第十六章
子曰, 「鬼神之爲德, 其盛矣乎! 視之而弗見, 聽之而弗聞, 體物而不可遺。使天下之人, 齊明盛服, 以承祭祀, 洋洋乎如在其上, 如在其左右。詩曰, 『神之格思, 不可度思, 矧可射思?』 夫微之顯, 誠之不可揜 如此夫 !」
공자가 말씀하셨다.
"귀신의 덕이 성대하구나! 보려고 해도 보이지 않으며 들으려 해도 들리지 않지만, 사물의 본체가 되므로 버릴 수 없다. 귀신은 천하의 사람들로 하여금, 재계하여 심신을 정결하게 하며 성대하게 제복을 입고 제사를 받들게 하고는 양양하게 위에 있는 듯 좌우에 있는 듯 한다.
시에, '신이 오는 것을 헤아리지도 못하는데, 하물며 싫어하고 공경하지 않겠는가?' 라고 하였는데, 이는 귀신의 은미한 본체가 드러남을 말한 것이니 진실을 숨길 수 없는 것이 이와 같구나."
○程子曰, 鬼神天地之功用, 而造化之迹也. 張子曰, 鬼神者 二氣之良能也. 愚謂以二氣言, 則鬼者 陰之靈也, 神者 陽之靈也, 以一氣 言, 則至而伸者爲神, 反而歸者爲鬼, 其實一物而已. 爲德 猶言性情功效.
○정자 말씀하시길 “귀신은 천지의 공용(성공적인 쓰임)이오 조화의 자취니라.” 장자(장횡거)는 “귀신은 음양 두 기운의 잘 능함(곧 변화)이라” 하였다. 어리석은 나(주자)는 음양 두 기운로써 말하면 귀는 음의 영이오 신은 양의 영이며, 한 기운(태극)로써 말하면 이르러 펴면 신이오 돌이켜 돌아가는 것은 귀이니 그 실제는 하나의 물건일 뿐이니라. 덕됨은 성정 공효를 말함과 같으니라.
[참조]
귀신에 대한 주역의 설명은 중용 제11장 해설 참조.
視之而弗見, 聽之而弗聞, 體物而不可遺。
보려고 해도 보이지 않으며 들으려 해도 들리지 않지만, 사물의 본체가 되므로 이를 버릴 수 없다.
○鬼神 無形與聲. 然 物之終始 莫非陰陽合散之所爲, 是其爲物之體, 而物之所不能遺也. 其言體物 猶易所謂幹事.
○귀신은 형체와 다못 소리가 없음이라. 그러나 물건의 종과 시가 음양의 합하고 흩어짐의 소위가 아님이 없으니 이는 그 물건의 체가 됨이요 물건이 능히 버릴 수 없는 바이이라. 그 체물이라는 것은 일을 주장함을 말함이라.
[해설]
물건의 체가 된다는 것(체물)은 음양 귀신의 조화로 일을 주장한다(幹事)는 뜻으로 이는 『주역』의 중천건괘 문언전에서 나온 말이다.
文言曰 元者 善之長也,
亨者 嘉之會也,
利者 義之和也,
貞者 事之幹也,
君子 體仁足以長人,
嘉會 足以合禮,
利物 足以和義,
貞固 足以幹事,
君子 行此四德者.
故曰, 乾元亨利貞.
문언에 이르길 元은 착한 것의 어른이요
亨은 아름다움의 모임이요
利는 의리의 和함이요
貞은 일을 주장함이니(일의 줄기니)
군자가 仁을 체득함이 족히 사람의 어른이며(사람을 기르며)
모임을 아름답게 함이 족히 禮에 합하며
물건을 이롭게 함이 족히 의리에 화합하며
바르고 굳셈이 족히 일을 주장하니
군자가 이 네 가지 덕을 행하는지라
그러므로 이르길 ‘乾元亨利貞’이라
使天下之人, 齊明盛服, 以承祭祀, 洋洋乎如在其上, 如在其左右。
귀신은 천하의 사람들로 하여금, 재계하여 심신을 정결하게 하며 성대하게 제복을 입고 제사를 받들게 하고는 양양하게 위에 있는 듯, 좌우에 있는 듯 한다.
○齊之爲言 齊也, 所以齊不齊, 而致其齊也. 明 猶潔也. 洋洋 流動充滿之意. 能使人畏敬奉承, 而發見昭著如此, 及其體物 而不可遺之驗也. 孔子曰, 其氣發揚于上, 爲昭明焄蒿悽愴, 此 百物之精也, 神之著也, 正謂此爾.
○재계한다는 말은 몸을 재계하는 것이니 깨끗지 못함을 깨끗이 하여 그 재계함을 이룸이라. 명은 청결함과 같음이라. 양양은 흐르고 움직여 충만한 뜻이라. 능히 사람으로 하여금 (귀신을) 두려워하고 공경하여 받들어 이어서 발현하고 훤히 밝게 나타남이 이와 같으니 이에 그 물건에 체해서(주장해서) 가히 버리지 못하는 증험이니라. 공자 말씀하시기를 “그 기운이 위에 발양하여 밝게 밝아 쑥을 태워 처창(숙연해져 매우 감상적이니 되는 마음)하게 되니 이는 백가지 물건의 정이오 신의 나타남이라” 하시니 바로 이(流動充滿, 體物, 發揚)를 이름이라.
焄 : 김쐴 훈. 김쐬다. 태워서 연기나 냄새가 피게 함. 훈자(熏炙). 향기. 냄새나는 채소. 마늘, 파따위.
[참고] 조율시이(棗栗枾梨)
옛 어른들은 제사를 지낼 때 반드시 대추, 밤, 감은 꼭 놓되 상에 가장 먼저 대추를 올리라고 한다. 그중 대추는 단단한 씨가 하나 들어 있어 있는데다 꽃이 피면 열매를 맺으므로 열매인 자손으로서 제사지내는 주체를 상징하기에 젯상에 가장 먼저 올려 놓는다. 밤은 싹이 나면 썩지 않는데서 불후(不朽) 혹은 불멸(不滅)을 상징하며 뿌리인 조상을 나타내고, 감나무는 씨를 심은 후 접을 붙여야 감이 되므로 교역(交易)을 상징하고, 바로 제사를 통한 조상과 후손과의 교감을 나타낸다.
다시 말해 제상에 과일을 올릴 때 대추, 밤, 감의 순으로 놓는 것은 제사를 지내는 주체인 내(대추)가 조상님(밤)을 정성으로 받들며 조상귀신과의 대화를 나눈다(감)는 뜻이다. 여기에 배를 굳이 붙이는 이유는 색의 음양 짝을 맞추기 위한 것이다.
하지만 젯상을 아무리 진수성찬으로 순서에 맞게 차린다한들 그 속에 정성이 빠지면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
주공이 주역 澤風大過괘 초육에서 제사를 지내는데 "藉用白茅, 无咎.(자리를 까는데 흰 띠를 쓰니 허물이 없느리라)"하셨다. 이에 공자는 "苟錯諸地而可矣, 藉之用茅, 何咎之有. 愼之至也. 夫茅之爲物薄 而用可重也, 愼斯術也以往, 其无所失矣.
(진실로 저 땅에 두더라도 괜찮커늘 까는데 띠를 쓰니 무슨 허물이 있으리오 삼감의 지극함이라. 무릇 띠의 물건됨이 박하나 쓰는 것은 중히 여기는 것이니 이 방법을 삼가여 써가면 그 잃는 바가 없으리라)"고 덧붙이셨다.
詩曰, 「神之格思, 不可度思, 矧可射思?」
시에, '신이 오는 것을 헤아리지도 못하는데, 하물며 싫어하고 공경하지 않겠는가?' 라고 하였으니,
[해설]
사람은 눈 뜨고도 깊은 것을 보지 못하고, 귀로 사물의 소리는 들을지 몰라도 이치는 듣지 못한다. 제사를 지내는데 신이 오는 것을 가히 헤아리지도 못하면서 신이 있느니 없느니, 제사를 지내는 것이 헛일이네, 귀신이 먹고 가겠느냐 하면서 신을 싫어할 수 있겠는가라는 의미이다. 깊이 헤아려보라는 의미에서 '思'란 글자를 어조사로 하여 세 번 썼음을 알 수 있다. 위에 인용된 시는 다음과 같다.
大雅/湯之什/抑
視爾友君子、輯柔爾顔、 네가 군자를 벗함을 보건대 네 얼굴이 온화하고 부드러워,
不遐有愆。 무슨 허물이 있지 않은가 하도다.
相在爾室、尙不愧于屋漏。 너 집에 있을 때를 보건대 방구석에서도 부끄럽지 않아야 했도다.
無曰不顯、莫予云覯。 드러나지 않는 것은 없나니 나를 보는 자 없다 하지 말지어다.
神之格思、不可度思、 신이 오는 것을 헤아리지도 못하는데
矧可射思? 하물며 싫어할 수 있겠는가.
射 : 싫어할 역.
○詩 大雅抑之篇. 格 來也. 矧 況也. 射 厭也, 言厭怠而不敬也. 思 語辭.
○시는 대아 억편이라. 격은 옴이라 신은 ‘하물며’라는 뜻이라. 역은 싫어함이니 (신을) 싫어하고 (섬기는데) 게을리하면서 공경하지 아니함을 말함이라. 사는 어조사라.
夫微之顯, 誠之不可揜 如此夫 !
이는 귀신의 은미한 본체가 드러남을 말한 것이니 진실을 숨길 수 없는 것이 이와 같구나."
○誠者 眞實無妄之謂. 陰陽合散, 無非實者. 故 其發見之不可揜 如此.
○정성이라는 것은 진실무망을 말함이라. 음양 합산이 실제가 아님이 없느니라. 그러므로 그 발현되는 것을 가히 가리지 못하니 이와 같음이라.
○不見不聞 隱也. 體物如在, 則亦費矣. 此前三章 以其費之小者而言, 此後三章 以其費之大者而言, 此一章 兼費隱包大小而言.
○불견불문은 (비은장으로 말하면 숨어있다는) 은이오 체물여재는 곧 또한 소비함이라. 이 앞의 석 장은 비의 작은 것으로써 말함이오 이 뒤의 석 장은 비의 큰 것으로써 말함이오 이 한 장은 비은을 겸하고 크고 작은 것을 싸서 말함이라.
[해설]
“君子之道 費而隱.”는 제12장의 내용과 관련해 앞의 세 장인 제13장, 제14장, 제15장은 ‘費’의 작은 것으로 말한 것이고, 뒤의 세 장, 곧 제17장, 제18장, 제19장은 ‘費’의 큰 것으로 말한 것이며, 이 제16장은 ‘費’와 ‘隱’을 겸하고 또한 큰 것과 작은 것을 포함하여 말한 것이다.