卷三五. 管蔡世家
管叔鮮、1)蔡叔度者, 周文王子而武王弟也. 武王同母兄弟十人. 母曰太姒,2) 文王正妃也. 其長子曰伯邑考, 次曰武王発, 次曰管叔鮮, 次曰周公旦, 次曰蔡叔度, 次曰曹叔振鐸, 次曰成叔武,3) 次曰霍叔処,4) 次曰康叔封,5) 次曰冉季載.6) 冉季載最少. 同母昆弟十人,7) 唯発、旦賢, 左右輔文王,8) 故文王舎伯邑考而以発為太子. 及文王崩而発立, 是為武王. 伯邑考既已前卒矣.
관숙(管叔) 선(鮮)과 채숙(蔡叔) 탁(度)은 주(周)나라의 문왕(文王)의 아들이고, 무왕(武王)의 아우이다. 무왕과 같은 어머니로부터 태어난 형제는 모두 10명이다.
그의 어머니, 즉 태사(太姒)는 문왕의 정비(正妃)이다. 맏아들은 백읍고(伯邑考)이고, 그 다음이 무왕 발(發)이며, 그 다음이 관숙 선이며, 그 다음이 주공(周公) 단(旦)이고, 그 다음이 채숙 탁, 조숙(曹叔) 진탁(振鐸), 성숙(成叔) 무(武), 곽숙(霍叔) 거(處), 강숙(康叔) 봉(封), 염계(冉季) 재(載)의 순으로, 염계 재가 막내이다.
같은 어머니에게서 태어난 형제 10명 가운데 오로지 발(發)과 단(旦) 둘만은 현능(賢能)해 문왕을 곁에서 보필했기 때문에 문왕은 맏아들인 백읍고를 버리고 발을 태자로 삼았다. 문왕이 세상을 떠난 후에 발이 즉위했으니 그가 바로 무왕이다. 그때에 백읍고는 이미 일찍 죽고 없었다.
武王已克殷紂, 平天下, 封功臣昆弟. 於是封叔鮮於管,9) 封叔度於蔡:10)二人相紂子武庚祿父, 治殷遺民. 封叔旦於魯而相周, 為周公. 封叔振鐸於曹, 封叔武於成,11) 封叔処於霍.12) 康叔封、冉季載皆少, 未得封.
무왕이 은(殷)나라의 주왕(紂王)을 멸망시키고 천하를 평정한 다음, 공신들과 자신의 형제들을 제후로 봉했다. 이때 선에게는 관(管) 지역을, 탁에게는 채(蔡) 지역을 영지로 주었다.
무왕은 그 두 아우들로 하여금 주왕의 아들인 무경녹보(武庚祿父)를 보좌하며 은나라 유민들을 다스리도록 했다. 노(魯) 지역에 분봉된 단(旦)은 후에 주나라의 재상이 되었다. 그가 바로 주공(周公)이다. 진탁은 조(曹) 지역을, 무는 성(成) 지역을, 거는 곽(霍) 지역을 각각 봉지로 받았으나, 봉과 재는 어렸던 관계로 봉지를 받지 못했다.
武王既崩, 成王少, 周公旦専王室. 管叔、蔡叔疑周公之為不利於成王, 乃挟武庚以作亂. 周公旦承成王命伐誅武庚, 殺管叔, 而放蔡叔, 遷之, 與車十乗, 徒七十人従. 而分殷余民為二:其一封微子啓於宋, 以続殷祀;其一封康叔為衛君, 是為衛康叔. 封季載於冉. 冉季、康叔皆有馴行,13) 於是周公挙康叔為周司冦, 冉季為周司空,14) 以佐成王治, 皆有令名於天下.
무왕이 서거한 후에 이어 즉위한 성왕이 나이가 너무 어렸기 때문에 주공 단이 왕권을 대행했다. 관숙과 채숙은 주공이 성왕에게 불리하게 정무를 처리할 것이라고 의심을 한 나머지 무경을 끼고 반란을 일으켰다.
주공 단은 성왕의 명령을 받들어 무경을 살해하고 관숙도 죽였으나, 채숙은 풀어주었다. 채숙에게는 전차 10승과 종 70명을 주어 멀리 떠나보냈다. 그런 일이 있은 후로 은나라 유민들은 둘로 나누어졌다.
미자(微子) 계(啓)를 송(宋)에 분봉해 은나라 조상들에 대한 제사를 받들게 함에 따라 일부는 그를 따랐고, 다른 일부는 강숙을 따랐다. 그는 위군(衛君)에 봉해졌는데, 그가 바로 위 강숙(衛康叔)이다. 계재(季載)는 염(冉)에 봉해졌다. 염계와 강숙은 모두 품행이 선량했기에 주공이 중용했다. 강숙은 주나라 사구(司寇)로 임명되었고, 염계는 주나라 사공(司空)에 기용되었는데, 그 두 사람은 모두 주 성왕을 잘 보필해 천하에 명성을 날렸다.
蔡叔度既遷而死. 其子曰胡, 胡乃改行, 率徳馴善. 周公聞之, 而挙胡以為魯卿士,15) 魯国治. 於是周公言於成王, 复封胡於蔡,16) 以奉蔡叔之祀, 是為蔡仲. 余五叔皆就国,17) 無為天子吏者.
채숙이 멀리 쫓겨났다가 죽어버렸다. 그에게는 호(胡)라는 이름의 아들이 있었는데 그는 부친과는 달리 조상의 덕을 준순(遵循)하고 품행이 선량했다.
주공이 그러한 소문을 듣고는 그를 노(魯)나라의 경사(卿士)로 임명했더니, 노나라가 잘 다스려졌다. 그래서 주공은 성왕에게 진언(進言)해 그를 다시 채(蔡) 지역의 제후에 봉해 채숙의 제사를 받들게 했으니, 그가 바로 채중(蔡仲)이다.
무왕의 그 나머지 다섯 형제들은 모두 자기가 분봉받은 나라로 돌아가고 중앙에 남아서 천자의 관리가 된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蔡仲卒, 子蔡伯荒立. 蔡伯荒卒, 子宮侯立. 宮侯卒, 子厲侯立. 厲侯卒, 子武侯立. 武侯之時, 周厲王失国, 奔彘, 共和行政, 諸侯多叛周.
채중이 죽고 나서 아들 채백(蔡伯) 황(荒)이 즉위했다. 채백 황이 죽고 나서는 아들 궁후(宮侯)가 즉위했다. 궁후가 죽고 나서는 아들 여후(厲侯)가 즉위했다. 여후가 죽고 나서는 아들 무후(武侯)가 즉위했다.
무후 때에 주나라 천자인 여왕(厲王)이 나라를 잃고 체(彘)로 달아났고, 주나라는 공화정(共和政)으로 다스려지자 많은 제후들이 주나라에 반기를 들었다.
武侯卒, 子夷侯立. 夷侯十一年, 周宣王即位. 二十八年, 夷侯卒, 子釐侯所事立.
무후가 죽고 나서 아들 이후(夷侯)가 즉위했다. 이후 11년에 주나라에서는 선왕(宣王)이 즉위했다. 28년에 이후가 죽자 아들 희후(釐侯) 소사(所事)가 즉위했다.
釐侯三十九年, 周幽王為犬戎所殺, 周室卑而東徙. 秦始得列為諸侯.18)
희후 39년에 주 유왕(周幽王)이 견융(犬戎)한테 시해되자, 주나라 왕실은 비미쇠약(卑微衰弱)해져서 동쪽으로 도읍을 옮겼다. 이러한 때에 진(秦)이 비로소 제후의 서열에 들게 되었다.
四十八年, 釐侯卒, 子共侯興立. 共侯二年卒, 子戴侯立. 戴侯十年卒, 子宣侯措父立.
48년에 희후가 죽자 아들 공후(共侯) 흥(興)이 즉위했다. 공후는 2년 만에 죽고 아들 대후(戴侯)가 즉위했다. 대후는 10년 만에 죽고 아들 선후(宣侯) 조보(措父)가 즉위했다.
宣侯二十八年, 魯隠公初立. 三十五年, 宣侯卒, 子桓侯封人立. 桓侯三年, 魯弑其君隠公. 二十年, 桓侯卒, 弟哀侯献舞立.
선후 28년에 노(魯)나라에서는 은공(隱公)이 처음 즉위했다. 35년, 선후가 세상을 떠나고 아들 환후(桓侯) 봉인(封人)이 즉위했다. 환후 3년에 노나라에서는 은공을 시해하는 사건이 일어났다. 20년에 환후가 죽자 아우인 애후(哀侯) 헌무(獻舞)가 즉위했다.
哀侯十一年, 初, 哀侯娶陳, 息侯亦娶陳.19) 息夫人将帰, 過蔡, 蔡侯不敬. 息侯怒, 請楚文王:「來伐我, 我求救於蔡, 蔡必來, 楚因撃之, 可以有功.」楚文王従之, 虜蔡哀侯以帰. 哀侯留九歳, 死於楚. 凡立二十年卒. 蔡人立其子, 是為繆侯.
애후 11년에 먼저 애후가 진후(陳侯)의 딸에게 장가를 들고, 식후(息侯) 역시 진후의 딸에게 장가를 들었다. 식부인(息夫人)이 시집을 가는 길에 채(蔡)나라를 거치게 되었는데, 채후(蔡侯)가 그녀에게 불경스럽게 대하자 식후는 매우 화를 내어 초 문왕(楚文王)에게 다음과 같이 요청했다.
“귀국에서 우리나라를 공략해 들어오는 척하고, 제가 채나라 애후에게 구원을 요청하면 그가 반드시 올 테니 그 기회를 틈타 그들을 공격하면 성공을 거둘 수 있을 것입니다.”라고 했다. 초 문왕은 그 말을 믿고 그대로 이행해 채나라 애후를 사로잡아서 자기 나라로 돌아갔다. 애후는 9년간이나 초 나라에 잡혀 있다가 그곳에서 세상을 떠났다. 그가 총 20년간 재위하다가 죽자 채나라 사람들은 그의 아들 힐(肹)을 옹립했으니, 그가 바로 목후(繆侯)이다.
繆侯以其女弟為斉桓公夫人. 十八年, 斉桓公與蔡女戯船中, 夫人蕩舟, 桓公止之, 不止, 公怒, 帰蔡女而不絶也. 蔡侯怒, 嫁其弟.20) 斉桓公怒, 伐蔡;蔡潰, 遂虜繆侯, 南至楚邵陵. 已而諸侯為蔡謝斉, 斉侯帰蔡侯. 二十九年, 繆侯卒, 子荘侯甲午立.
목후는 그의 여동생을 제 환공(齊桓公)에게 시집을 보냈다. 18년에 제환공이 채희(蔡姬)와 더불어 뱃놀이를 하던 중에 그녀가 배를 흔들자 환공이 말렸다. 그런데도 그만두지 않고 계속 그렇게 하자 환공이 버럭 화를 내어 그녀를 채나라로 돌려보내버렸다. 그렇지만 관계를 완전히 단절한 것은 아니었다.
채나라 목후는 그의 여동생이 돌아온 것을 보고 화가 치밀어 다시 다른 데로 시집을 보내버렸다. 그 소식을 접한 제나라 환공은 크게 화를 내어 채나라를 공격했다. 채나라 군사는 붕궤(崩潰)되고 목후는 포로로 잡혔다. 제나라 군사는 내친 김에 여세를 몰아 남으로 진군해 초 나라 소릉(邵陵)에까지 쳐들어갔다. 얼마 후 여러 제후들이 채나라 목후의 일로 제 환공에게 죄를 빌자 제 환공은 목후를 채나라로 돌려보내주었다. 29년에 목후가 세상을 떠나자 아들 장후(莊侯) 갑오(甲午)가 즉위했다.
荘侯三年, 斉桓公卒. 十四年, 晉文公敗楚於城濮. 二十年, 楚太子商臣弑其父成王代立. 二十五年, 秦穆公卒. 三十三年, 楚荘王即位. 三十四年, 荘侯卒, 子文侯申立.
장후 3년에 제 환공이 세상을 떠났다. 14년에는 진 문공(晉文公)이 성복(城濮)에서 초 나라에게 대패했다. 20년에는 초 나라 태자 상신(商臣)이 그의 아버지 성왕(成王)을 시해하고 왕위를 차지했다. 25년에 진 목공(秦穆公)이 세상을 떠났다. 33년에는 초 나라에서 장왕(莊王)이 즉위했다. 34년에는 장후가 세상을 떠나고 아들 문후(文侯) 신(申)이 즉위했다.
文侯十四年, 楚荘王伐陳, 殺夏徴舒. 十五年, 楚囲鄭, 鄭降楚, 楚复醳之.21) 二十年, 文侯卒, 子景侯固立.
문후 14년에 초 장왕이 진(陳)나라를 공격해 하징서(夏徵舒)를 죽였다. 15년에는 초 나라가 정(鄭)나라를 포위했다. 정나라가 초 나라에게 항복하자 초 나라는 포위를 하고 있던 군사를 풀었다. 20년에 문후가 세상을 떠나자 아들 경후(景侯) 고(固)가 즉위했다.
景侯元年, 楚荘王卒. 四十九年, 景侯為太子般娶婦於楚, 而景侯通焉. 太子弑景侯而自立, 是為霊侯.
경후 원년에 초 장왕이 세상을 떠났다. 49년에 경후는 태자 반(般)을 초 나라의 여자에게 장가보냈다. 그러나 경후가 며느리인 그 여자를 간통하자, 태자가 경후를 죽이고 자신이 왕위를 차지했으니, 그가 바로 영후(靈侯)이다.
霊侯二年, 楚公子囲弑其王郟敖而自立, 為霊王.22) 九年, 陳司徒招23)弑其君哀公. 楚使公子棄疾滅陳而有之. 十二年, 楚霊王以霊侯弑其父, 誘蔡霊侯于申,24) 伏甲飲之, 酔而殺之, 刑其士卒七十人. 令公子棄疾囲蔡. 十一月, 滅蔡, 使棄疾為蔡公.25)
영후 2년에 초 나라 공자(公子) 위(圍)가 왕인 겹오(郟敖)를 시해하고 스스로 왕이 되었으니, 그가 바로 영왕(靈王)이다. 9년에는 진(陳)나라의 사도(司徒) 초(招)가 그의 군주 애공(哀公)을 시해했다. 초 나라가 공자 기질(棄疾)을 파견해 진(陳)나라를 멸망시키고 그 땅을 점령했다. 12년에 초 나라 영왕이 영후로 하여금 그의 아버지를 시해하게 하고는 영후를 신(申)으로 유인했다. 영왕은 그곳에 병사들을 매복시켜 놓고는 그에게 술을 잔뜩 먹여 취한 틈을 이용해 그를 죽여 버렸고, 동시에 그의 병사 70명도 함께 죽여 버렸다. 그리고 공자 기질에게 명령해 채나라를 포위하게 했다. 11월에 채나라를 멸망시키고 기질을 채공(蔡公)에 임명했다.
楚滅蔡三歳, 楚公子棄疾弑其君霊王代立, 為平王. 平王乃求蔡景侯少子廬, 立之, 是為平侯.26) 是年, 楚亦复立陳. 楚平王初立, 欲親諸侯, 故复立陳、蔡後.27)
초 나라가 채나라를 무너뜨린 지 3년 후에 초 나라의 공자 기질이 영왕을 시해하고 왕위를 차지했으니, 그가 바로 평왕(平王)이다. 평왕은 채나라 경후의 어린 아들 희려(姬盧)를 찾아내어 그로 하여금 채나라의 왕위를 잇게 했으니, 그가 바로 평후(平侯)이다. 그해에 초 나라 왕은 또 진(陳)나라도 회복시켰다. 초 평왕은 즉위하자마자 여러 제후들의 환심을 사기 위해서 이미 멸망해버린 진(陳)나라와 채나라의 후손들을 찾아내어 그들로 하여금 사직을 복원하게 했던 것이다.
平侯九年卒, 霊侯般之孫東国攻平侯子而自立, 是為悼侯. 悼侯父曰隠太子友. 隠太子友者, 霊侯之太子, 平侯立而殺隠太子, 故平侯卒而隠太子之子東国攻平侯子而代立, 是為悼侯. 悼侯三年卒, 弟昭侯申立.
평후는 재위 9년 만에 죽고, 영후(靈侯) 희반(姬般)의 손자 희동국(姬東國)이 평후의 아들을 몰아내고 왕위를 차지했으니, 그가 바로 도후(悼侯)이다. 도후의 부친은 은 태자(隱太子) 희우(姬友)라는 사람이다. 희우는 영후의 태자였는데, 평후가 그를 죽이고 왕위를 차지했기에 평후가 죽은 다음에는 그의 아들 동국(東國)이 평후의 아들을 물리치고 대신 왕위에 올라 도후가 된 것이다. 도후는 재위 3년 만에 세상을 떠나고, 아우인 소후(昭侯) 희신(姬申)이 즉위했다.
昭侯十年, 朝楚昭王, 持美裘二, 献其一於昭王而自衣其一. 楚相子常欲之, 不與. 子常讒蔡侯, 留之楚三年. 蔡侯知之, 乃献其裘於子常;子常受之, 乃言帰蔡侯. 蔡侯帰而之晉, 請與晉伐楚.
소후 10년에 초 소왕(楚昭王)을 알현하러 갔다. 그 길에 아름답고 귀한 가죽옷 2벌을 가지고 가서는 한 벌은 소왕에게 헌상하고 나머지 한 벌은 자신이 입었다. 초 나라 재상 자상(子常)이 그것을 가지고 싶어 하는데도, 소후는 그 눈치를 채지 못하고 주지 않았다. 자상이 소왕의 면전에서 소후를 나쁘게 말하자 소왕은 소후를 3년 동안이나 오래도록 초 나라에 붙잡아 놓았다. 채나라의 소후는 그제에서야 비로소 자신을 돌려보내지 않은 원인을 눈치 채고는 그 가죽옷을 자상에게 헌납했다. 자상은 그것을 받자마자 소왕에게 진언해 소후를 돌려보냈다. 채나라 소후는 자기 나라로 돌아오는 길에 진(晉)나라로 가서는 함께 초 나라를 토벌하자고 간청했다.
十三年春, 與衛霊公会邵陵. 蔡侯私於周萇弘以求長於衛;28)衛使史■言康叔之功徳, 乃長衛. 夏, 為晉滅沈,29) 楚怒, 攻蔡. 蔡昭侯使其子為質於呉,30) 以共伐楚. 冬, 與呉王闔閭遂破楚入郢. 蔡怨子常, 子常恐, 奔鄭. 十四年, 呉去而楚昭王复国. 十六年, 楚令尹為其民泣以謀蔡, 蔡昭侯懼. 二十六年, 孔子如蔡. 楚昭王伐蔡, 蔡恐, 告急於呉. 呉為蔡遠, 約遷以自近, 易以相救;昭侯私許, 不與大夫計. 呉人來救蔡, 因遷蔡于州來.31) 二十八年, 昭侯将朝于呉, 大夫恐其复遷, 乃令賊利殺昭侯;32)已而誅賊利以解過, 而立昭侯子朔, 是為成侯.33)
13년 봄에 소후는 소릉에서 위 영공(衛靈王)과 회맹(會盟)을 가졌다. 소후는 주나라 대부 장홍(萇弘)에게 비밀리에 연락을 취해서 회맹석상에서 위 영공보다 앞자리에 앉을 수 있도록 배려해달라고 요청했다. 위 영공은 사추(史鰌)를 파견해 자기 나라의 시조인 강숙(康叔)의 공덕을 찬양하게 시켰다. 결국에는 위 영공이 우두머리 자리에 앉게 되었다.
그해 여름에 진(晉)나라를 위해서 침(沈)나라를 멸망시키자, 초 소왕이 화가 나서 채나라를 침공했다. 채나라 소후는 그의 아들을 오(吳)나라로 보내 인질이 되게 하고는 오나라와 더불어 초 나라를 토벌하기로 계획을 세웠다. 그해 겨울에 채나라는 오나라 왕인 합려(闔閭)의 군사와 함께 초 나라 군사를 격파하고 초 나라의 수도인 영도(郢都)에까지 침공해 들어갔다. 채나라의 소후가 자신에게 원한을 품고 있는 것을 익히 잘 알고 있는 초 나라의 영윤(令尹) 자상은 겁이 나서 정나라로 도망쳤다.
14년에 오나라 군사들이 물러가고 초 소왕은 잃은 국토를 되찾았다. 16년에 초 나라 영윤은 갖은 고초를 겪고 있는 백성들을 생각해 눈물을 흘리면서 오나라 군사를 불러들인 채나라를 보복하고 토벌할 계획을 세우고 있었고, 이 때문에 채나라의 소후는 두려움에 떨게 되었다.
26년에 공자(孔子)가 채나라를 방문했다. 초 소왕이 채나라를 토벌하려 하자 두려움을 느낀 채나라 소후는 그 사실을 오나라 왕에게 급히 알렸다. 오나라 왕은 채나라가 자기 나라로부터 너무 멀리 떨어져 있으므로 구원의 편의를 위해서는 오나라 국경 가까이로 도읍을 옮겨올 것을 약정하자고 제의했다. 소후는 그 제안에 혼자서만 몰래 약속해 놓고는 그 사실을 대부들과 상의하지 않았다. 오나라가 채나라를 구원하러 오자 그 틈에 주래(州來)로 도읍을 옮겨갔다.
28년에 소후가 오나라 왕을 배알(拜謁)하러 갈 준비를 갖추자 대부들은 그가 다시 도읍을 옮길까봐 두려운 나머지 이(利)라는 이름의 도둑 한 사람을 몰래 궁중에 들여보내어 소후를 암살하게 했다. 그런 후에 그 도둑을 죽여서 그 사건을 얼렁뚱땅 무마시키고는 소후의 아들 희삭(姬朔)을 옹립했으니, 그가 바로 성후(成侯)이다.
成侯四年, 宋滅曹. 十年, 斉田常弑其君簡公. 十三年, 楚滅陳. 十九年, 成侯卒, 子声侯産立. 声侯十五年卒, 子元侯立. 元侯六年卒, 子侯斉立.
성후 4년에 송(宋)나라가 조(曹)나라를 무너뜨렸다. 10년에 제(齊)나라에서는 전상(田常)이라는 대신이 그의 임금 간공(簡公)을 시해했다. 13년에는 초 나라가 진(陳)나라를 멸망시켰다. 19년에 성후가 세상을 떠나고 그의 아들 성후(聲侯) 희산(姬産)이 즉위했다. 성후는 재위 15년 만에 세상을 떠나고 아들 원후(元侯)가 즉위했다. 원후는 재위 6년 만에 죽고 아들 채후(蔡侯) 희제(姬齊)가 즉위했다.
侯斉四年, 楚恵王滅蔡, 蔡侯斉亡, 蔡遂絶祀. 後陳滅三十三年.34)
채후 희제 4년에 초 나라 혜왕(惠王)이 채나라를 무너뜨렸다. 채후는 도망을 갔고, 이로써 채나라 종묘의 제사가 끊어지게 되었다. 채나라는 진(陳)나라보다는 33년 뒤에 나라가 망한 셈이다.
伯邑考, 其後不知所封. 武王発, 其後為周, 有本紀言. 管叔鮮作亂誅死, 無後. 周公旦, 其後為魯, 有世家言. 蔡叔度, 其後為蔡, 有世家言. 曹叔振鐸, 有後為曹, 有世家言. 成叔武, 其後世無所見. 霍叔処, 其後晉献公時滅霍. 康叔封, 其後為衛, 有世家言. 冉季載, 其後世無所見.
백읍고(伯邑考)가 죽은 후에 그의 후손들은 봉지가 어디인지를 몰랐다. 무왕(武王) 희발(姬發), 그의 후손들은 주나라 왕으로서 그들에 대해서는 「주본기(周本紀)」에 기록되어 있다. 관숙(管叔) 희선(姬鮮)은 반란을 일으킨 죄로 사형되었기 때문에 후손이 없다. 주공(周公) 희단(姬旦)의 후손들은 노후(魯侯)였기 때문에 「노주공세가(魯周公世家)」에 기록해 놓았다.
채숙(蔡叔) 희탁(姬度)의 후손들은 채후(蔡侯)이었기에 그들에 대해서는 「관채세가(管蔡世家)」에 기록해 놓았다. 조숙(曹叔) 희진탁(姬振鐸)의 후손들은 조후(曹侯)를 지냈기에 그들에 대해서도 「관채세가」에 기록해 두기로 한다.
성숙(成叔) 희무(姬武)의 후손들은 세상에 알려진 바가 없다. 곽숙(霍叔) 희거(姬處)의 후손들은 곽후(霍侯)에 봉해졌으나, 진 헌공(晉獻公)에 의해 멸망되었다. 강숙(康叔) 희봉(姬封)의 후손들은 위후(衛侯)에 봉해졌는바, 그들에 대해서는 「위강숙세가(衛康叔世家)」에 따로 기록해 두기로 한다. 염계(冉季) 희재(姬載)의 후손들은 세상에 알려진 바가 없다.
太史公曰:管蔡作亂, 無足載者. 然周武王崩, 成王少, 天下既疑, 頼同母之弟成叔、冉季之属十人為輔払, 是以諸侯卒宗周, 故附之世家言.
태사공은 말한다.
“관숙과 채숙이 반란을 일으킨 것은 기록해둘 만한 가치가 없다. 그러나 주 무왕이 세상을 떠나고 뒤이어 즉위한 성왕이 나이가 어렸기 때문에 만백성들이 회의를 품게 되자 같은 어머니에게서 태어난 형제인 성숙 희무와 염계 희재 등 10여 명이 잘 보필한 관계로 제후들이 결국에는 주나라 왕실을 존숭하게 되었다.
그러므로 그들에 대해서는 「세가」 중에 보충해 기록해 두기로 한다.”
曹叔振鐸者,35) 周武王弟也. 武王已克殷紂, 封叔振鐸於曹.36)
조숙(曹叔) 진탁(振鐸)이라는 사람은 주 무왕(周武王)의 동생이다. 무왕이 은 주왕(殷紂王)을 멸한 다음에 아우인 진탁을 조후(曹侯)에 봉했다.
叔振鐸卒, 子太伯脾立. 太伯卒, 子仲君平立. 仲君平卒, 子宮伯侯立. 宮伯侯卒, 子孝伯雲立. 孝伯雲卒, 子夷伯喜立.
진탁이 죽은 후에 아들 태백(太伯) 희비(姬脾)가 즉위했다. 태백이 죽은 다음에는 아들 중군(仲君) 희평(姬平)이 즉위했다. 중군 희평이 죽은 다음에는 아들 궁백(宮伯) 희후(姬侯)가 즉위했다. 궁백 희후가 죽은 다음에는 아들 효백(孝伯) 희운(姬雲)이 즉위했다. 효백이 죽은 다음에는 아들 이백(夷伯) 희희(姬喜)가 즉위했다.
夷伯二十三年, 周厲王奔于彘.
이백 23년에 주나라의 여왕(厲王)이 체(彘) 지역으로 도피했다.
三十年卒, 弟幽伯彊立. 幽伯九年, 弟蘇殺幽伯代立, 是為戴伯. 戴伯元年, 周宣王已立三歳. 三十年, 戴伯卒, 子恵伯兕立.37)
이백은 재위 30년 만에 세상을 떠나고 그의 아우인 유백(幽伯) 희강(姬彊)이 즉위했다. 유백 9년에 아우인 희소(姬蘇)가 유백을 살해하고 자신이 즉위했으니, 그가 바로 대백(戴伯)이다. 대백 원년은 주나라의 선왕(宣王)이 왕위에 오른 지 3년째 되는 해이다. 30년에 대백이 죽고 아들 혜백(惠伯) 희시(姬兕)가 즉위했다.
恵伯二十五年, 周幽王為犬戎所殺, 因東徙, 益卑, 諸侯畔之. 秦始列為諸侯.
혜백 25년에 주나라는 유왕(幽王)이 견융(犬戎)에게 살해되었고, 그 때문에 주나라는 도읍을 동쪽으로 옮겨갔으며, 천자의 세력은 날로 쇠약해져서 제후들은 거의가 주 왕실을 등졌다. 그리고 진(秦)이 비로소 제후항렬에 들게 되었다.
三十六, 恵伯卒, 子石甫立, 其弟武殺之代立, 是為繆公. 繆公三年卒, 子桓公終生立.38)
36년에 혜백이 죽고 아들 희석보(姬石甫)가 즉위했고, 그의 동생인 희무(姬武)가 다시 희석보를 죽이고 자리를 차지했으니, 그가 바로 목공(繆公)이다. 목공은 재위 3년 만에 죽고 아들 환공(桓公) 희종생(姬終生)이 즉위했다.
桓公三十五年, 魯隠公立. 四十五年, 魯弑其君隠公. 四十六年, 宋華父督弑其君殤公, 及孔父. 五十五年, 桓公卒, 子荘公夕姑39)立.
환공 35년에 노(魯)나라에서는 은공(隱公)이 즉위했다. 45년에 노나라에서는 은공이 시해되는 일이 벌어졌다. 46년에 송(宋)나라에서는 화보(華父) 독(督)이 상공(殤公)과 대부인 공보(孔父)를 시해하는 사건이 일어났다. 55년에 환공이 죽고 아들 장공(莊公) 희석고(姬夕姑)가 즉위했다.
荘公二十三年, 斉桓公始霸.
장공 23년에는 제(齊)나라의 환공(桓公)이 처음으로 칭패(稱覇)하기 시작했다.
三十一年, 荘公卒, 子釐公夷立. 釐公九年卒, 子昭公班立. 昭公六年, 斉桓公敗蔡, 遂至楚召陵. 九年, 昭公卒, 子共公襄立.
31년에 장공이 죽고 아들 희공(釐公) 희이(姬夷)가 즉위했다. 희공은 재위 9년 만에 죽고 아들인 소공(昭公) 희반(姬般)이 즉위했다. 소공 6년에 제 환공이 채(蔡)나라를 격파하고 이어 초(楚)나라의 소릉(召陵)에까지 진격해 들어갔다. 9년에 소공이 세상을 떠나고 아들 공공(共公) 희양(姬襄)이 즉위했다.
共公十六年, 初, 晉公子重耳其亡過曹, 曹君無礼, 欲観其駢脅.40) 釐負羈41)諫, 不聴, 私善於重耳. 二十一年, 晉文公重耳伐曹, 虜共公以帰, 令軍毋入釐負羈之宗族閭. 或説晉文公曰:「昔斉桓公会諸侯, 复異姓;今君囚曹君, 滅同姓, 何以令於諸侯?」晉乃复帰共公.
공공 16년에 진(晉)나라의 공자 중이(重耳)가 도망가는 길에 한때 조(曹)나라에 들렀는데, 조나라 왕이 그에게 무례하게 대하자 중이는 언젠가 그의 갈비뼈를 분질러놓겠노라고 앙심을 품었다. 희부기가 왕에게 잘 대해주어야 한다고 권했으나 왕은 듣지 않았다. 희부기 그 자신은 중이에게 선심을 베풀어 좋은 교분을 맺었다.
21년에 진(晉)나라 문공(文公) 중이가 조나라를 침략해 공공을 생포해서 자기 나라로 데리고 갔다. 그리고 군사들에게 명령을 내려서 희부기의 종족들이 살고 있는 마을에는 발을 들여놓지 말도록 엄단했다. 어떤 사람이 진 문공(晉文公)에게 권해 말하기를 “예전에 제 환공이 패권을 차지했을 때에는 이성(異姓) 국가들까지도 국권을 회복시켜주는 아량을 베풀었는데, 지금 그대는 오히려 조군(曹君)을 감금해 동성(同姓)의 제후를 멸망시키려하니 그래 가지고야 앞으로 어찌 제후들을 잘 호령할 수 있겠사옵니까?”라고 말하자, 그 말을 듣고는 공공을 곧 자기 나라로 돌려보내주었다.
二十五年, 晉文公卒. 三十五年, 共公卒, 子文公寿立. 文公二十三年卒, 子宣公彊立.42) 宣公十七年卒, 弟成公負芻立.
25년에 진 문공이 세상을 떠났다. 35년에는 공공이 죽고 아들 문공(文公) 희수(姬壽)가 즉위했다. 문공은 재위 23년 만에 죽고 아들 선공(宣公) 희강(姬彊)이 즉위했다. 선공은 재위 17년 만에 죽고 동생인 성공(成公) 희부추(姬負芻)가 즉위했다.
成公三年, 晉厲公伐曹, 虜成公以帰, 已复釈之.43) 五年, 晉欒書、中行偃使程滑弑其君厲公. 二十三年, 成公卒, 子武公勝立. 武公二十六年, 楚公子棄疾弑其君霊王代立. 二十七年, 武公卒, 子平公(頃)[須]立. 平公四年卒, 子悼公午立. 是歳, 宋、衛、陳、鄭皆火.
성공 3년에 진(晉)나라 여공(厲公)이 조(曹)나라를 침략해 성공을 붙잡아서 자기 나라로 데리고 갔다가 얼마 후 풀어주었다. 5년에 진(晉)나라의 난서(欒書)와 중항언(中行偃)이 정활(程滑)을 시켜서 여공(厲公)을 시해했다. 23년에는 성공이 죽고 아들 무공(武公) 희승(姬勝)이 즉위했다. 무공 26년에 초(楚)나라 공자 기질(棄疾)이 자신의 군주인 영왕(靈王)을 시해하고는 대신 왕위를 차지했다. 27년에 무공이 죽고 아들 평공(平公) 희수(姬須)가 즉위했다. 평공은 재위 4년 만에 죽고 아들 도공(悼公) 희오(姬午)가 즉위했다. 그해에 송(宋), 위(衛), 진(陳), 정(鄭) 나라에서 모두 큰 화재(火災)를 당했다.
悼公八年, 宋景公立. 九年, 悼公朝于宋, 宋囚之;曹立其弟野, 是為声公. 悼公死於宋, 帰葬.
도공 8년에 송나라에서는 경공(景公)이 즉위했다. 9년에 도공은 송나라에 배알하러 갔는데, 송나라가 그를 붙잡아놓고 돌려보내주지 않자 조나라에서는 그의 동생인 희야(姬野)를 옹립했으니, 그가 바로 성공(聲公)이다. 도공은 끝내 송나라에서 숨을 거두었는데, 시신은 조나라로 돌아와 안장되었다.
声公五年, 平公弟通弑声公代立, 是為隠公.44) 隠公四年, 声公弟露弑隠公代立, 是為靖公. 靖公四年卒, 子伯陽立.
성공 5년에 평공의 동생인 희통(姬通)이 성공을 시해하고 대신 왕위를 차지했으니, 그가 바로 은공(隱公)이다. 은공 4년에 성공의 동생인 희로(姬露)가 은공을 시해하고 대신 왕위를 차지했으니, 그가 바로 정공(靖公)이다. 정공은 재위 4년 만에 죽고 아들 희백양(姬伯陽)이 즉위했다.
伯陽三年, 国人有夢衆君子立于社宮,45) 謀欲亡曹;曹叔振鐸止之, 請待公孫彊, 許之. 旦, 求之曹, 無此人. 夢者戒其子曰:「我亡, 爾聞公孫彊為政, 必去曹, 無離曹禍.」46)及伯陽即位, 好田弋之事. 六年, 曹野人公孫彊亦好田弋, 獲白鴈而献之, 且言田弋之説, 因訪政事. 伯陽大説之, 有寵, 使為司城以聴政. 夢者之子乃亡去.
백양이 즉위한 지 3년째 되는 해에 조나라의 어떤 사람이 꿈을 꾸었는데, 여러 고관 귀족들이 사궁(社宮)에 모여서 조나라를 멸망시키려고 모의를 하고 있었는데, 조숙 진탁이 나타나서 만류하면서 공손강(公孫彊)이 등단할 때까지만이라도, 기다려달라고 애걸하자 고관 귀족들이 그에 동의하더라는 내용이었다고 한다.
그 사람은 날이 밝자 아무리 찾아보았지만 그러한 이름을 가진 사람을 찾을 수 없었다. 그래서 자신의 아들에게 “내가 죽고 나서 네가 공손강이라는 사람이 정권을 잡게 되었다는 소문을 듣거들랑 반드시 조나라를 떠나야 하느니라. 그리하여 나라가 망함에 따라 화를 입는 일이 없도록 하거라.”라고 훈계했다.
백양은 즉위한 뒤에 사냥을 즐겨 했다. 6년째 되는 해의 일이었다. 조나라의 야인(野人)인 공손강 또한 사냥을 좋아했는데, 흰 기러기를 잡아서 백양에게 바치고는 사냥에 관해서 설파한 뒤 이어서 그에게 시정(施政)에 관한 자신의 견해를 밝히자, 그의 말을 듣고 백양은 매우 기뻐하고는 총신(寵信)하여 그에게 사성(司城)이라는 벼슬을 주어 국가 대사(大事)에 참여하게 했다. 예전에 이상한 꿈을 꾸었던 사람의 아들은 그러한 소문을 듣고는 곧바로 조나라를 떠나버렸다고 한다.
公孫彊言霸説於曹伯. 十四年, 曹伯従之, 乃背晉干宋.47) 宋景公伐之, 晉人不救. 十五年, 宋滅曹, 執曹伯陽及公孫彊以帰而殺之. 曹遂絶其祀.
공손강은 조백(曹伯)에게 칭패(稱覇)에 관한 이론을 설명했다. 14년에 조백이 그의 말을 그대로 신종(信從)해 진(晉)나라를 배반하고, 송나라를 침범했다. 송나라 경공(景公)이 반격을 가해 오자 진나라는 조나라를 구원해 주지 않았다. 15년에 송나라가 조나라를 멸망시키고는 조백양과 공손강을 자기 나라로 압송해 가서는 두 사람을 모두 죽여 버렸다. 그리하여 드디어 조나라의 종묘사직에 대한 제사가 끊어져버렸던 것이다.
太史公曰:48)余尋曹共公之不用僖負羈, 乃乗軒者三百人,49) 知唯徳之不建. 及振鐸之夢, 豈不欲引曹之祀者哉? 如公孫彊不脩厥政, 叔鐸之祀忽諸.50)
태사공은 말한다.
“나는 조(曹)나라의 공공(共公)이 희부기를 신임하지 않았으며, 그리고 대부(大夫)들이라야 탈 수 있는 높은 수레에 미녀들이 오르고 그 숫자가 자그마치 3백 명이나 된다는 사실에 대해 곰곰이 생각해 보고는, 그렇게 도덕이 서지 않게 됨에 따른 결과가 어떻게 나타나리라는 것을 예측하고 남음이 있었다.
조나라의 시조 진탁(振鐸)이 꿈에 나타난 것은 어찌 조나라 종묘사직에 대한 제사를 길이 보전하고 싶은 까닭이 아니었겠는가! 만약 공손강이 패권만을 노리는 무리한 정치를 지향하지 않았더라면 시조인 진탁에 대한 제사가 하루아침에 갑자기 단절되는 사태는 없었을 것이로다!”
각주
1 正義音仙. 括地志云:「鄭州管城県, 今州外城即管国城也, 是叔鮮所封国也.」
2 正義国語云:「杞、繒二国, 姒姓, 夏禹之後, 太姒之家. 太姒, 文王之妃, 武王之母.」列女傳云:「太姒者, 武王之母, 禹後姒氏之女也. 在郃之陽, 在渭之涘. 仁而明道, 文王嘉之, 親迎于渭, 造舟為梁. 及入, 太姒思媚太姜、太任, 旦夕勤勞, 以進婦道. 太姒号曰文母. 文王理外, 文母治内. 太姒生十男, 教誨自少及長, 未嘗見邪僻之事, 言常以正道持之也.」
3 正義括地志云:「在濮州雷沢県東南九十一里, 漢郕陽県. 古郕伯, 姫姓之国, 其後遷於成之陽.」
4 正義処, 昌汝反. 括地志云:「晉州霍邑県本漢彘県也. 鄭玄注周礼云霍山在彘, 本春秋時霍伯国地.」
5 索隠孔安国曰:「康, 畿内国名, 地闕. 叔, 字也. 封, 叔名.」
6 索隠冉, 国也. 載, 名也. 季, 字也. 冉, 或作「■」. 按:国語曰冉由鄭姫. 賈逵曰「文王子聃季之国」也. 荘十八年「楚武王克権, 遷於■処」. 杜預云「■処, 楚地. 南郡編県有■口城」. 聃與■皆音奴甘反. 正義冉音奴甘反. 或作「■」, 音同. 冉国名也. 季載, 人名也. 伯邑考最長, 所以加「伯」. 諸中子咸言「叔」, 以載最少, 故言季載.
7 集解徐広曰:「文王之子為侯者十有六国.」
8 正義左右並去声.
9 集解杜預曰:「管在滎陽京県東北.」
10 集解世本曰:「居上蔡.」
11 索隠按:春秋隠五年「衛師入郕」. 杜預曰「東平剛父県有郕郷」. 後漢郡国志以為成本国. 又地理志廩丘県南有成故城. 應劭云「武王封弟季載於成」, 是古之成邑, 應仲遠誤云季載封耳.
12 索隠春秋閔元年晉滅霍. 地理志河東彘県, 霍太山在東北, 是霍叔之所封.
13 索隠如字, 音巡. 馴, 善也.
14 索隠事見定四年左傳.
15 索隠按:尚書云蔡仲克庸祗徳, 周公以為卿士, 叔卒, 乃命諸王, 封之蔡, 元無仕魯之文. 又伯禽居魯乃是七年致政之後, 此言乃説居摂政之初, 未知史遷何憑而有斯言也.
16 集解宋忠曰:「胡徙居新蔡.」
17 索隠管叔、蔡叔、成叔、曹叔、霍叔.
18 正義周幽王為犬戎所殺, 平王東徙洛邑, 秦襄公以兵救, 因送平王至洛, 故平王封襄公.
19 集解杜預曰:「息国, 汝南新息県.」
20 索隠弟, 女弟, 即蕩舟之姫.
21 正義醳音釈.
22 正義郟, 紀洽反. 敖, 五高反.
23 索隠或作「昭」, 或作「韶」, 並時遥反.
24 正義故申城在鄧州.
25 正義蔡之大夫也.
26 集解宋忠曰:「平侯徙下蔡.」 索隠今系本無者, 近脱耳.
27 集解世本曰:「平侯者, 霊侯般之孫, 太子友之子.」
28 集解服虔曰:「載書使蔡在衛上.」
29 集解杜預曰:「汝南平輿県北有邥亭.」
30 正義質音致.
31 索隠州來在淮南下蔡県.
32 索隠案:利, 賊名也.
33 集解徐広曰:「或作『景』.」
34 索隠魯哀十七年楚滅陳, 其楚滅蔡絶其祀, 又在滅陳之後三十三年, 即在春秋後二十三年.
35 索隠按:上文「叔振鐸, 其後為曹, 有系家言」, 則曹亦合題系家, 今附管蔡之末而不出題者, 蓋以曹微小而少事跡, 因附管蔡之末, 不別題篇爾. 且又管叔雖無後, 仍是蔡、曹之兄, 故題管、蔡而略曹也.
36 集解宋忠曰済陰定陶県.
37 集解孫検曰:「兕音徐子反. 曹恵伯或名雉, 或名弟, 或复名弟兕也.」 索隠按:年表作「恵公伯雉」, 注引孫検, 未詳何代, 或云斉人, 亦恐其人不注史記. 今以王倹七志、阮孝緒七錄並無, 又不知是裴駰所錄否?
38 集解孫検云:「一作『終湦』. 湦音生.」
39 索隠上音亦. 即射姑也, 同音亦.
40 集解韋昭曰:「駢者, 并幹也.」 正義駢, 白邊反. 脅, 許業反.
41 正義釐音僖, 曹大夫.
42 索隠按左傳, 宣公名廬.
43 索隠按:左傳成十五年, 晉厲公執負芻, 帰于京師. 晉立宣公弟子臧, 子臧曰「聖達節, 次守節, 下失節. 為君非吾節也」. 遂逃奔宋. 曹人請于晉. 晉人謂子臧「反国, 吾帰而君」. 子臧反, 晉於是帰負芻.
44 索隠按:譙周云春秋無其事. 今検系本及春秋, 悼伯卒, 弟露立, 謚靖公, 実無声公、隠公, 蓋是彼文自疏也.
45 集解賈逵曰:「社宮, 社也.」鄭衆曰:「社宮, 中有室屋者.」
46 索隠離即罹. 罹, 被也.
47 集解賈逵曰:「以小加大.」 索隠干謂犯也. 言曹因棄晉而犯宋, 遂致滅也. 裴氏引賈逵注云「以小加大」者, 加, 陵也, 小即曹也, 大謂晉及宋也.
48 索隠検諸本或無此論.
49 正義晉世家云:「晉師入曹, 數之, 以其不用僖負羈言, 而美女乗軒三百人也.」
50 正義至如公孫彊不脩霸道之政, 而伯陽之子立, 叔鐸猶尚饗祭祀, 豈合忽絶之哉.
'中國歷史와文學 > 史記世家' 카테고리의 다른 글
史記 卷三七. 衛康叔世家 (0) | 2019.06.22 |
---|---|
史記 卷三六. 陳杞世家 (0) | 2019.06.22 |
史記 卷三四. 燕召公世家 (0) | 2019.06.22 |
史記 卷三三. 魯周公世家 (0) | 2019.06.22 |
史記 卷三二. 齊太公世家 (0) | 2019.06.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