을 간직하고.

梅一生寒不賣香。                         매화는 한평생을 추위속에 지내도 그 향을 잃지 않네.

月到千虧餘本質、                         달은 천번을 이지러져도 바탕은 변치 않고

柳經百別又新枝。                         버들은 백번 꺾여도 새 가지가 돋는다.

 

 

[註]

 

위 시의 출처는 는 신흠의 수필 『野言』이라 하는데 확인이 되지 않는다. 신흠의 시인지도 분명치가 않다.

 

신흠은 이정구(李廷龜)·장유(張維)·이식(李植)과 함께 '월상계택'(月象谿澤)이라 통칭되는 조선 중기 한문사대가

(漢文四大家)의 한 사람이다.

본관은 평산(平山). 자는 경숙(敬叔), 호는 상촌(象村)·현헌(玄軒)·방옹(放翁). 아버지는 개성도사 승서(承緖)이며, 

어머니는 은진송씨로 좌참찬 인수(麟壽)의 딸이다. 7세 때 부모를 잃고 장서가로 유명했던 외할아버지 밑에서 자

라면서 경서와 제자백가를 두루 공부했으며 음양학·잡학에도 조예가 깊었다. 

개방적인 학문태도와 다원적 가치관을 지녀, 당시 지식인들이 주자학에 매달리고 있었던 것과는 달리 이단으로 

공격받던 양명학의 실천적인 성격을 높이 평가하기도 했다. 

1585년 진사시·생원시에 합격하고, 1586년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했다. 1589년 춘추관원에 뽑히면서 사헌부

감찰·병조좌랑 등을 지냈다. 임진왜란 때에는 도체찰사 정철의 종사관으로 있었으며, 그 공로로 지평(持平)으로 

승진했다. 이후 선조에게 뛰어난 문장력을 인정받아 대명 외교문서의 작성, 시문의 정리, 각종 의례문서의 제작

에 참여했다. 1599년 큰아들 익성(翊聖)이 선조의 딸인 정숙옹주의 부마가 되었고, 1601년 〈춘추제씨전〉을 

엮은 공으로 가선대부가 되었다. 1608년 광해군이 즉위하자 한성부판윤(漢城府判尹) 예조판서가 되었다. 47세 

때 계축옥사가 일어나 선조로부터 영창대군의 보필을 부탁받은 유교칠신(遺敎七臣)의 한 사람이라 하여 파직되

었다. 이후 10여 년 동안 정치권 밖에서 생활했다. 

1616년 인목대비의 폐비사건으로 춘천에 유배되었다가 1621년 사면되었다. 이 시기에 문학을 비롯한 학문의 

체계가 심화되어 〈청창연담 晴窓軟談〉·〈구정록 求正錄〉·〈야언 野言〉 등을 썼다. 

1623년 인조반정과 함께 대제학·우의정에 중용되었다. 1627년 정묘호란이 일어나자 좌의정으로 세자를 수행하

고 전주로 피난했으며, 같은 해 9월 영의정에 올랐다가 죽었다. 1651년 인조묘정에 배향되었고, 강원도 춘천의 

도포서원(道浦書院)에 제향되었다. 63권 22책 분량의 방대한 〈상촌집〉을 남겼는데, 1981년 경문사에서 구두

점을 찍어 영인본을 펴냈다. 시호는 문정이다.

 

 

'우리 漢詩 > 其他' 카테고리의 다른 글

義林池 - 金正喜  (0) 2019.03.17
大雪 - 申欽  (0) 2019.03.16
野田鶉行 - 洪世泰  (0) 2019.02.20
靑山 - 나옹선사  (0) 2016.08.01
妻妾同房 - 李恒福  (0) 2016.06.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