史記 卷 一二. 孝武本紀 Ⅰ
孝武皇帝者,1) 孝景中子也.2) 母曰王太后. 孝景四年, 以皇子爲膠東王. 孝景七年, 栗太子廢爲臨江王, 以膠東王爲太子. 孝景十六年崩, 太子卽位, 爲孝武皇帝.3) 孝武皇帝初卽位, 尤敬鬼神之祀.
효무황제(孝武皇帝)는 효경황제(孝景皇帝)의 아홉째 아들이며, 그의 어머니는 왕태후(王太后)라고 불렸다. 경제(景帝) 4년에 황자(皇子)의 신분으로 교동왕(膠東王)에 봉해졌고, 경제 7년 율태자(栗太子)가 임강왕(臨江王)으로 폐위되자 교동왕이 태자의 자리에 올랐다. 경제가 즉위한 지 16년 만에 서거하자 태자가 제위에 올랐으니, 이가 곧 효무황제이다. 효무황제는 제위에 오르자 더욱 공손히 귀신에게 제사지내는 일을 받들었다.
元年, 漢興已六十餘歲矣,4) 天下乂安,5) 薦紳6)之屬皆望天子封禪改正度也. 而上鄕儒術, 招賢良, 趙綰、王臧等以文學爲公卿, 欲議古立明堂城南,7) 以朝諸侯. 草巡狩封禪改曆服色事未就. 會竇太后治黃老言, 不好儒術, 使人微得趙綰等姦利事,8) 召案綰、臧, 綰、臧自殺,9) 諸所興爲者皆廢.
원년(元年), 한(漢)이 건국된 지 60여 년이 흘러 천하는 태평무사했다. 조정의 관원들은 모두 천자가 봉선(封禪)을 거행하고 역법(曆法), 복색(服色) 등의 제도를 고칠 것을 희망했다.
천자는 유가학설을 숭상해 현량(賢良) 출신의 선비들을 불러들였는데, 조관(趙綰), 왕장(王臧) 등이 문장에 박학했기 때문에 공경대신(公卿大臣)에 임명했다. 그들은 옛날과 같이 성남(城南)에 명당(明堂)을 건립해 제후들이 조회할 때 사용할 것을 건의했다. 그러나 순수(巡狩), 봉선, 그리고 역법과 복식 제도의 개정 등 그들이 초안한 여러 법안들은 실시되지 못했다. 두태후(竇太后)는 황로(黃老)를 숭상하고 유학을 싫어했기에 몰래 사람을 시켜서 조관, 왕장이 불법적으로 이익을 취한 일이 있음을 알아내고는 그들을 불러 심문했고, 그러자 그들은 자살해 버렸다. 이에 그들이 실시하려던 일들이 모두 취소되었다.
後六年, 竇太后崩. 其明年, 上徵文學之士公孫弘等.
明年, 上初至雍, 郊見五畤.10) 後常三歲一郊. 是時上求神君,11) 舍之上林中蹄氏觀.12) 神君者, 長陵女子, 以子死悲哀, 故見神於先後宛若.13) 宛若祠之其室, 民多往祠. 平原君14)往祠, 其後子孫以尊顯. 及武帝卽位, 則厚禮置祠之內中, 聞其言, 不見其人云.
6년 후에 두태후가 붕어하자 그 이듬해에 천자는 문학지사인 공손홍(公孫弘) 등의 인재를 불러들였다.
그 1년 후, 천자는 처음으로 옹(雍)의 5치(五畤)에서 교사(郊祠)를 거행했고, 그 후 로는 3년마다 한 차례씩 교사를 거행하게 했다. 이때 천자는 신군(神君)을 한 사람 얻어, 그를 상림원(上林苑)에 있는 제씨관(蹏氏觀)에 두었다. 그 신군이란 장릉(長陵)에 살던 어떤 여자로서 그녀는 자식이 요절하자 슬퍼하다가 따라 죽었고, 죽은 후에 그녀의 동서인 완약(宛若)의 몸에 그 모습을 드러낸 것이었다. 이에 완약은 그녀를 자기 집에 모시고 제사를 지냈는데 다른 사람들도 많이 와서 제사 지냈다. 평원군(平原君)도 가서 제사를 지냈으므로, 후에 그녀의 자손들도 따라 존귀하게 되었다. 무제(武帝)가 즉위하자 성대한 제례로써 궁내에 그녀를 모셔서 제사지냈는데, 그녀의 말소리는 들렸으나 모습은 보이지 않았다.
是時而李少君亦以祠灶、1) 谷道、2) 卻老方見上, 上尊之. 少君者, 故深澤侯3)入以主方.4) 匿其年及所生長, 常自謂七十, 能使物, 卻老.5) 其游以方遍諸侯. 無妻子. 人聞其能使物及不死, 更饋遺之, 常餘金錢帛衣食. 人皆以爲不治産業而饒給, 又不知其何所人, 愈信, 爭事之. 少君資好方, 善爲巧發奇中.6) 嘗從武安侯7)飮, 坐中有年九十餘老人, 少君乃言與其大父游射處, 老人爲兒時從其大父行, 識其處, 一坐盡驚. 少君見上, 上有故銅器, 問少君. 少君曰:「此器齊桓公十年陳於柏寢.」8) 已而案其刻, 果齊桓公器. 一宮盡駭, 以少君爲神, 數百歲人也.
이때 이소군(李少君)도 사조(祠竈), 곡도(穀道)와 불로장생하는 방술(方術)로써 천자를 알현하자, 천자는 그를 매우 정중하게 대접했다. 이소군이란 자는 이미 세상을 떠난 심택후(深澤侯)의 추천으로 입조해 천자의 방술과 의약에 대한 일을 주관하게 되었다. 그는 자기의 연령, 경력과 생애를 속였으며, 항상 자신의 나이가 70세이고 귀신을 부리고 약물을 사용함에 능숙하다고 했으며, 노화를 방지하고 불로장생할 수 있는 방술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와 같은 방술로써 세상을 주유해 각국의 제후들을 두루 만났다. 그에게는 아내와 자식이 없었다.
사람들은 그가 귀신을 부릴 수 있고 불로장생할 수 있다는 소문을 듣고서 너도나도 그에게 재물을 가져다주었으므로 그는 항상 수많은 금전, 비단, 옷과 식료품을 쌓아두고 지냈다. 그러자 사람들은 그가 생업에 종사하지 않으면서도 부유한 것을 신기하게 생각했고, 또한 그가 어디 출신인지도 모르면서 더욱 그를 믿고 앞다투어 섬겼다. 이소군은 천성이 방술을 행하는 것을 좋아해 그때그때 교묘한 말로써 어떤 일이든지 정확히 알아맞혔다. 그는 일찍이 무안후(武安侯)의 잔치에 참석했었는데, 그 자리에는 90세 노인이 있었다.
이소군은 자신이 그 노인의 조부와 함께 사냥했던 장소를 이야기했는데, 그 노인은 어렸을 때 조부를 따라갔었기 때문에 그 장소를 알고 있었고, 이리하여 손님들은 모두 깜짝 놀랐다. 이소군이 천자를 배알했을 때 천자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오래된 동기(銅器)에 대해서 물었다.
그러자 이소군은 “이 동기는 제 환공(齊桓公) 10년, 백침대(柏寢臺)에 있던 것입니다.”라고 대답했다. 이에 천자가 곧 사람을 시켜서 동기에 새겨진 글자를 검사하자 과연 그것은 제 환공 때의 동기로 밝혀졌다. 그러자 온 궁중 안의 사람들은 모두 놀라워했고, 이소군은 신선이며 그의 나이는 수백 살이나 되었다고 여겼다.
少君言於上曰:「祠灶則致物, 致物而丹沙可化爲黃金, 黃金成以爲飮食器則益壽, 益壽而海中蓬萊僊者可見, 見之以封禪則不死, 黃帝是也. 臣嘗游海上, 見安期生,9) 食臣棗, 大如瓜. 安期生僊者, 通蓬萊中, 合則見人, 不合則隱.」於是天子始親祠灶, 而遣方士入海求蓬萊安期生之屬, 而事化丹沙諸藥齊爲黃金10)矣.
이소군이 천자에게 이르기를 “부엌신에게 제사 지내면 신기한 물건〔神物〕을 얻을 수 있습니다. 신기한 물건을 얻으면 단사(丹沙)를 이용해 황금을 제련할 수 있으며, 황금을 제련한 후에 그것으로 음식 담는 그릇을 만들어서 사용하면 장수할 수 있습니다. 장수하게 되면 바다에 떠있는 봉래도(蓬萊島)의 선인을 만날 수 있으며, 선인을 만나서 천지에 제사 지내면 불로장생할 수 있습니다. 황제(黃帝)께서도 이와 같이 하셨습니다. 이전에 신은 바다에서 놀다가 안기생(安期生)을 만났습니다. 그가 신에게 대추를 먹으라고 주었는데, 그 대추의 크기가 참외만큼 컸습니다. 안기생은 선인이어서 봉래(蓬萊)의 선경(仙境)을 왕래할 수 있는데, 만약 천자께서 그와 마음이 통하면 그가 모습을 나타낼 것이지만, 통하지 않으면 숨어버리고 나타나지 않을 것입니다.”라 했다. 그러자 천자는 몸소 부엌신에 제사 지내고 방사(方士)를 파견해 바다로 들어가서 안기생과 같은 선인을 찾게 했으며, 동시에 단사 등 각종 약물을 사용해 황금을 만드는 일에 착수했다.
居久之, 李少君病死.11) 天子以爲化去不死也, 而使黃錘12)史寬舒13)受其方. 求蓬萊安期生莫能得, 而海上燕齊怪迂之方士多相效, 更言神事矣.
오랜 세월이 흐른 뒤 이소군이 병사하자 천자는 그가 신선이 되어 승천한 것이지 결코 죽은 것이 아니라고 생각했다. 천자는 황현(黃縣), 추현(錘縣)의 문서관인 관서(寬舒)로 하여금 이소군의 방술을 계승하게 했고, 계속해서 봉래 선인 안기생을 찾도록 명령했으나 결국 찾아내지 못했다. 이후로 연(燕), 제(齊) 등 연해(沿海) 지방의 수많은 괴탄(怪誕)스럽고 황당무계한 방사들은 이소군을 모방했고, 계속해서 신선에 대한 일들이 전해져왔다.
亳人薄誘忌14)奏祠泰一方, 曰:「天神貴者泰一,15) 泰一佐曰五帝.16) 古者天子以春秋祭泰一東南郊, 用太牢具, 七日,17) 爲壇開八通之鬼道.」於是天子令太祝立其祠長安東南郊, 常奉祠如忌方. 其後人有上書, 言「古者天子三年一用太牢具祠神三一:天一, 地一, 泰一」. 天子許之, 令太祝領祠之忌泰一壇上, 如其方. 後人復有上書, 言「古者天子常以春秋解祠, 祠黃帝用一梟破鏡;18)冥羊19)用羊;祠馬行20)用一靑牡馬;泰一、皐山山君、地長21)用牛;武夷君22)用乾魚;陰陽使者23)以一牛」. 令祠官領之如其方, 而祠於忌泰一壇旁.
박현(亳縣) 사람 박유기(薄誘忌)가 태일신(泰一神)에 제사 지내는 예의에 대해서 천자에게 아뢰었다. “천신 중에서 가장 존귀한 분은 태일신이며, 태일을 보좌하는 것이 5제(五帝)입니다. 옛날에 천자는 매년 봄, 가을 두 계절에 수도(首都) 동남쪽 교외에서 태일신에게 제사 지냈습니다. 제물로는 소, 양, 돼지를 사용했으며, 7일 동안 거행했습니다. 또한 제단을 만들고 팔방으로 통하는 귀도(鬼道)를 만들어서 귀신이 왕래하게 했습니다.” 이리하여 천자는 태축(太祝)에게 명해 장안 동남쪽 교외에 태일신의 사당을 건립하게 하고, 항상 박유기가 말한 방식에 따라 제사 지내게 했다.
후에 어떤 사람이 “옛날에 천자는 3년에 한 번씩 소, 양, 돼지의 희생으로 천일신(天一神), 지일신(地一神), 태일신의 삼신(三神)에게 제사 지냈습니다.”라고 상주했다. 천자는 이 상소문을 윤허하고, 박유기의 건의에 따라서 건립한 태일단(泰一壇) 위에서 신들에게 제사 지내던 것을 이 사람이 상소한 방식에 따라서 제사 지내라고 태축에게 명했다.
그 후 에 또 어떤 사람이 상소해 이르기를 “옛날 천자는 항상 봄, 가을마다 해사(解祠)를 지냈는데, 황제(黃帝)에게 제사 지낼 때는 효조(梟鳥), 파경(破鏡)을 사용하고, 명양신(冥羊神)에 제사 지낼 때는 양을, 마행신(馬行神)에 제사 지낼 때는 한 필의 수말을, 태일신, 고산산군(皐山山君), 지장신(地長神)에게 제사 지낼 때는 소를 사용하고, 무이산신(武夷山神)에게 제사 지낼 때는 마른 어물(魚物)을 사용하고, 음양사자신(陰陽使者神)에게 제사 지낼 때는 소 한 마리를 사용했습니다.”라 했다. 이에 천자는 사관(祠官)에게 그의 말대로 제사 지내되, 박유기가 건의한 태일단 옆에서 제사를 거행하라고 명했다.
其後, 天子苑有白鹿, 以其皮爲幣,24) 以發瑞應, 造白金焉.25)
그 후 천자의 궁원(宮苑)인 상림원에 흰 사슴이 나타나자, 그것의 가죽으로 화폐를 만들어 이것이 천자의 어진 정치에 하늘이 감응해 내보인 길한 조짐임을 선양했고, 백금(白金) 화폐를 만들었다.
其明年, 郊雍, 獲一角獸, 若麃然.26) 有司曰:「陛下肅祗郊祀, 上帝報享, 錫一角獸, 蓋麟云.」27) 於是以薦五畤, 畤加一牛以燎.28) 賜諸侯白金, 以風符應合于天地.29)
그 이듬해, 천자가 옹현에서 교사를 거행하다가 뿔이 하나 달린 들짐승을 포획했는데 그 모양이 마치 고라니〔麃〕 같았다. 제사를 주관하는 관원이 “폐하께서 장엄하고도 공경스럽게 제사를 지내시니 상제께서 보답의 표시로 뿔이 하나 달린 이 짐승을 내려주셨는데, 아마도 기린(麒麟)인가 합니다.”라 했다. 그래서 그것을 5치(五畤)에 바치고 각 치마다 소 한 마리씩을 태워서 하늘에 제사 지냈다. 또한 천자는 제후들에게 백금을 하사했고, 이러한 상서로운 징조는 천자의 정치가 하늘의 뜻에 부합했기 때문임을 암시했다.
於是濟北王以爲天子且封禪, 乃上書獻泰山及其旁邑. 天子受之, 更以他縣償之. 常山王有罪, 遷, 天子封其弟於眞定, 以續先王祀, 而以常山爲郡. 然后五嶽皆在天子之郡.
이때 제북왕(濟北王)은 천자가 장차 봉선을 거행할 것임을 알고 태산(泰山) 및 그 주위의 봉지를 헌납하겠다는 글을 올렸다. 그러자 천자는 이를 받아들였고, 그에게는 다시 다른 현(縣)을 하사했다. 상산왕(常山王)이 죄를 짓자 추방시켰고, 그의 동생을 진정(眞定)의 왕으로 봉해 계속 선왕의 종묘에 제사 지내게 했고, 상산국(常山國)을 군(郡)으로 귀속시켰다. 이때부터 5악(五嶽) 지역은 모두 천자의 직할지 안에 들게 되었다.
其明年, 齊人少翁30)以鬼神方見上. 上有所幸王夫人,31) 夫人卒, 少翁以方術蓋夜致王夫人及灶鬼之貌云, 天子自帷中望見焉. 於是乃拜少翁爲文成將軍, 賞賜甚多, 以客禮禮之. 文成言曰:「上卽欲與神通, 宮室被服不象神, 神物不至.」乃作畫雲氣車, 及各以勝日32)駕車辟惡鬼. 又作甘泉宮, 中爲臺室, 畫天、地、泰一諸神, 而置祭具以致天神. 居歲餘, 其方益衰, 神不至. 乃爲帛書以飯牛,33) 詳弗知也, 言此牛腹中有奇. 殺而視之, 得書, 書言其怪, 天子疑之. 有識其手書, 問之人, 果(爲)[僞]書. 於是誅文成將軍34)而隱之.
그 다음해, 제(齊)나라 사람 소옹(少翁)이 귀신을 불러들이는 방술로 천자를 알현했다. 천자에게는 총애하는 왕부인(王夫人)이 있었는데 그녀가 죽자 소옹은 방술을 사용해 밤에 왕부인과 부엌신의 형상을 불러와서 천자는 장막을 통해서 그녀를 만나보았다. 그리하여 소옹은 문성장군(文成將軍)에 봉해졌고 많은 재물을 하사받았으며, 천자는 빈객을 접대하는 예우로써 그를 대했다. 문성장군이 “천자께서 신선을 만나고 싶어 하시지만, 궁실과 복식 등의 물건들이 신선이 사용하는 것과 다르다면 신선은 오지 않을 것입니다.”라고 말하자, 천자는 곧 갖가지 색의 구름무늬를 그린 마차를 제작해 5행(五行)에서 말하는 상극(相克)의 도리에 따라 각기 그날에 맞는 길한 색깔의 신거(神車)를 골라 타고서 악귀를 쫓았다.
또 감천궁(甘泉宮)을 지어서 안에 대실(臺室)을 설치하고, 그 안에는 천신, 지신, 태일신의 형상을 그려 넣고 제구(祭具)를 설치해 천신을 불러들이고자 했다. 1년이 지나자 문성장군의 방술은 갈수록 영험이 떨어졌고 신선은 오지 않았다. 그래서 그는 비단 위에 글을 쓴 다음 이것을 소에게 먹인 후, 모른 체하며 이 소의 뱃속에 기이한 물건이 들어 있다고 말했다. 이에 천자가 소의 배를 가르게 하니 과연 백서(帛書)가 들어 있었는데, 그 글의 내용이 매우 기괴해 천자는 이 일을 의심하게 되었다. 그런데 누군가 그 글자의 필적을 알고 있어서 그에게 물으니, 결국 문성장군이 거짓으로 쓴 것임을 알게 되었다. 그리하여 그는 살해되었고 이 일은 비밀에 부쳐졌다.
其後則又作柏梁、35) 銅柱、承露僊人掌36)之屬矣.
이때부터 천자는 다시 백량대(柏梁臺)와, 이슬을 받는 승로반(承露盤)이 얹혀 있는 동주(銅柱) 등을 만드는 일을 행했다.
각주
1 集解漢書音義曰:「諱徹.」索隱裴駰云:「太史公自序云『作今上本紀』, 又其序事皆云『今上』, 『今天子』, 今或言『孝武皇帝』者, 悉後人所定也.」正義謚法云:「克定禍亂曰武.」
2 索隱按:景十三王傳廣川王已上皆是武帝兄, 自河閒王德以至廣川, 凡有八人, 則武帝第九也.
3 集解張晏曰:「武帝以景帝元年生, 七歲爲太子, 爲太子十歲而景帝崩, 時年十六矣.」
4 集解徐廣曰:「六十七年, 歲在辛丑.」
5 正義乂音魚廢反.
6 索隱上音搢. 搢, 挺也. 言挺笏於紳帶之閒, 事出禮內則. 今作「薦」者, 古字仮借耳. 漢書作「縉紳」, 臣瓚云「縉, 赤白色」, 非也.
7 索隱城南, 長安城南門外也. 案:關中記云明堂在長安城門外, 杜門之西也.
8 集解徐廣曰:「纖微伺察之.」
9 正義漢書孝武帝二年, 御史大夫趙綰坐請無奏事太皇太后, 及郎中令王臧皆下獄, 自殺. 應劭云:「王臧儒者, 欲立明堂、辟雍, 太后素好黃老術, 非薄五經, 因故絶奏事太后, 太后怒, 故令殺.」
10 正義畤音止. 括地志云:「漢五帝畤在岐州雍縣南. 孟康云畤者神靈之所止.」案:五畤者鄜畤、密畤、吳陽畤、北畤. 先是文公作鄜畤, 祭白帝;秦宣公作密畤, 祭靑帝;秦靈公作吳陽上畤、下畤, 祭赤帝、黃帝;漢高祖作北畤, 祭黑帝:是五畤也.
11 正義漢武帝故事云:「起柏梁臺以處神君, 長陵女子也. 先是嫁爲人妻, 生一男, 數歲死, 女子悼痛之, 歲中亦死, 而靈, 宛若祠之, 遂聞言宛若爲生, 民人多往請福, 說家人小事有驗. 平原君亦事之, 至後子孫尊貴. 及上卽位, 太后延於宮中祭之, 聞其言, 不見其人. 至是神君求出局, 營柏梁臺舍之. 初, 霍去病微時, 自禱神君, 及見其形, 自脩飾, 欲與去病交接, 去病不肯, 謂神君曰:『吾以神君精絜, 故齋戒祈福, 今欲婬, 此非也.』自絶不復往. 神君慚之, 乃去也.」
12 集解徐廣曰:「蹄音蹄.」索隱徐廣音蹄, 鄒誕音斯, 又音蹄, 觀名也.
13 集解孟康曰:「産乳而死. 兄弟妻相謂『先後』. 宛若, 字.」索隱先後, 鄒誕音二字並去聲, 卽今妯娌也. 孟康以兄弟妻相謂也. 韋昭云先謂姒, 後謂娣也. 宛音冤.
14 集解徐廣曰:「武帝外祖母也.」駰案:蔡邕曰「異姓婦人以恩澤封者曰君, 儀比長公主」. 索隱案:徐云武帝外祖母, 則是臧兒也.
1 索隱如淳云:「祠灶可以致福.」案:禮灶者, 老婦之祭, 盛於盆, 尊於甁. 說文周禮以灶祠祝融. 淮南子炎帝作火官, 死爲灶神. 司馬彪注莊子云髻, 灶神也, 如美女, 衣赤. 李弘範音詰也.
2 集解李奇曰:「食谷道引. 或曰辟谷不食之道.」
3 集解徐廣曰:「姓趙, 景帝時絶封.」
4 集解徐廣曰:「進納於天子而主方. 一云侯人主方.」駰案:如淳曰「侯家人主方藥者也」.
5 集解如淳曰:「物, 鬼物也.」瓚曰:「物, 藥物也.」
6 集解如淳曰:「時時發言有所中也.」
7 索隱服虔云:「田蚡也.」韋昭云:「武安屬魏郡也.」
8 集解服虔曰:「地名, 有臺也.」瓚曰:「晏子書柏寢, 臺名也.」正義括地志云:「柏寢臺在靑州千乘縣東北二十一里. 韓子云景公與晏子遊於少海, 登柏寢之臺而望其國. 公曰:『美哉堂乎, 後代孰將有此?』晏子云:其『田氏乎?』公曰:『寡人有國而田氏家, 奈何?』對曰:『奪之, 則近賢遠不肖, 治其煩亂, 輕其刑罰, 振窮乏, 恤孤寡, 行恩惠, 崇節儉, 雖十田氏其如堂何!』卽此也.」
9 索隱服虔曰:「古之眞人.」案:列仙傳云安期生, 琅邪人, 賣藥東海邊, 時人皆言千歲也. 正義列仙傳云:「安期生, 琅邪阜鄕亭人也. 賣藥海邊. 秦始皇請語三夜, 賜金數千萬, 出, 於阜鄕亭, 皆置去, 留書, 以赤玉舃一量爲報, 曰『後千歲求我於蓬萊山下』.」
10 索隱齊音劑.
11 正義漢書起居云:「李少君將去, 武帝夢與共登嵩高山, 半道, 有使乘龍時從雲中云『太一請少君』, 帝謂左右『將舍我去矣』. 數月而少君病死. 又發棺看, 唯衣冠在也.」
12 集解韋昭曰:「人姓名.」正義音直僞反.
13 集解漢書音義曰:「二人皆方士.」正義姓史, 名寬舒.
14 集解徐廣曰:「一云亳人謬忌也.」索隱亳, 山陽縣名. 姓謬, 名忌, 居亳, 故下稱薄忌. 此文則衍「薄」字, 而「謬」又誤作「誘」矣.
15 索隱天神貴者太一. 案:樂汁微圖云「紫微宮北極天一太一」. 宋均以爲天一、太一, 北極之別名. 春秋緯「紫宮, 天皇曜魄寶之所理也」.
16 索隱其佐曰五帝. 河圖云蒼帝神名靈威仰之屬也. 正義五帝, 五天帝也. 國語云「蒼帝靈威仰, 赤帝赤熛怒, 白帝白招矩, 黑帝協光紀, 黃帝含樞紐」. 尙書帝命驗云「蒼帝名靈威仰, 赤帝名文祖, 黃帝名神斗, 白帝名顯紀, 黑帝名玄矩」. 佐者, 謂配祭也.
17 集解徐廣曰:「一云日一太牢具, 十日.」
18 集解孟康曰:「梟, 鳥名, 食母. 破鏡, 獸名, 食父. 黃帝欲絶其類, 使百物祠皆用之. 破鏡如貙而虎眼. 或云直用破鏡.」如淳曰:「漢使東郡送梟, 五月五日爲梟羹以賜百官. 以惡鳥, 故食之.」
19 集解服虔曰:「神名也.」
20 正義神名也.
21 正義丁丈反. 三並神名.
22 正義神名.
23 集解漢書音義曰:「陰陽之神也.」
24 索隱案:食貨志皮幣以白鹿皮方尺, 緣以繢, 以薦璧, 得以黃金一斤代之. 又漢律皮幣率鹿皮方尺, 直黃金一斤.
25 索隱案:食貨志白金三品, 各有差也. 正義白金三品, 武帝所鑄也. 如淳曰:「雜鑄銀錫爲白金也.」平準書云:「造銀錫爲白金. 以爲天用莫如龍, 地用莫如馬, 人用莫如龜, 故曰白金三品. 其一曰重八兩, 圓之, 其文龍, 名曰白選, 直三千;二曰重差小, 方之, 其文馬, 直五百;三曰復小, 隋之, 其文龜, 直三百.」錢譜云:「白金第一, 其形圓如錢, 肉好圓, 文爲一龍. 白銀第二, 其形方小長, 肉好亦小長, 好上下文爲二馬. 白銀第三, 其形似龜, 肉好小, 是文爲龜甲也.」
26 集解韋昭曰:「楚人謂麋爲麃.」索隱麃音步交反. 韋昭曰「體若■而一角, 春秋所謂『有■而角』是也. 楚人謂麋爲麃」. 又周書王會云麃者若鹿. 爾雅云麋, 大鹿也, 牛尾一角. 郭璞云漢武獲一角獸若麃, 謂之麟是也.
27 正義漢書終軍傳云「從上雍, 獲白麟」. 一角戴肉, 設武備而不爲害, 所以爲仁.
28 正義力召反, 焚也.
29 集解晉灼曰:「符瑞也.」瓚曰:「風示諸侯以此符瑞之應.」
30 正義漢武故事云少翁年二百歲, 色如童子.
31 集解徐廣曰:「齊懷王閎之母也.」駰案:桓譚新論云武帝有所愛幸姬王夫人, 窈窕好容, 質性嬛佞. 正義漢書作「李夫人」.
32 集解漢書音義曰:「如火勝金, 用丙與丁日, 不用庚辛.」
33 正義飯, 房晩反. 書絹帛上爲怪言語, 以飼牛.
34 正義漢武故事云:「文成誅月餘, 有使者藉貨關東還, 逢之於漕亭, 還見言之, 上乃疑, 發其棺, 無所見, 唯有竹筒一枚, 捕驗閒無蹤跡也.」
35 索隱服虔云:「用梁百頭.」按:今字皆作「柏」. 三輔故事云「臺高二十丈, 用香柏爲殿, 香聞十里」.
36 集解蘇林曰:「仙人以手掌擎盤承甘露也.」索隱三輔故事曰「建章宮承露盤高三十丈, 大七圍, 以銅爲之. 上有仙人掌承露, 和玉屑飮之」. 故張衡賦曰「立脩莖之仙掌, 承雲表之淸露」是也.
'中國歷史와文學 > 史記' 카테고리의 다른 글
史記 卷 一二. 孝武本紀 Ⅲ (0) | 2019.05.11 |
---|---|
史記 卷 一二. 孝武本紀 Ⅱ (0) | 2019.05.11 |
史記 卷 一一. 孝景本紀 (0) | 2019.05.11 |
史記 卷 一O. 孝文本紀 (0) | 2019.05.11 |
史記 卷九. 呂太后本記 Ⅱ (0) | 2019.05.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