卷四O. 楚世家[楚나라의 선조]
楚之先祖出自帝顓頊高陽. 高陽者, 黄帝之孫, 昌意之子也. 高陽生称,1) 称生巻章, 巻章生重黎.2) 重黎為帝嚳高辛居火正,3) 甚有功, 能光融天下, 帝嚳命曰祝融.4) 共工氏作亂, 帝嚳使重黎誅之而不尽. 帝乃以庚寅日誅重黎, 而以其弟呉回為重黎後, 复居火正, 為祝融.
초(楚)나라의 선조는 고양씨(高陽氏) 전욱(顓頊)에게서 나왔다. 고양은 황제(黃帝)의 손자이며, 창의(昌意)의 아들이다. 고양은 칭(稱)을 낳았으며, 칭은 권장(卷章)을 낳았고, 권장은 중려(重黎)를 낳았다. 중려는 제곡(帝嚳) 고신씨(高辛氏)의 화정(火正)으로서 공적을 쌓았고, 능히 천하를 밝게 비출 수 있어 제곡이 그에게 축융(祝融)의 칭호를 하사했다.
공공씨(共工氏)가 반란을 일으키자, 제곡은 중려에게 반란자들을 정벌하게 명령했는데, 철저히 소탕하지 못했다. 제곡은 경인일(庚寅日)에 중려를 죽이고, 그의 동생 오회(吳回)로 하여금 중려의 계승자로 삼아, 화정에 임명하고 축융이라 했다.
呉回生陸終. 陸終生子六人, 坼剖而産焉.5) 其長一曰昆吾;6)二曰參胡;7)三曰彭祖;8)四曰会人;9)五曰曹姓;10)六曰季連, 羋姓, 楚其後也.11) 昆吾氏, 夏之時嘗為侯伯, 桀之時湯滅之. 彭祖氏, 殷之時嘗為侯伯, 殷之末世滅彭祖氏. 季連生附沮,12) 附沮生穴熊. 其後中微, 或在中国, 或在蛮夷, 弗能紀其世.
오회는 육종(陸終)을 낳았다. 육종은 여섯 아들을 낳았는데, 모두 배를 절개해 낳았다. 큰아들은 곤오(昆吾)이고, 둘째 아들은 참호(參胡)며, 셋째 아들은 팽조(彭祖), 넷째 아들은 회인(會人), 다섯째 아들은 조성(曹姓), 여섯째 아들은 계련(季連)이다. 계련의 성은 미(羋)로, 초(楚)나라 왕족은 바로 그의 후손이다. 곤오씨는 하(夏)나라에서 후백(侯伯)을 지냈으며, 걸왕(桀王) 때 탕왕(湯王)에 의해 멸망했다. 팽조씨는 은(殷)나라에서 후백을 지냈으며, 은나라 말기에 멸망했다. 계련은 부저(附沮)를 낳았으며 부저는 혈웅(穴熊)을 낳았다. 그 후 점점 쇠락해 어떤 사람은 중원(中原) 지방에 살기도 하고, 어떤 사람은 동남쪽 만이(蠻夷) 지방에 살기도 해 그들의 가계(家系)를 기록할 수 없게 되었다.
周文王之時, 季連之苗裔曰鬻熊. 鬻熊子事文王, 蚤卒. 其子曰熊麗. 熊麗生熊狂, 熊狂生熊繹. 주 문왕(周文王) 때, 계련의 후손인 죽웅(鬻熊)이라고 불리는 사람이 있었다. 죽웅은 아들을 돌보듯이 문왕을 섬겼으나 일찍 죽었다. 그의 아들은 웅려(熊麗)이고, 웅려는 웅광(熊狂)을 낳았으며, 웅광은 웅역(熊繹)을 낳았다.
熊繹當周成王之時, 挙文、武勤勞之後嗣, 而封熊繹於楚蛮, 封以子男之田, 姓羋氏, 居丹陽.13) 楚子熊繹與魯公伯禽、衛康叔子牟、晉侯燮、斉太公子呂伋倶事成王.
웅역은 주 성왕(周成王) 시기에 살았다. 성왕이 문왕과 무왕(武王)의 공신 후손들에게 논공행상을 해 웅역을 초만(楚蠻) 지방에 봉하고 자남(子男)의 작위와 토지를 하사하고, 성을 미(羋)라고 해, 단양(丹陽)에 도읍하게 했다. 웅역은 노공(魯公) 백금(伯禽), 위강숙(衛康叔)의 아들 모(牟), 진후(晉侯) 섭(燮), 제 태공(齊太公)의 아들 여급(呂伋)과 함께 성왕을 섬겼다.
熊繹生熊艾, 熊艾生熊■,14) 熊■生熊勝. 熊勝以弟熊楊15)為後. 熊楊生熊渠.
웅역은 웅애(熊艾)를 낳고, 웅애는 웅달을 낳고, 웅달은 웅승(熊勝)을 낳았다. 웅승은 동생 웅양(熊楊)을 후계자로 삼았다. 웅양은 웅거(熊渠)를 낳았다.
熊渠生子三年. 當周夷王之時, 王室微, 諸侯或不朝, 相伐. 熊渠甚得江漢閒民和, 乃興兵伐庸、16)楊粵,17) 至于鄂.18) 熊渠曰:「我蛮夷也, 不與中国之号謚.」乃立其長子康為句亶王,19) 中子紅為鄂王,20) 少子執疵為越章王,21) 皆在江上楚蛮之地. 及周厲王之時, 暴虐, 熊渠畏其伐楚, 亦去其王.
웅거는 아들 셋을 낳았다. 주 이왕(周夷王) 때 왕실이 약해지자 제후들 중에서 천자를 알현하지 않은 이도 있었으며, 제후들 간에 서로 공격했다. 웅거는 장강(長江)과 한수(漢水) 일대 농민의 환심을 얻어, 군사를 일으켜 용(庸)과 양월(楊粤)을 공격해 악(鄂)까지 빼앗았다. 웅거는 “나는 만이(蠻夷) 지방에 있으니 중원 여러 나라와 마찬가지로 같은 국호와 시호를 사용하지 않겠다.”라고 말하고, 큰아들 웅강(熊康)을 구단왕(句亶王)으로, 둘째 아들 웅홍(熊紅)을 악왕(鄂王)으로, 막내아들 웅집자(熊執疵)를 월장왕(越章王)으로 삼았다. 주 여왕(周厲王) 때 여왕이 포악무도하니, 웅거는 여왕이 초 나라를 공격할까 두려워 자신들의 왕호를 없앴다.
後為熊毋康,22) 毋康蚤死. 熊渠卒, 子熊摯紅立.23) 摯紅卒, 其弟弑而代立, 曰熊延.24) 熊延生熊勇.
웅거의 계승자는 큰아들 웅무강(熊毋康)이었는데, 웅무강은 일찍 죽었다. 웅거가 죽자, 둘째 아들 웅철홍(熊摯紅)이 즉위했다. 웅철홍이 죽자 그의 동생이 웅철홍의 아들을 죽이고 즉위하니 그가 바로 웅연(熊延)이다. 웅연은 웅용(熊勇)을 낳았다.
熊勇六年, 而周人作亂, 攻厲王, 厲王出奔彘. 熊勇十年, 卒, 弟熊厳為後.
웅용 6년(기원전 841년), 주나라 사람들이 반란을 일으켜 주 여왕을 공격하니, 여왕은 체(彘) 지역으로 피난했다. 웅용 10년(기원전 837년)에 웅용이 죽자 동생 웅엄(熊嚴)이 즉위했다.
熊厳十年, 卒. 有子四人, 長子伯霜, 中子仲雪, 次子叔堪,25) 少子季徇.26) 熊厳卒, 長子伯霜代立, 是為熊霜.
웅엄 10년(기원전 828년), 웅엄이 죽었다. 그에게는 아들 넷이 있었는데, 큰아들은 백상(伯霜), 둘째 아들은 중설(仲雪), 셋째 아들은 숙감(叔堪), 막내아들은 계순(季徇)이다. 웅엄이 죽자, 큰아들 백상이 왕위를 계승하니 이 사람이 웅상(熊霜)이다.
熊霜元年, 周宣王初立. 熊霜六年, 卒, 三弟争立. 仲雪死;叔堪亡, 避難於濮;27)而少弟季徇立, 是為熊徇. 熊徇十六年, 鄭桓公初封於鄭. 二十二年, 熊徇卒, 子熊咢28)立. 熊咢九年, 卒, 子熊儀立, 是為若敖.
웅상 원년(기원전 827년), 주 선왕(周宣王)이 새로 왕위에 올랐다. 웅상 6년, 웅상이 죽자, 세 동생들이 왕위 계승을 놓고 혈육상잔을 벌였다. 결과적으로 중설은 죽고, 숙감은 복(濮)으로 피난했고, 막내 동생 계순이 즉위했다. 이 사람이 웅순(熊徇)이다. 웅순 16년, 정 환공(鄭桓公)이 정나라의 제후에 봉해졌다. 웅순 22년, 웅순이 죽자 아들 웅악(熊咢)이 왕위를 계승했다. 웅악 9년, 웅악이 죽자 아들 웅의(熊儀)가 왕위를 계승하니 이 사람이 약오(若敖)이다.
若敖二十年, 周幽王為犬戎所弑, 周東徙, 而秦襄公始列為諸侯.
약오 20년, 주 유왕(周幽王)이 견융(犬戎)에게 피살되어 주 왕실은 동쪽으로 천도하고, 진 양공(秦襄公)이 제후에 봉해졌다.
二十七年, 若敖卒, 子熊坎29)立, 是為霄敖. 霄敖六年, 卒, 子熊眴立,30) 是為蚡冒.31) 蚡冒十三年, 晉始亂, 以曲沃之故. 蚡冒十七年, 卒. 蚡冒弟熊通弑蚡冒子而代立, 是為楚武王.
27년(기원전 764년), 약오가 죽자, 아들 웅감(熊坎)이 왕위를 계승하니 이 사람이 소오(霄敖)이다. 소오 6년, 소오가 죽자 아들 웅순(熊眴)이 왕위를 계승하니 이 사람이 분모(蚡冒)이다. 분모 13년, 진(晉)나라에 내란이 일어났는데 곡옥(曲沃) 사건이 그 원인이 되었다. 분모 17년, 분모가 죽자 분모의 동생 웅통(熊通)이 분모의 아들을 죽이고 자신이 즉위하니, 이 사람이 초 무왕(楚武王)이다.
각주 1 正義尺証反. 2 集解徐広曰:「世本云老童生重黎及呉回.」譙周曰:「老童即巻章.」 索隠巻章名老童, 故系本云「老童生重黎」. 重氏、黎氏二官代司天地, 重為木正, 黎為火正. 案:左氏傳少昊氏之子曰重, 顓頊氏之子曰黎. 今以重黎為一人, 仍是顓頊之子孫者, 劉氏云「少昊氏之後曰重, 顓頊氏之後曰重黎, 対彼重則単称黎, 若自言當家則称重黎. 故楚及司馬氏皆重黎之後, 非関少昊之重」. 愚謂此解為當. 3 索隠此重黎為火正, 彼少昊氏之後重自為木正, 知此重黎即彼之黎也. 4 集解虞翻曰:「祝, 大;融, 明也.」韋昭曰:「祝, 始也.」 5 集解干宝曰:「先儒学士多疑此事. 譙允南通才達学, 精核數理者也, 作古史考, 以為作者妄記, 廃而不論. 余亦尤其生之異也. 然按六子之世, 子孫有国, 升降六代, 數千年閒, 迭至霸王, 天将興之, 必有尤物乎? 若夫前志所傳, 修己背坼而生禹, 簡狄胸剖而生契, 歴代久遠, 莫足相証. 近魏黄初五年, 汝南屈雍妻王氏生男児従右胳下水腹上出, 而平和自若, 數月創合, 母子無恙, 斯蓋近事之信也. 以今況古, 固知注記者之不妄也. 天地云為, 陰陽変化, 安可守之一端, 概以常理乎? 詩云『不坼不副, 無災無害』. 原詩人之旨, 明古之婦人嘗有坼副而産者矣. 又有因産而遇災害者, 故美其無害也.」 索隠系本云:「陸終娶鬼方氏妹, 曰女嬇.」 6 集解虞翻曰:「昆吾名樊, 為己姓, 封昆吾.」世本曰:「昆吾者, 衛是也.」 索隠長曰昆吾. 系本云:「其一曰樊, 是為昆吾.」又曰:「昆吾者, 衛是.」宋忠曰:「昆吾, 国名, 己姓所出.」左傳曰:「衛侯夢見披髪登昆吾之観.」按:今濮陽城中有昆吾台. 正義括地志云:「濮陽県, 古昆吾国也. 昆吾故城在県西三十里, 台在県西百歩, 即昆吾墟也.」 7 集解世本曰:「參胡者, 韓是也.」 索隠系本云:「二曰恵連, 是為參胡. 參胡者, 韓是.」宋忠曰:「參胡, 国名, 斟姓, 無後.」 8 集解虞翻曰:「名翦, 為彭姓, 封於大彭.」世本曰:「彭祖者, 彭城是也.」 索隠系本云:「三曰籛鏗, 是為彭祖. 彭祖者, 彭城是.」虞翻云:「名翦, 為彭姓, 封於大彭.」 正義括地志云:「彭城, 古彭祖国也. 外傳云殷末滅彭祖国也. 虞翻云名翦. 神仙傳云彭祖諱鏗, 帝顓頊之玄孫, 至殷末年已七百六十七歳而不衰老, 遂往流沙之西, 非寿終也.」 9 集解世本曰:「会人者, 鄭是也.」 索隠系本云:「四曰求言, 是為鄶人. 鄶人者, 鄭是.」宋忠曰:「求言, 名也. 妘姓所出, 鄶国也.」 正義括地志云:「故鄶城在鄭州新鄭県東北二十二里. 毛詩譜云『昔高辛之土, 祝融之墟, 歴唐至周, 重黎之後妘姓処其地, 是為鄶国, 為鄭武公所滅也』.」 10 集解世本曰:「曹姓者, 邾是也.」 索隠系本云:「五曰安, 是為曹姓. 曹姓, 邾是.」宋忠曰:「安, 名也. 曹姓者, 諸曹所出.」 正義括地志云:「故邾国在黄州黄岡県東南百二十一里, 史記云邾子, 曹姓也.」 11 索隠系本云:「六曰季連, 是為羋姓. 季連者, 楚是.」宋忠曰:「季連, 名也. 羋姓所出, 楚之先.」羋音弥是反. 羋, 羊声也. 12 集解孫検曰:「一作『祖』.」 索隠沮音才敘反. 13 集解徐広曰:「在南郡枝江県.」 正義潁容(云)傳例云:「楚居丹陽, 今枝江県故城是也.」括地志云:「帰州巴東県東南四里帰故城, 楚子熊繹之始国也. 又熊繹墓在帰州秭帰県. 輿地志云秭帰県東有丹陽城, 周迴八里, 熊繹始封也.」 14 索隠一作「黮」, 音土感反. ■音但, 與「亶」同字, 亦作「亶」. 15 索隠鄒誕本作「熊鍚」. 一作「煬」. 16 集解杜預曰:「庸, 今上庸県.」 正義括地志云:「房州竹山県, 本漢上庸県, 古之庸国. 昔周武王伐紂, 庸蛮在焉.」 17 索隠有本作「楊雩」, 音吁, 地名也. 今音越. 譙周亦作「楊越」. 18 正義五各反. 劉伯荘云:「地名, 在楚之西, 後徙楚, 今東鄂州是也.」括地志云:「鄧州向城県南二十里西鄂故城是楚西鄂.」 19 集解張瑩曰:「今江陵也.」 索隠系本「康」作「庸」, 「亶」作「袒」. 地理志云江陵, 南郡之県也. 楚文王自丹陽徙都之. 20 集解九州記曰:「鄂, 今武昌.」 索隠有本作「藝経」二字, 音摯紅, 従下文熊摯紅読也. 古史考及鄒氏、劉氏等音無藝経, 恐非也. 正義括地志云:「武昌県, 鄂王旧都. 今鄂王神即熊渠子之神也.」 21 索隠系本無執字, 越作「就」. 22 集解徐広曰:「即渠之長子.」 23 索隠如此史意即上鄂王紅也. 譙周以為「熊渠卒, 子熊翔立;卒, 長子摯有疾, 少子熊延立」. 此云「摯紅卒, 其弟殺而自立, 曰熊延」. 欲会此代系, 則翔亦毋康之弟, 元嗣熊渠者. 毋康既蚤亡, 摯紅立而被延殺, 故史考言「摯有疾」, 而此言「弑」也. 正義即上鄂王紅也. 24 正義譙周言「摯有疾」, 此言「弑」, 未詳. 宋均注樂緯云:「熊渠嫡嗣曰熊摯, 有悪疾, 不得為後, 別居於蘷, 為楚附庸, 後王命曰蘷子也.」 25 索隠一作「湛」. 26 索隠旬俊反. 27 集解杜預曰:「建寧郡南有濮夷.」 正義按:建寧, 晉郡, 在蜀南, 與蛮相近. 劉伯荘云:「濮在楚西南.」孔安国云:「庸、濮在漢之南.」按:成公元年「楚地千里」, 孔説是也. 28 索隠噩音鄂, 亦作「咢」. 29 索隠苦感反. 一作「菌」, 又作「欽」. 30 集解徐広曰:「眴音舜.」 索隠徐音舜. 按:玉篇在口部, 顧氏云「楚之先, 即蚡冒也」. 劉音舜, 其近代本即有字従目者. 劉舜音, 非. 31 索隠古本「蚡」作「羒」, 音憤. 冒音亡北反, 或亡報反. |
'中國歷史와文學 > 史記世家' 카테고리의 다른 글
史記 卷四O. 楚世家[成王] (0) | 2019.06.22 |
---|---|
史記 卷四O. 楚世家[武王] (0) | 2019.06.22 |
史記 卷三九. 晉世家 (0) | 2019.06.22 |
史記 卷三八. 宋微子世家 (0) | 2019.06.22 |
史記 卷三七. 衛康叔世家 (0) | 2019.06.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