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中國歷史와文學/史記世家

史記 卷四三. 趙世家[成侯]

by 柳川 2019. 6. 23.

                                 卷四三. 趙世家[成侯]




成侯元年, 公子勝與成侯争立, 為亂. 二年六月, 雨雪. 三年, 太戊午1)為相. 伐衛, 取郷邑七十三. 魏敗我藺.2) 四年, 與秦戦高安,3) 敗之. 五年, 伐斉于鄄.4) 魏敗我懐. 攻鄭, 敗之, 以與韓, 韓與我長子.5) 六年, 中山築長城. 伐魏, 敗涿沢,6) 囲魏恵王. 七年, 侵斉, 至長城.7) 與韓攻周. 八年, 與韓分周以為両.8) 九年, 與斉戦阿下.9) 十年, 攻衛, 取甄. 十一年, 秦攻魏, 趙救之石阿.10) 十二年, 秦攻魏少梁,11) 趙救之. 十三年, 秦献公使庶長国伐魏少梁, 虜其太子、痤. 魏敗我澮, 取皮牢.12) 成侯與韓昭侯遇上党. 十四年, 與韓攻秦. 十五年, 助魏攻斉.

 

성후 원년, 공자(公子) 조승(趙勝)이 성후에 맞서서 반란을 일으켰다. 2년 6월, 큰 눈이 내렸다. 3년, 태무우(太戊牛)가 재상이 되었으며, 위(衛)나라를 공격해 73개의 향읍(鄕邑)을 빼앗았다. 위(魏)나라는 인(藺)에서 조나라의 군대를 무찔렀다. 4년, 진(秦)나라와 고안(高安)에서 싸워 진나라를 무찔렀다. 5년, 견(鄄)에서 제나라를 공격했으며, 위(魏)나라가 회(懷)에서 조나라를 무찔렀다. 정(鄭)나라를 공격해 무찌르고 그 땅을 한(韓)나라에게 주니 한나라는 장자(長子)를 조나라에 주었다. 6년, 중산국이 장성(長城)을 쌓았다. 위(魏)나라를 공격해 탁택(涿澤)에서 패배시키고 위 혜왕(魏惠王)을 포위했다.

 

7년, 제나라를 침공해 장성까지 이르렀다. 한나라와 함께 주나라를 공격했다. 8년, 한나라와 함께 주나라를 양분(兩分)했다. 9년, 제나라와 아성(阿城) 아래에서 교전했다. 10년, 위(衛)나라를 공격해 견(甄)을 차지했다. 11년, 진(秦)나라가 위(魏)나라를 공격하니 조나라가 석아(石阿)로 가서 위나라를 구원했다. 12년, 진(秦)나라가 위(魏)나라의 소량(小梁)을 공격하니 조나라가 위나라를 구원했다. 13년, 진 헌공(秦獻公)이 서장(庶長) 국(國)을 보내 위나라의 소량을 공격해 태자와 좌(痤)를 포로로 잡아갔다. 위(魏)나라가 회수(澮水)에서 조나라 군대를 무찌르고 피뢰(皮牢)를 빼앗았다. 성후는 한 소후(韓昭侯)와 상당(上黨)에서 만났다. 14년, 한나라와 연합해 진(秦)나라를 공격했다. 15년, 위(魏)나라를 도와 제나라를 공격했다.

 

 

十六年, 與韓、魏分晉, 封晉君以端氏.13)

 

16년, 한(韓), 위(魏) 나라와 더불어 진(晉)나라를 나누어 가지고 진군(晉君)을 단지(端氏)에 봉했다.

 

 

十七年, 成侯與魏恵王遇葛孽.14) 十九年, 與斉、宋会平陸,15) 與燕会阿.16) 二十年, 魏献栄椽, 因以為檀台.17) 二十一年, 魏囲我邯鄲. 二十二年, 魏恵王抜我邯鄲, 斉亦敗魏於桂陵.18) 二十四年, 魏帰我邯鄲, 與魏盟漳水上. 秦攻我藺. 二十五年, 成侯卒. 公子■與太子粛侯19)争立, ■敗, 亡奔韓.

 

 

17년, 성후는 위 혜왕(魏惠王)과 갈얼(葛孽)에서 만났다. 19년, 제(齊), 송(宋) 나라와 평륙(平陸)에서 회합하고, 연(燕)나라와 아(阿)에서 회합했다. 20년, 위(魏)나라가 최고급 목재(木材)로 만든 서까래를 헌상해 이것으로 단대(檀臺)를 건조했다. 21년, 위(魏)나라가 조나라의 한단을 포위했다. 22년, 위 혜왕이 조나라 한단을 함락시키고 제나라 역시 계릉(桂陵)에서 위(魏)나라를 무찔렀다. 24년, 위(魏)나라가 조나라에게 한단을 돌려주어 위(魏)나라 왕과 장수(漳水)가에서 회맹했다. 진(秦)나라가 조나라의 인(藺) 땅을 공격했다. 25년, 성후가 죽었다. 공자 설(緤)과 태자 숙후(肅侯)가 지위를 다투다가 조설이 패해 한(韓)나라로 도망했다.

 

각주

1 集解徐広曰:「戊, 一作『成』.」

2 正義地理志云属西河郡也.

3 正義蓋在河東.

4 正義濮州鄄城県是也.

5 集解地理志曰上党有長子県.

6 正義■音濁. 徐広云長杜有濁沢, 非也. 括地志云:「濁水源出蒲州解県東北平地.」爾時魏都安邑, 韓、趙伐魏, 豈河南至長杜也? 解県濁水近於魏都, 當是也.

7 正義斉長城西頭在済州平陰県. 太山記云:「太山西北有長城, 縁河経太山千余里, 瑯邪入海.」括地志云:「所侵処在密州南三十里.」

8 集解徐広曰:「顕王二年. 周紀無此.」 正義括地志云:「史記周顕二年, 西周恵公封少子子班於鞏, 為東周. 其子武公為秦所滅. 郭縁生述征記云鞏県本周鞏伯邑.」

9 集解徐広曰:「戦, 一作『会』也.」 正義阿, 東阿也, 今済州東阿県也.

10 正義蓋在石、隰等州界也.

11 正義少梁故城在同州韓城県南二十二里, 古少梁国也.

12 集解徐広曰:「魏年表曰取趙皮牢.」 正義括地志云:「澮水県在絳州翼城県東南二十五里.」按:皮牢當在澮之側.

13 集解徐広曰:「在平陽.」 正義端氏, 沢州県也.

14 集解徐広曰:「在馬丘. 年表曰十八年趙孟如斉.」

15 正義兗州県也. 平陸城(與)即古厥国.

16 正義括地志云:「故葛城一名依城, 又名西阿城, 在瀛州高陽県西北五十里. 以徐、(兗)[滱]二水並過其西, 又徂経其北. 曲曰阿, 以斉有東阿, 故曰西阿城. 地理志云瀛州属河閒, 趙分也.」按:燕会趙即此地.

17 集解徐広曰:「襄国県有檀台.」 索隠劉氏云「栄椽蓋地名, 其中有一高処, 可以為台」, 非也. 按:栄椽是良材, 可為椽, 斲飾有光栄, 所以魏献之, 故趙因用之以為檀台. 正義鄭玄云:「栄, 屋翼也.」説文云:「椽, 榱也. 屋梠之両頭起者為栄也.」括地志云:「檀台在洺州臨洺県北二里.」

18 正義括地志云:「故桂城在曹州乗氏県東北二十一里, 故老云此即桂陵也.」

19 索隠系本云名語.