五. 賢王의 制度
其次賢王, 制禮樂法度, 乃作五刑, 興甲兵, 以討不義, 巡狩省方, 會諸侯, 考不同。其有失命,
常悖德, 逆天之時, 而危有功之君徧告於諸侯, 彰明有罪, 乃告於皇天上帝, 日月星辰, 禱於后
土, 四海神祗山川冢社, 造於先王, 然後冢宰徵師於諸侯曰, 某國爲不道征之。以某年月日,
師至於某國, 會天子正刑。冢宰與百官, 布令於軍曰, 入罪人之地, 無暴神祇, 無行田獵, 無毁
土功, 無燔牆屋, 無伐林木, 無取六畜禾黍器械。見其老幼, 奉歸勿傷, 雖遇壯者。不校勿敵,
敵若傷之, 醫藥歸之。旣誅有罪, 王及諸侯,修正其國, 擧賢立明, 正復 厥職。
註]
法度 : 법제도. 五刑 : 다섯가지 형벌, 즉, 墨(문신을 함), 의(코를 베어냄), 비(다리를 잘라
냄), 宮(생식기를 잘라냄), 死(사형을 시킴)
巡狩 : 사냥을 하며 순찰함, 省方 : 사방을 살핌, 즉 여러 제후국의 정치를 살핌.
考不同 : 한결같지 않음을 헤아림, 즉, 제후국의 예악제도가 서로 다름을 헤아려 그 통일을
기함. 徧: 두루 편, 모두 편. 失命 : 상부의 명령에 어긋남. 彰明 : 드러내 밝힘.
皇天上帝 : 광대한 천체를 주재하는 신. 后土 : 땅의 신. 神祗(신지): 神廟
冢社 : 사당, 冢: 높은 무덤 총, 클 총, 산 꼭대기 총, 흙높이 모을 총, 무덤 총, 묘 총
造 : 나아감, 至의 뜻. 총宰 : 국무총리. 수상. 會天子 ; 제왕의 군사와 연합함.
暴 : 마구 짓밟음. 田獵 : 사냥. 土攻 : 공사 건축물. 牆屋 : 백성의 집
不校 : 대항하지 않음. 厥職 : 그 직위. 擧賢 : 현명하고 덕이 높은 자를 가려냄.
立明 : 명군을 세움. 正復(정복): 본 궤도에 오르게 함
祇 : 땅귀신 기, 토지의 신 기, 편안할 기, 클 기, 마침 지, 다만 지,
燔 : 불사를 번, 태울 번, 구을 번, 불땔 분, 불사를 분. 黍 : 기장 서
'兵書 > 司馬法' 카테고리의 다른 글
第 一. 仁 本 7. 禁斷 九則 (0) | 2016.06.15 |
---|---|
第 一. 仁 本 6. 帝王의 八道 (0) | 2016.06.15 |
第 一. 仁 本 4. 聖王의 道 (0) | 2016.06.15 |
第 一. 仁 本 3. 군정의 六德 (0) | 2016.06.15 |
第 一. 仁 本. 2.국민을 사랑하라 (0) | 2016.06.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